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음성체계의 특징 - 특수한 자음이 있다: ӡ (=дж’~д’), н’, ң, ɣ, қ, ҳ - 모음조화 - 장모음 - р음의 변이음이 있다 {{{lex>negi1245 (nedyalkov2001:339) - орон : 사슴 (negi) & ойон : 사슴 (ewenk) - ичэ-рэ : 보다. 3PL.PST (negi) & ичэ-йэ : 보다. 3PL.PST (ewenk) }}} - 가장 가까운 언어인 어웡키어에 비해 네기달어에는 모음동화, 자음동화가 훨씬 많다. - 이웃하는 ч, ӡ, н’, й의 영향에 따른 자음동화 - р > й, л, т, с 또는 р탈락 (р > й 또는 р탈락은 오로치어와 어웡키어에도 나타난다) {{{lex>negi1245 (nedyalkov2001:340) - улгу~улгуй : 전설 (negi) & улгур : 전설 (ewenk) - кадā : 암석 (negi) & кадāр : 암석 (ewenk) }}} - р는 일부 울치어, 어웡키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lex>negi1245 (nedyalkov2001:340) - бордук : 밀가루?? 파리 мука - корбо : 숫사슴 - оргин : 돼지 - морāхӣ : 까마귀 }}} - р > й/Ø 오로치어와 우디허어에 나타나는 현상. 모음 사이 р 탈락 {{{lex>negi1245 (nedyalkov2001:340) - горо : 멀리 (evenk, solon, nan, ulch, orok) & гойо 멀리 (negi) & гоо/го: : 멀리 (oroch, udihe) }}} - 네기달어, 오로치어, 우디허어의 중요한 음성학적 공통특징(등어선) - х- (어두 연구개음) / h- (어웡키어, 어원어의 인두음) / n- (나나이어, 울치어, 오로크어) / ф- (만주어) {{{lex>negi1245 (nedyalkov2001:340) - hэмун : 입술 (evenk) & (h)эмэн : 입술 (even) & хэмун : 입술 (negi) & хэму(н) : 입술 (oroch, udihe) & пэму(н) : 입술 (nanai, ulch, orok) & фэмэн : 입술 (manchu) }}} - 격 표지, 소유 표지에서 б/в/п 교체 (어웡키어에서도 유사한 동화) 14 ??? ##### 유성음화 - 유성파열음 б, д, г, 유성마찰음 в. 다른 파열음 앞에서 무성음화 {{{lex>negi1245 (tsintsius1997:191) - з̌ебчạ̄л : 먹었다 (PST.PL) - з̌епчạ̄л 로 발음 - тибгуйен : 떨어뜨렸다 (PST.SG) - типгуйен 로 발음 - бэойудгичạ̄ : 사냥했다 (PST.SG) - бэойутгичạ̄ 로 발음 - ивкạ̄н : 국자 поварешка - ифкạ̄н 로 발음 - хуктувчạ̄н : 끌고가버렸다 утащил (PST.SG) - хуктуфчạ̄н 으로 발음 - эомнāгдэ : 언젠가, 어느날 - эомнāкдэ 로 발음 }}} - 비음도 무성음화 되는 경우가 있다. {{{lex>negi1245 (tsintsius1997:191) - ӈāӈктф : 가문비나무 - маӈкга : 강한 - амптил : 아버지들 (PL) - энттил : 어머니들 (PL) }}} ##### 조음방법에 따른 동화 - б로 시작하는 접미사에서 양순음은 모음 뒤, 마찰음 в, й, л 뒤에서 в로 발음된다. - 다른 자음에 따른 동화도 일어난다. ###### 어간말음에 따른 복수접미사의 동화 | | 복수 접미사 | 모음 | 자음 | | | | | | | | | | в, й, л | г (ɣ) | ӈ м | ӈ | п, с, т | к, х | | ACC (def) вин опр падез̌ | -ба | -ва | -ва | -га | -ма | -(н)а | -па | -ка | | GEN. 1SG | -би | -в | -и-в | -и-в | -м, -и-в | -и-в | -и-в | -и-в | | GEN. EXCL. 1PL | -бун | -вун | -вун | -гун | -мун | -(н)ун | -пун | -кун | | PTCL. INDEF частица неопр | -бал | -вал | - вал | -гал | -мал | -(н)ал | -пал | -кал | 15 ##### 순행동화 - 현재시제 접미사 -й(<*-р)의 맨앞 자음도 순행동화가 일어난다. ###### 현재시제 접미사 -й (3PL). 순행동화에 따른 변이형 {{{lex>negi1245 (tsintsius1997:192) - иче-йе : 보다 - ав-ва : 씻다 - уй-йе : 묶다 привязывать - хиɣ-ɣэ : 가죽을 벗기고 내장을 꺼내다 - ел-ла : 일어나다 - моӈ-ӈа : 구기다 - ом-ма : 마시다 - тэт-тэ : 입다, 착용하다 - кек-ка : 물다 - ес-са : 걸어서 도착하다 доходить - эмạ̄п-пэо : 남다 - гӯн-э : 말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