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_verb : 동사 (verb) ### 태 동사의 태(态)는 주동태, 사동태, 피동사, 상호태(互动态)와 공동태 5가지로 나누어진다. 주동태는 표지가 없고 나머지 4가지 태의 표지는 아래와 같다. | 사동태 | -wkaan/-wkəən/-wkɔɔn/-wkoon | mʊŋdaa-wkaan-(때리게 하다) | | 피동태 | -w | mʊŋdaa-w-(맞다) | | 상호태 | -maat/-məət/-mɔɔt/-moot | mʊŋdaa-maat-(서로 때리다) | | 공동태 | -ldɪ/-ldi | mʊŋdaa-ldɪ-(함께 때리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4) bii bʊrta-wa bitəgə-jə tuurəə-wkəən-əm. 1SG Borta-ACC book-INACC read-CAUS-1SG 나는 뽀르타을 책을 읽게 할 것이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4) nʊgan-ŋɪ-n kakara-n gujkə-du ʤawa-w-ʧaa. (S)he-GEN-3SG.POSS chicken-3SG.POSS wolf-DAT hold-PASS-PST.3SG 그의 닭이 늑대에게 잡혔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4) ʤuur bəjə ʤaka-wal ʤuwəm-məət-tə. two person thing-PL.REFL change-RECP-NPST 두 사람이 물건을 서로 바꾼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4) bii ʃin-ʤi ŋənə-ldi-m. 1SG 2SG-INS go-ASSOC-1SG 내가 같이 가 준다. }}} ### 상 오로첸어의 상은 아래와 같이 10가지로 나누어진다. - 시작상: -l - 진행상: -ʤɪ/-ʤi - 기동상: -ʃɪn/-ʃin - 반복상: -kta/-ktə/-ktɔ/-kto - 즉시상: -malʧa/-məlʧə/-mɔlʧɔ/-molʧo - 지속상: -lat/-lət/-lɔt/-lot; -ʃa/-ʃə/-ʃɔ/-ʃo - 억지상(勉强体): -t - 원망상(愿望体): -mʊn/-mun - 원망상(渴望体): -kʃɪ/-kʃi - 이동 목적상: -na/-nə/-nɔ/-no ##### 시작상: -l {{{eg>oroq1238 (huzengyi2006:875) bii ʤaan diji-ʧi-du-wi giwʧəən-ə waa-l-ʧa-w. 1SG ten four-have-DAT-SG.REFL roe.deer-INACC kill-INGRS.ASP-PST-1SG 나는 14살에 노루를 사냥하기 시작했다. }}} ##### 진행상: -ʤɪ/-ʤi {{{eg>oroq1238 (huzengyi2006:875) kʊgakakaan ʃatan-ma ʤəb-ʤi-rə-n. child candy-ACC eat-PROG.ASP-NPST-3SG 아이가 사탕을 먹고 있다. }}} ##### 기동상: -ʃɪn/-ʃin {{{eg>oroq1238 (huzengyi2006:875) buku dʊlɪn ʤɪrgᴇᴇ ʃɔktɔ-ʃɪn-ʧaa. Buku middle near get.drunken-INCP.ASP-3SG.PST 뿌쿠는 반쯤 취했다. }}} ##### 반복상: -kta/-ktə/-ktɔ/-kto {{{eg>oroq1238 (huzengyi2006:875) bəjə gᴇᴇ-dʊ gɪrkʊ-kta-ra-n. person street-DAT come.and.go-REPT.ASP-NPST-3SG 사람이 거리에 오간다. }}} ##### 즉시상: -malʧa/-məlʧə/-mɔlʧɔ/-molʧo {{{eg>oroq1238 (huzengyi2006:876) bii bajta-ja dɔɔldɪ-kʃan ʤuu-ləə-wi əmərgi-məlʧə-ʧə-w. 1SG work-INACC listen-CVB home-LOC-SG.REFL come.back-IMM.ASP-PST-1SG 나는 일을 듣자마자 바로 집으로 돌아갔다. }}} ##### 지속상: -lat/-lət/-lɔt/-lot; -ʃa/-ʃə/-ʃɔ/-ʃo {{{eg>oroq1238 (huzengyi2006:876) tarɪ bəjə ɔɔn ʃɔɔttɪ mɔɔ-ja ʤawa-lat-ta-n? that person why always tree-INACC hold-CONT.ASP-NPST-3SG 그 사람이 왜 늘 막대기를 잡고 있느냐? }}} {{{eg>oroq1238 (huzengyi2006:876) əri bəjə ʃɔɔttɪ ʊmʊla-ʃa-ra-n. this person always belt-CONT.ASP-NPST-3SG 이 사람이 늘 (전통 옷) 벨트를 맨다. }}} ##### 억지상(勉强体): -t - 억지상(勉强体)은 어떤 동작이 억지로 이루어질 때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76) tarɪ bəjə kuʧun-ə aaʧɪ binəkən gərbə-t-tə-n! that person strength-INACC no also work-ASP-NPST-3SG 그 사림은 힘이 없으면서도 일을 한다. }}} ##### 원망상(愿望体): -mʊn/-mun {{{eg>oroq1238 (huzengyi2006:876) bii ʃun-ʤi bi-dəə-wi ʤaalɪn ə-ʃi-m jabʊ-mʊn-a. 1SG 2PL-INS be-PURP.CVB-SG.REFL for NEG-NPST-1SG go-ASP-PTCP.NPST 나는 너희들과 있기 위해 가지 않기를 원한다. }}} ##### 원망상(渴望体): -kʃɪ/-kʃi - 한국어의 ‘-고 싶다’에 해당한다. {{{eg>oroq1238 (huzengyi2006:876) amaa əmə-ʧəə unəkən tarɪ bəjə amɪn-ma iʧi-kʃi-rə-n. father come-3SG.PST QUOT that person father-ACC look-ASP-NPST-3SG ‘아빠 왔다’하고 그 사람이 빨리 아버지를 보고 싶어한다. }}} ##### 이동 목적상: -na/-nə/-nɔ/-no - 한국어의 ‘-러 가다/오다’에 해당한다. - 일부 예문에서는 ‘PURP.MOTION’으로 표시를 했다. {{{eg>oroq1238 (huzengyi2006:876) bii ʃɔɔttɪ ɔlɔ-jɔ umukəə-nə-m. 1SG always fish-INACC fish-ASP-1SG 나는 자주 낚시를 하러 간다. }}} ### 시제 - 현재-미래 시제 - 과거 시제 - 미래 시제 - 현재 진행 시제 - 현재 经常 시제 - 과거 经常 시제 - 현재-미래 완성 시제 - 과거 완성 시제 #### (1) 현재-미래 시제 현재-미래 시제(现在-将来时)는 말하는 그 시각에 일어나거나 그 후에 일어나는 동작을 말할 때 쓰인다. ###### 현재-미래 시제 구성 방법 | 1SG; 2SG | 동사 어간 + 인칭표지 | | 3SG; 1PL(EXCL/INCL); 2PL | 동사 어간 + 현재-미래 시제 표지 + 인칭표지 | | 3PL | 동사 어간 + 현재-미래 시제 표지 | ###### 현재-미래 시제 표지 - –ra/-rə/-rɔ/-ro - -la/-lə/-lɔ/-lo - -da/-də/-dɔ/-do - -ta/-tə/-tɔ/-to - -a/-ə ###### 모음, -r, -l, -b, -t, -g, -m, -n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의 예 ^ 모음, -r ^ -l ^ -b, -t, -g ^ -m ^ -n ^ | jabʊ-ra-(가다) | ədəl-lə-(강을 건너다) | ʤəb-tə-(먹다) | ɪm-na-(흡입하다) | aaʃɪn-(자다) | | gələə-rə-(찾다) | gɔrɔl-lɔ-(멀어지다) | ɪt-ta-(충분하다) | | ulgu-ʧəən-ə-(말하다)| | ʃɔŋɔ-ro-(울다) | | ʊg-ta-(타다) | | | | oloo-ro-(삶다) | oloo-l-lo-(삶기 시작하다) | | | | | ʤʊr-ra-(가리키다) | | | | | ###### 현재-미래 시제 인칭 표지 ^ PERS ^ PERS.ENDING ^ | 1SG | -m | | 2SG | -nɪ/-ni | | 3SG | -n | | 1PL.EXCL | -w | | 1PL.INCL | -p | | 2PL | -j | | 3PL | - | {{{eg>oroq1238 (huzengyi2006:877) ʃii ɪda kɔtɔ-wi ləkədəə-ni? 2SG why knife-SG.REFL sharpen-2SG 너는 왜 칼을 가느냐? }}} {{{eg>oroq1238 (huzengyi2006:877) tɪmaana ərdə mitii nulgi-rə-p. tomorrow morning 1PL.INCL move-NPST-1PL.INCL 내일 아침에 우리가 이사간다. }}} #### (2) 과거 시제 과거 시제(过去时)는 말하는 시각 이전에 일어난 동작을 말할 때 쓰이지만 그 동작은 완성된 것은 아니다. 이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면 모두 ‘동사 어간 + 과거 시제 표지 + 과거-미래 시제 인칭 표지’와 같이 구성된다. 비록 과거 시제일지라도 과거-미래 시제 인칭표지가 붙는다. 3인칭 단수의 경우 동사 어간에 과거 시제 표지만 결합된다. ###### 과거 시제 표지 - -ʧa/-ʧə/-ʧɔ/-ʧo(1인칭 단수, 2인칭 단수에 사용됨) - -ʧaa/-ʧəə/-ʧɔɔ/-ʧoo(기타 인칭에 사용됨) ###### 과거-미래 시제 인칭 표지 ^ PERS ^ PERS.ENDING ^ | 1SG | -w | | 2SG | -j | | 3SG | - | | 1PL.EXCL | -wʊn/-wun | | 1PL.INCL | -r | | 2PL | -ʃʊn/-ʃun | | 3PL | -l | {{{eg>oroq1238 (huzengyi2006:878) buu aramal ʤaan aŋŋanɪ jabʊ-ʧaa bʊga-laa əmərgi-ʧəə-wun. 1PL.EXCL finally ten year go-PTCP.PST place-LOC come.back-PST-1PL.EXCL 우리가 드디어 떠난 지 10년이 된 곳/고향에 돌아왔다. }}} #### (3) 미래 시제 미래 시제(将来时)는 말하는 시각 이후에 일어나는 동작을 말할 때 쓰인다. 이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면 모두 ‘동사 어간 + 미래 시제 표지 + 과거-미래시제 인칭 표지’와 같이 구성된다. 3인칭 단수의 경우 동사 어간에 미래 시제 표지만 결합된다. 미래 시제 표지는 ‘-ʤa/-ʤə/-ʤɔ/-ʤo’이다. {{{eg>oroq1238 (huzengyi2006:879) əʃi bii ʤuu-ləə-wi jabʊ-kʃan ənin-du-wi bajta-wa omon omon-ʤi-n ʃɪlba-ʤa-w. now 1SG home-LOC-SG.REFL go-CVB mother-DAT-SG.REFL work-ACC one one-INS-3SG.POSS gesture/notice-FUT-1SG 지금 내가 집에 가서 어머니에게 (이) 일을 하나하나씩 알려줄 것이다. }}} #### (4) 현재 진행 시제 현재 진행 시제(现在进行时)는 어떤 동작이 현재 계속 진행/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동사 어간 + 부동사어미(-mɪ/-mi) 조동사 bi- + 현재-미래 시제’와 같이 구성된다. {{{eg>oroq1238 (huzengyi2006:879) tarɪ bəjə ɔɔ-mɪ l(ə) bi-ʃi-n. that person do-PROG PTCL be-NPST-3SG 그 사람은 계속 하고 있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9) gujkə əmə-mi l(ə) bi-ʃi-n. wolf come-PROG PTCL be-NPST-3SG 늑대가 계속 오고 있다. }}} #### (5) 현재 经常 시제 현재 经常 시제(现在经常时)는 어떤 동작이 말하기 이전에도 오랫동안 진행되어 왔고,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이는 ‘동사 어간 + 반복상 형동사어미(多次体形动形式) + 조동사 bi- + 현재-미래 시제’와 같이 구성된다. {{{eg>oroq1238 (huzengyi2006:879) nʊgartɪn ʃɔɔttɪ bʊlaag muu-wə ɪmɪ-ŋkɪ bi-ʃi. they often spring water-ACC drink-PTCT be-3PL.NPST 그들은 자주 광천수/미네랄워터를 마신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9) bii ʃɔɔttɪ giwʧəən-ŋi ulə-jə-n ʤəbu-ŋki bi-ʃi-m. 1SG often roe.deer-GEN meat-INACC-3SG.POSS eat-PTCP be-NPST-1SG 나는 노루 고기를 자주 먹는다. }}} #### (6) 과거 经常 시제 과거 经常 시제(过去经常时)는 어떤 동작이 말하기 이전에 자주/오랫동안 진행되었지만 지금은 진행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이는 ‘동사 어간 + 반복상 형동사어미(多次体形动形式) + 과거-미래 시제 인칭표지 + 조동사 biʧəə’와 같이 구성된다. {{{eg>oroq1238 (huzengyi2006:879) bii giwʧəən-ŋi ulə-jə-n ʤəbu-ŋki-w bi-ʧəə. 1SG roe.deer-GEN meat-INACC-3SG.POSS eat-PTCP-1SG be-PST 나는 노루 고기를 자주 먹었었다. (지금은 먹지 않는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9) buu tuku-du ŋənə-ŋki-wun bi-ʧəə. 1PL.EXCL Tuku-DAT go-PTCP-1PL.EXCL be-PST 우리가 투쿠의 집에 자주 갔었다. (지금은 가지 않는다.) }}} #### (7) 현재-미래 완성 시제 현재-미래 완성 시제(现在-将来完成时)는 어떤 동작이 말하는 그 순간에 곧 완성되는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이는 ‘동사 어간 + 현재-미래 시제 표지 + 조동사 ɔɔʧaa’와 같이 구성된다. ɔɔʧaa는 여기서는 사실 문말어기사 기능을 하고 있다. {{{eg>oroq1238 (huzengyi2006:880) tarɪ bəjə bɔkɔ-nɔ-n ɔɔ-ʧaa. that person catch.up-NPST-3SG become-PST 그 사람은 따라잡게 되었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0) amɪn-tɪn nəkun-mə-tin aʃa-ra-n ɔɔ-ʧaa. father-3PL.POSS younger.brother-ACC-3PL.POSS kick.out-NPST-3SG become-PST 우리 아버지가 동생을 쫓아내게 되었다. }}} #### (8) 과거 완성 시제 과거 완성 시제(过去完成时)는 어떤 동작이 말하는 시각 이전에 이미 완성된 것을 나타낼 때 쓰인다. 이는 ‘동사 어간 + 과거 시제 표지 + 조동사 biʧəə’와 같이 구성된다. biʧəə는 여기서는 사실 문말어기사 기능을 하고 있다. {{{eg>oroq1238 (huzengyi2006:880) tarɪ bəjə bəʤiŋ-du ŋənə-ʧəə bi-ʧəə. that person Beijing-DAT go-3SG.PST be-PST 그 사람은 예전에 베이징에 가 봤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0) tiinəwə bii ʤuu-duk-wi juu-kʃə bəju-ʧə-w bi-ʧəə. yesterday 1SG home-ABL-SG.REFL go.out-CVB hunt-PST-1SG be-PST 어제 나는 집에서 나가서 사냥했었다. }}} ### 조건법 조건법은 ‘평서문 시제 표지 + 조건법 표지 + 소유인칭표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 조건법 현재-미래 시제 ##### 평서문 현재-미래 시제 표지 + -k + -소유인칭표지 - ʃɪlkɪ-ra-k-ɪw 만약 내가 씻으면 - ʃɪlkɪ-ra-k-ɪj 만약 네가 씻으면 - ʃɪlkɪ-ra-k-ɪn 만약 그가 씻으면 - ʃɪlkɪ-ra-k-wʊn 만약 우리(EXCL)가 씻으면 - ʃɪlkɪ-ra-k-tɪr 만약 우리(INCL)가 씻으면 - ʃɪlkɪ-ra-k-ʃʊn 만약 너희들이 씻으면 - ʃɪlkɪ-ra-k-tɪn 만약 그들이 씻으면 #### 조건법 과거, 미래 시제 ##### 평서문 과거 시제 표지(-ʧaa/-ʧəə/-ʧɔɔ/-ʧoo) + -ʃɪk/-ʃik + 소유인칭표지 - -ʧaa-ʃɪk-ɪw(1SG) - -ʧaa-ʃɪk-ɪj(2SG) - -ʧaa-ʃɪk-ɪn(3SG) - -ʧaa-ʃɪk-wʊn(1PL.EXCL) - -ʧaa-ʃɪk-tɪr(1PL.INCL) - -ʧaa-ʃɪk-ʃʊn(2PL) - -ʧaa-ʃɪk-tɪn(3PL) ##### 평서문 미래 시제 표지(-ʤaa/-ʤəə/-ʤɔɔ/-ʤoo) + -ʃɪk/-ʃik + 소유인칭표지 - -ʤaa-ʃɪk-ɪw(1SG) - -ʤaa-ʃɪk-ɪj(2SG) - -ʤaa-ʃɪk-ɪn(3SG) - -ʤaa-ʃɪk-wʊn(1PL.EXCL) - -ʤaa-ʃɪk-tɪr(1PL.INCL) - -ʤaa-ʃɪk-ʃʊn(2PL) - -ʤaa-ʃɪk-tɪn(3PL) 조건문에서 앞절과 뒷절의 주어가 같을 때는 조건법 표지 뒤에 재귀소유인칭표지가 결합된다. {{{eg>oroq1238 (huzengyi2006:883) ʃuu amajlaa mɔɔʧɔn ɔɔda-k-wal, min-tiki ulguʧəən-ŋəl-u! 2PL in.future difficulty become-COND-PL.REFL 1SG-DIR say-IMP-2PL 너희들은 앞으로 어려움이 생기면 나한테 말해라! }}} ### 분사 #### 비완망 - -ra/-rə/-rɔ/-ro; -la/-lə/-lɔ/-lo; -da/-də/-dɔ/-do; -ta/-tə/-tɔ/-to; -na/-nə; -a/-ə - 평서문의 현재-미래 시제 표지와 같다. ##### 관형적 기능 {{{eg>oroq1238 (huzengyi2006:884) əri nʊganŋɪn tat-a bʊga-n (bi-ʃi-n) this (S)he study-PTCP.NPST place-3SG.POSS be-NPST-3SG 이것은 그의 공부하는/공부할 곳이다. }}} ##### 명사적 기능 {{{eg>oroq1238 (huzengyi2006:884) əri kʊgakan aaŋa-laa-wi əmərgi-rə-du-n naaʧʊ əʧəkə-n gəwmi aaʃi-na. this child camping.ground-LOC-SG.REFL come.back-PTCP.NPST-DAT-3SG.POSS mother’s.younger.brother father’s.younger.brother-3SG.POSS just.in.time sleep-3PL.NPST 그 아이가 야영지에 돌아갔을 때 외삼촌, 삼촌이 마침 자고 있었다. #### 완망 - -ʧaa/-ʧəə/-ʧɔɔ/-ʧoo ##### 관형적 기능 {{{eg>oroq1238 (huzengyi2006:884) oloo-ʧoo ulə iləə bi-ʃi-n? boil-PTCP.PST meat where be-NPST-3SG 삶은 고기가 어디에 있느냐? }}} ##### 명사적 기능 {{{eg>oroq1238 (huzengyi2006:884) əri ʊnaaʤɪ tarɪ bəjə un-ʧəə-ʤɪ-n jabʊ-ra-n this girl that person say-PTCP.PST-INS-3SG.POSS go-NPST-3SG 이 여자는 그 사람이 말한 대로 간다. }}} #### 반복 - -ŋkɪ/-ŋki - 동작이 여러 번 진행될 때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4) ʃii ŋənə-rə-k-iw, min-ŋi ȵɔɔwʊ-dʊ ʊgɪ-ŋkɪ mʊrɪn-dʊ ʊgɪ-kʃa ŋənə-kəl! 2SG go-NPST-COND-2SG 1SG-GEN before-DAT ride-PTCP horse-DAT ride-CVB go-2SG.IMP 네가 가면 내가 옛날에 자주 타던 말을 타서 가라! }}} → ‘ʃii ŋənə-rə-k-iw’에서 주어가 2인칭 단수이기 때문에 ‘ʃii ŋənə-rə-k-ij’여야 한다. {{{eg>oroq1238 (huzengyi2006:884) əri bii ʤəb-uŋki ʤaka. this 1SG eat-PTCP thing 이것은 내가 자주 먹는 것이다. }}} #### 经常体 - -ʤaaŋaaʧɪ/-ʤəəŋəəʧi - 곧 진행될 동작행위에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5) bəju-ʤəəŋəəʧi bəjə-ŋi gərbi-n takʊʤᴇᴇ unə-n. hunt-PTCP person-GEN name-3SG.POSS Takuje say-3SG 곧 사냥하러 갈 사람의 이름은 타쿠제라고 한다. }}} ### 부동사 #### 소유인칭표지와 결합하는 부동사 ##### (1) 종속: -ʤakᴇᴇn/-ʤəkeen - buu-(주다)의 예 - bii buu-ʤəkeen-iw, pʊʃan … 내가 주자마자 포산이 … - ʃii buu-ʤəkeen-j, pʊʃan … 네가 주자마자 포산이 … - nʊganɪn buu-ʤəkeen-in, pʊʃan … 그가 주자마자 포산이 … - buu buu-ʤəkeen-mun, pʊʃan … 우리(EXCL)가 주자마자 포산이 … - mitii buu-ʤəkeen-tir, pʊʃan … 우리(INCL)가 주자마자 포산이 … - ʃuu buu-ʤəkeen-ʃun, pʊʃan … 너희들이 주자마자 포산이 … - nʊgartɪn buu-ʤəkeen-tin, pʊʃan … 그들이 주자마자 포산이 … {{{eg>oroq1238 (huzengyi2006:885) tarɪl ulguʧəən-ʤəkeen-tin, buu ʃaa-ʧaa-wʊn. they say-CVB-3PL.POSS 1PL.EXCL know-PST-1PL.EXCL 그들이 말하자 우리는 바로 알았다. }}} ##### (2) -ʧaalaa/-ʧəələə/-ʧɔɔlɔɔ/-ʧooloo - 어떤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 다른 동작이 이루어질 때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5) bʊrta əmərgi-ʧəələə-n, bii ʤəktə-jə oloo-m. Borta come.back-CBV-3SG.POSS 1SG meal-INACC boil-1SG 뽀르타가 돌아온 후에 내가 밥을 한다. }}} #### 재귀소유인칭표지와 결합하는 부동사 ##### (1) 즉시: -kɪnʤakɪn/-kinʤəkin - ulləə-(눕다)의 예 - bii ulləə-kinʤəkin-mi … 내가 눕자마자 … - ʃii ulləə-kinʤəkin-mi … 네가 눕자마자 … - nʊganɪn ulləə-kinʤəkin-mi … 그가 눕자마자 … - buu ulləə-kinʤəkin-məl … 우리(EXCL)가 눕자마자 … - mitii ulləə-kinʤəkin-məl … 우리(INCL)가 눕자마자 … - ʃuu ulləə-kinʤəkin-məl … 너희들이 눕자마자 … - nʊgantɪn ulləə-kinʤəkin-məl … 그들이 눕자마자 … {{{eg>oroq1238 (huzengyi2006:886) bii ʊgɪ-kɪnʤakɪn-mɪ ətə-ʧə-w. 1SG ride-CVB-SG.REFL can-PST-1SG 나는 타자마자 바로 가능했다. }}} ##### (2) 목적: -daa/-dəə/-dɔɔ/-doo {{{eg>oroq1238 (huzengyi2006:886) tarɪ kʊrɪl-dʊ ʧanʤalaa-daa-wɪ ʤaalɪn əmə-ʧəə. (S)he conference-DAT attend-PURP.CVB-SG.REFL for come-3SG.PST 그는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왔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6) ʃii olbot-doo-wi əmə-ʧə-j? 2SG swim-PURP.CVB-SG.REFL come-PST-2SG 너는 수영하기 위해 온 것이냐? }}} ##### (3) 예사롭지 않음: -ŋna/-ŋnə/-ŋnɔ/-ŋno {{{eg>oroq1238 (huzengyi2006:886) əri aŋŋanɪ nəlki dɪlda-ŋna-wɪ nəlki-ʧəə. this year spring be.late-CVB-SG.REFL become.spring-3SG.PST 올해는 봄이 (예사롭지 않게) 너무 늦게 왔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6) buku ʃɔktɔ-ŋnɔ-wɪ ɪm-ʧaa. Buku get.drunk-CVB-SG.REFL drink-3SG.PST 뿌쿠는 너무 취하도록 마셨다. }}} #### 인칭표지와 결합하지 않는 부동사 ##### (1) 병렬: -nakan/-nəkən/-nɔkɔn/-nokon {{{eg>oroq1238 (huzengyi2006:887) min-ŋi nəkun-iw ʃɔŋɔ-nɔkɔn gələə-rə-n. 1SG-GEN younger.brother/sister-1SG.POSS cry-CVB search-NPST-3SG 내 동생이 울면서 찾는다. }}} ##### (2) 연결: -mɪ/-mi 동사와 동사를 연결할 때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7) buu bəju-mi ətə-rə-w naan targan ɔɔ-mɪ ətə-rə-w. 1PL.EXCL hunt-CVB can-NPST-1PL.EXCL also farming do-CVB can-NPST-1PL.EXCL 우리는 사냥도 할 줄 알고 농사도 지을 줄 안다. }}} ##### (3) 지속: -gaj/-gəj/-gɔj/-goj/-ŋaj/-ŋəj/-kaj/-kəj/-koj {{{eg>oroq1238 (huzengyi2006:887) naaʧʊn əʧəkə-n bəjut-tə, jᴇᴇkar ə-ʃi waa-ra, təkəən bəjut-kəj omon bᴇᴇga ɔɔ-ʧaa. mother’s.younger.brother father’s.younger.brother-3SG.POSS hunt-3PL.NPST nothing NEG-3PL kill-PTCP.NPST like.this hunt-CVB one month become-3SG.PST 외삼촌, 삼촌이 사냥하고 아무것도 잡지 못했다. 이렇게 사냥한 지 한 달이 되었다. }}} ##### (4) 연속, 기회: -mdak/-mdək - 연속 {{{eg>oroq1238 (huzengyi2006:887) tarɪ bəjə ɪnna-mdak ʤəəktə-wə-tin bandʊr ʤəb-ʧəə. that person arrive-CVB meal-ACC-3PL.POSS all eat-3SG.PST 그 사람이 도착한 후에 그들의 밥을 다 먹었다. }}} - 기회 {{{eg>oroq1238 (huzengyi2006:888) nʊganɪn bitəgə-jə buurgi-mdək tuku-wə iʧə-nə-ʧəə. (S)he book-INACC return-CVB Tuku-ACC look-PURP.MOTION-3SG.PST 그 사람이 책을 돌려주는 김에 투쿠를 보러 갔다. }}} ##### (5) 순차적: -kʃa/-kʃə/-kʃɔ/-kʃo ~ -kʃan/-kʃən/-kʃɔn/-kʃon - 동작행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때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8) tʊlɪ bɪra-dʊk ʃələ tərgən dɪlda-kʃan ɪnna-ʧaa. Toli river-ABL iron car be.late-CVB arrive-3SG.PST 토리 강에서 기차가 늦어서 도착했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8) tarɪ ɔlɔɔ-kʃɔ jabʊ-ʧaa. (S)he cross.water-CVB go-3SG.PST 그는 물을 건너서 갔다. }}} ##### (6) 결과: -mdʊr/-mdur - 뒷절의 동작행위가 이루어지는 결과가 됨을 나타낼 때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8) əri kʊgakan ʧaŋgal-ɪmdʊr əwi-ʧəə. this child get.tired-CVB play-3SG.PST 그 아이는 지치도록 놀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