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는 아래와 같이 1, 2, 3인칭과 단수, 복수로 나누어진다. 1인칭 복수의 경우는 배제형과 포함형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1인칭 단수, 복수 인칭대명사와 2인칭 단수, 복수 인칭대명사는 자음 [b] ː [ʃ], 모음 [ii] ː [uu]로 구성되어 있다. 3인칭 인칭대명사의 ‘-n’과 ‘-tɪn’은 소유인칭표지에서 온 것이다. 지시대명사 əri(이), tarɪ(그/저), əril(이것들), tarɪl(그것들/저것들)이 3인칭 인칭대명사로도 쓰인다. ^ PERS ^ SG ^ PL ^ | 1.EXCL | bii | buu | | 1.INCL | | mitii ~ mir | | 2 | ʃii | ʃuu | | 3 | nʊganɪn | nʊgartɪn | 일부 인칭대명사는 주격 외의 격조사와 결합할 때 ‘n’이 첨가된다. ^ PERS ^ NOM ^ exc.NOM ^ | 1SG | bii | min- | | 2SG | ʃii | ʃin- | | 1PL.EXCL | buu | mun- | | 2PL | ʃuu | ʃun- | 3인칭의 경우 주격 외의 격조사와 결합할 때 격표지는 어근 사이에 결합한다. ^ PERS ^ NOM ^ exc.NOM ^ | 3SG | nʊganɪn | nʊgan-CASE-n | | 3PL | nʊgartɪn | nʊgar-CASE-tɪn | ### 재귀대명사 재귀대명사에는 ‘məən-(자기)’과 ‘məənəkən(스스로)’이 있다. ‘məən-’은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격조사나 인칭표지와 결합하여 쓰인다. 주체 자신을 되돌아 가리키는 것이다. ###### məən-의 격조사와의 결합 양상 | 속격 | məən-ŋi-wi | | 대격 | məən-mi | | 도구격 | məən-ʤi-wi | | 여격 | məən-du-wi | | 탈격 | məən-duk-wi | | 위격 | məən-duləə-wi | | 위탈격 | məən-duləək-wi | | 방면탈격 | məən-ŋiʤik-wi | | 방향격 | məən-tiki-wi | | 부정방향격 | məən-tikəəki-wi | | 경로격 | məən-dulii-wi | {{{eg>oroq1238 (huzengyi2006:871) bii məən-tikəəki-wi tarɪ-wa təə-wkəən-əm. 1SG oneself-INDIR-SG.REFL (S)he-ACC sit-CAUS-1SG 나는 그를 나를 향해 앉게 할 것이다. }}} {{{eg>oroq1238 (huzengyi2006:871) ʃii məənəkən mʊrɪn-a ʤawa-na-kal! 2SG personally horse-INACC hold-PURP.MOTION-2SG.IMP 네가 스스로 말을 잡아라! }}} 재귀대명사가 məənməən-과 같이 중첩되어 ‘각자’의 의미로 쓰인다. {{{eg>oroq1238 (huzengyi2006:871) tarɪl əmə-rgi-kʃə məənməən-ŋi ʤəəktə-wəl ʤəb-ʧəə. they come-back-CVB each.other-GEN meal-PL.REFL eat-PST 그들이 돌아와서 각자의 밥을 먹었다. }}} → 주어가 3인칭 복수이면 '-ʧəə-l'이어야 한다. ###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는 근칭과 원칭에 따라 /ə-/ː/ta-/로 나누어진다. ə-는 가까운 사람, 사물 혹은 장소를 나타내고 ta-는 멀리 있는 사람, 사물 혹은 장소를 나타낸다. ^ ^ ə- ^ ta- ^ | 사람/사물 | əri(SG); əril(PL) | tarɪ(SG); tarɪl(PL) | | 방위 | ərigidə(이쪽) | tarɪgɪda(그쪽/저쪽) | | 성질/상태 | əŋŋəʧin ~ ənnugəən ~ ərigəʧin(이러한) | taŋŋaʧɪn ~ tannʊgaan ~ tarɪgaʧɪn(그러한/저러한) | | 정도/수량 | əʤirgee(이 정도) | taʤɪrgᴇᴇ(그 정도/저 정도) | ### 의문대명사 의문대명사는 아래와 같다. | 사람/사물 | nii(누구); ɪkʊn(무엇) | | 방위 | iri(어느); irigidə(어디); aalɪ(언제) | | 성질/상태 | irigəʧin, iŋŋəʧin, innugəən(어떠한) | | 수량 | iʤirgee(어느 정도) | | 방식 | ɔɔn(어떻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