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5_aux : 보조사(auxiliary) 오초첸어의 조동사에는 bi-, ɔɔ-, ə- 세 가지가 있다. 주로 静词(명사, 방위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뒤에 혹은 동사의 앞뒤에 쓰여 판단 혹은 부정, 동사와 같이 쓰일 때는 시제, 상, 서법 등 기능을 한다. ### bi- 조동사 bi-는 계사와 존재사 두 가지를 모두 표현한다. bi-는 일반동사와는 달리 현재-미래 시제 직설형인 경우 -ʃi가 첨가된다. | bi-ʃi-m | be-NPST-1SG | | bi-ʃi-ni | be-NPST-2SG | | bi-ʃi-n | be-NPST-3SG | | bi-ʃi-w | be-NPST-1PL.EXCL | | bi-ʃi-p | be-NPST-1PL.INCL | | bi-ʃi-j | be-NPST-2PL | | bi-ʃi | be-3PL.NPST | ##### 판단 명사, 형용사, 의문대명사 뒤에 쓰일 때는 판단의 의미를 나타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8) bii ɔrɔʧᴇᴇn bəjə bi-ʃi-m. 1SG Oroqen person be-NPST-1SG 나는 오로첸 사람이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9) ʃii nii bi-ʃi-ni? 2SG who be-NPST-2SG 너는 누구입니까? }}} ##### 상태지속 {{{eg>oroq1238 (huzengyi2006:889) bii ʧəmku bi-ʃi-m. 1SG free be-NPST-1SG 나는 한가하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9) mʊrɪn tulgidə-du-n ʤalʊm bi-ʃi-n. horse outside-DAT-3SG.POSS full be-NPST-3SG 말이 밖에 가득 있다. }}} ##### 조건문 + bi-ʧəə {{{eg>oroq1238 (huzengyi2006:889) bii taŋŋaʧɪn aʃɪɪ-ja baka-ʧaa-ʃɪk-ɪw, aja bi-ʧəə. 1SG like.that wife-INACC get-PTCP.PST-COND-1SG.POSS good be-3SG.PAST 내가 그런 아내를 얻었으면 좋았을 텐데. }}} ##### 일반 동사 용법 {{{eg>oroq1238 (huzengyi2006:889) gʊgda gʊgda urə-du mikki ʤuu-tir bi-ʃi-n. high/tall high/tall mountain-DAT 1PL.INCL-GEN home-1PL.INCL.POSS be-NPST-3SG 높고 높은 산(싱안링산맥)에 우리 집이 있다. }}} ### ɔɔ- 조동사 ɔɔ-는 명사와 형용사 뒤에 쓰여 상태변화를 나타내 준다. 과거 시제 어미와 결합하면 상태변화가 이미 일어났다는 것을 나타내고 미래 시제 어미와 결합하면 상태변화가 곧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eg>oroq1238 (huzengyi2006:889) ŋanakɪn-ŋɪ algan-ɪn dɔkɔlɔn ɔɔ-ʧaa. dog-GEN leg-3SG.POSS limp become-3SG.PST 개의 다리가 절름거리게 되었다. }}} {{{eg>oroq1238 (huzengyi2006:889) tadʊk amaʃɪkaakki gujkə bi-ʃi bʊga-lɪɪ-n bajta-ja aaʧɪ ɔɔ-ʧaa. that after wolf be-3PL.NPST place-PROL-3SG.POSS matter-INACC no become-3SG.PST 그 후로 늑대가 있는 곳에는 태평해졌다./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게 되었다. }}} ɔɔ-가 일반 동사와 같이 쓰일 수 있다. {{{eg>oroq1238 (huzengyi2006:889) tɪmaana-nɪn ɔɔ-ʧaa. tomorrow-3SG.POSS become-3SG.PST 내일이 되었다. }}} ### ə- 조동사 ə-는 동사 앞에 위치하여 동사와 같이 부정문을 만든다. ə-는 기타 동사와는 달리 현재-미래 시제 직설형인 경우 -ʃi가 첨가된다. | ə-ʃi-m | NEG-NPST-1SG | | ə-ʃi-ni| NEG-NPST-1SG | | ə-ʃi-n | NEG-NPST-3SG | | ə-ʃi-w | NEG-NPST-1PL.EXCL| | ə-ʃi-p | NEG-NPST-1PL.INCL| | ə-ʃi-j | NEG-NPST-2PL | | ə-ʃi | NEG-3PL.NPST | 2인칭과 1인칭 복수의 즉행명령형 어미(即行祈使式)는 일반 동사와는 다르다. ə-의 즉행명령형 어미와 인칭표지와의 결합 양상은 아래와 같다. ^ ^ PERS ^ IMP ^ PERS.END ^ | SG | 1 | -ktə | - | | | 2 | -ʤj | -j | | | 3 | -ji | -n | | PL | 1EXCL | -ktə | -wun | | | 1INCL | -ŋnə | -r | | | 2 | -ʤi | -ʃun | | | 3 | -ji | -tin | ə- 뒤의 동사는 미완료 형동형식(未完成形动形式)/동명사형어미와 결합하고 문법범주는 모두 조동사 ə- 뒤에 결합한다. {{{eg>oroq1238 (huzengyi2006:890) mʊrɪn ɪl-ʧaa, ʤullə-kkəəki bajla ə-ʃi-n jabʊ-ra. horse stop-3SG.PST front-INDIR a.little NEG-NPST-3SG go-PTCP.NPST 말이 멈추고 앞으로 한 발작도 가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