# 27_num : 수사 (numeral) : 100% ### 수사의 문법 특성 - 무라오어에는 1(n̥aːu3, ˀjət7)과 2(ɣa2, ɳi6)의 표현법의 두 가지가 있는데, n̥aːu3와 ɣa2는 오직 수를 셀 때만 사용하고 순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ˀjət7와 ɳi6는 수를 셀 때 복합의 수량에만 쓰인다. 양사의 앞에는 n̥aːu3와 ɣa2만 쓰인다. - 두 자리수 이상의 수에서 10(səp8)의 앞에는 수사 뒤에는 수사 혹은 양사가 올 때, səp8은 경성의 sɿ으로 읽기도 한다. 10앞의 수사 taːm1(3) 또한 종종 ta1으로 변독되기도 한다. - 100(pɛːk7, fɛːk7)은 두 가지의 독음이 있는데, 100~900까지에서 800(두 가지 다 가능)을 제외하고 모두 fɛːk7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200은 'ɣa2fɛːk7' 이고, 900은 'cəu3fɛːk7'이다. 200이상의 100 뒤에 '0'이 올 때는 pɛːk7으로 읽는다. ### 어림수의 표현방법 - 무라오어의 어림수의 표현법은 한어와 유사하다. 인접한 두 세개의 수를 연이어 쓰기도 하고, 10이상의 수 뒷자리에는 부정확한 수를 나타내는 수사 ci3(几)를 써서, 마지막 자리의 수가 정확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 또한 백, 천, 만 의 뒤에 어림수를 나타내는 조사 pa3(把)를 부가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 수사, 양사, 명사의 뒤에 '이상', '이하', '좌우'등의 단어로 어림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 분수와 배수의 표현방법 - 분수와 배수의 표현방법은 한어와 동일하다. ### 서수의 표현방법 - 10이하의 서수는 기수와 ti6(제)로 나타낸다. 위치는 양사 또는 명사의 앞 혹은 뒤가 모두 가능하다.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2) khɔ5 ti6 ˀjət7 CL di one 제 1과 }}} {{{eg>mula1253 (wangjunzhengguoqi2007:582) ti6 ˀjət7 khɔ5 di one CL 제 1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