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_noun : 명사 (noun) 명사에는 한정성, 수, 격의 범주가 있다. (클래스나 성 구분은 없다) ### 한정성 오세트어의 강세는 일종의 정관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어서, 2음절 강세를 지닌 명사가 한정적 대상을 지칭할 때는 강세가 1음절로 이동한다. 이것은 고대오세트어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좀 더 고대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디고르 방언에는 정관사의 흔적이 남아있다. {{{lex>osse1243 (Isaev1999:314) - бӕлóн : (any) dove & бӕ́лон : (a certain) dove - бӕлáс : (any) tree & бӕ́лас : (a certain) tree }}} ### 수 - 명사의 복수 : 접미사 -т가 어근에 바로 붙거나 아래의 경우에는 어간과 접미사 사이에 -ы-가 삽입된다. 복수 주격의 경우 특이하게 수 접미사 -т뒤에 주격 접미사 -ӕ가 추가된다. 1) 어간이 자음군으로 끝나는 경우 2) - ӕг, -ыг로 끝나는 2음절 이상의 어간 뒤 {{{eg>osse1243 (Isaev1999:315) бӕх-т-ӕ horse-PL-NOM 말들 }}} {{{eg>osse1243 (Isaev1999:315) куыст-ы-тӕ work-TV-PL 일들 }}} {{{eg>osse1243 (Isaev1999:315) барӕж-ы-тӕ horseman-TV-PL 기수들 (<-барӕг-ы-тӕ) }}} - 친족관계를 의미하는 몇몇 명사에는 -ӕлтое {{{eg>osse1243 (Isaev1999:315) мад-ӕлтое mother-PL 어머니들 }}} {{{eg>osse1243 (Isaev1999:315) фыд-ӕлтое father-PL 아버지들 }}} {{{eg>osse1243 (Isaev1999:315) ӕрвад-ӕлтое kindsman-PL 친척들 }}} - 단수와 복수 명사의 어간이 다른 명사들 {{{lex>osse1243 (Isaev1999:315) - ус : woman & устытӕ : women - хъуг : cow & хъуццытӕ : cow.PL - фыр : ram & фырытӕ : ram.PL - куыдз : dog & куйтӕ : dog.PL }}} ### 격 - 주격, 속격, 여격, 향격, 탈격, 재내격, 지점격, 유사격, 동반격의 9개 격이 있다. - 문법관계를 나타내는데 쓰이는 격은 주격, 속격, 여격, 때로는 지점격, 향격, 탈격, 동반격이다. 유사격은 부사어적 관계를 나타낸다. - 수 접미사 뒤에 결합한다. 주격과 향격에서 단수와 복수의 격 접미사의 형태가 다르다. ^ 격 ^ 격 접미사 ^ 단수 활용 예 ^ 복수 활용 예 ^ | 주격 | -∅ (단수), -ӕ (복수) | бӕх-∅ 'horse' | бӕх-т-ӕ | | 속격 | -ы | бӕх-ы | бӕх-т-ы | | 여격 | -ӕн | бӕх-ӕн | бӕх-т-ӕн | | 향격 | -мӕ (단수), -ӕм (복수) | бӕх-мӕ | бӕх-т-ӕм | | 탈격 | -ӕй, -йӕ (모음 뒤) | бӕх-ӕй | бӕх-т-ӕй | | 재내격 | -ы | бӕх-ы | бӕх-т-ы | | 지점격 | -ыл, уыл | бӕх-ыл | бӕх-т-ыл | | 유사격 | -ау | бӕх-ау | бӕх-т-ау | | 공동격 | -имӕ | бӕх-имӕ | бӕх-т-им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