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 모음동화 - 오로치어의 자음동화는 이음으로의 변화이기 때문에 음운적 변화를 동반하지는 않는다. - non-front vowel은 3가지 시리즈로 나뉜다: 1) а, ẏ ; 2) э, у; 3) о - 오로치어의 자음동화는 velar 자음에 큰 영향을 준다. 1, 3 시리즈 모음 (특히 а, о)을 지닌 단어에서 velar consonants는 uvular variant로 실현된다. (cf. velar 중에서 ɣ는 pharyngeal에 가까운 velar로 실현된다) ### 자음동화 - 오로치어의 자음동화는 역행동화만 있으며, п, н, г에 있다. - 유성음 앞에서 무성음 п는 б로 유성음화 된다. - 무성음 앞에서 유성음 г는 к로 무성음화 된다. {{{eg>oroc1248 (Lebedeva1997:219) ǯẏг-ду house-DAT 집에 }}} {{{eg>oroc1248 (Lebedeva1997:219) ǯẏк-ти house-ALL 집으로( <- ǯẏг-ти ) }}} - alveolar nasal н은 palatal consonants 또는 palatalized с 앞에서 palatal 음운인 нʹ \[ɲ\]으로, velar 앞에서는 ӈ \[ŋ\]으로 바뀐다. Bilabial 앞에서는 bilabial nasal м \[m\]이 된다. {{{eg>oroc1248 (Lebedeva1997:219) мурин-ти horse-ALL 말(horse)에게로 }}} {{{eg>oroc1248 (Lebedeva1997:219) мурим-пи hourse-NOM.1PL.INCL.POSS 우리의 말 }}} ### 구개음화 - Front vowel 앞 자음의 구개음화: 모든 bilabial, velar 및 몇몇 alveolar에서 나타난다 {{{lex>oroc1248 (Lebedeva1997:218) - \[ba\] : place, locality - \[[b_j{]\] : moon, month - \[xоjо\] : 타이멘(연어과 물고기) - \[[x_jia]\] : sand }}} - alveolar д, т, н은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