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1) 고비구이중자음성모(古鼻口復輔音聲母)는 전청(全淸), 차청(次淸), 전탁(全濁)을 막론하고 모두 유성의 파열음이나 파찰음으로 바뀐다. 이점은 요어군(瑤語支)과 완전히 일치하다. 예를 들어,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4) ^ 전청 ^ 차청 ^ 전탁 ^ | bon³⁵ 눈(雪) | ɡai¹³ 목마르다 | bja³¹ 물고기, 생선 | | dʑa⁴⁴ 소금 | dzau³⁵ 빨래를 하다 | dli⁵³ 혀 | | gau¹³ 산비둘기 | bje⁴⁴ 개미 | dau²² 삼 | }}} - (2) 고전탁구음성모(古全濁口音聲母)는 양상과 양입조일 경우 모두 무기무성음(무기청음)으로 바뀌지만, 양평과 양거조일 경우 일부는 무기무성음으로, 일부는 유기무성음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5) ^ 양평 ^ 양상 ^ 양거 ^ 양입 ^ | ta³¹³ 오다 | to³¹ 불 | ta²² 죽다 | to⁵³ 콩 | | puŋ³¹³ 떨어지다 | pa³¹ 산 | po²² 나아가다 | tai⁵³ 밟다 | | tɬuŋ³¹³ 오동나무 | kwa³¹ 손 | kjuŋ²² 살지다 | pu⁵³ 보이다 | | tɕhu³¹³ 아홉 | tɕi³¹ 차 | tshau²² 뚫다 | tau⁵³ 물다 | | kjhon³¹³ (물이) 따뜻하다 | tɕa³¹ 나뭇가지 | tɕhu²² 적다 | kjo⁵³ 쫓다 | }}} - (3) 양순파열음 p와 b 뒤에 고모음 u가 올 경우 양순이 떨린다. 예를 들면, pu²² [pΨu²²] ‘고름’, kaŋ⁴⁴bu¹³ [kaŋ⁴⁴bΨu¹³] ‘개구리’, tuŋ³¹³puŋ³¹ [tuŋ³¹³pΨuŋ³¹] ‘동반자’ 등이 있다. 순음성모와 같이 나오는 운모uŋ 은 때로는 u가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u가 생략되더라도 양순이 여전히 떨려야 한다. 예컨대, ‘주판’은 suŋ⁵⁵puŋ³¹³ [suŋ⁵⁵pΨŋ³¹³]으로 읽을 수 있다. - (4) 설근비음 ŋ은 성모와 운미 외에, 단독으로 운모가 될 수 있다. 성모와 같이 나오지 않아도 단독으로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성모와 아울러서 나올 수도 있다. 때문에 운모표에 넣는 것이다. 예를 들어,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5) | ŋ³¹³ 소 | ʔŋ¹³ 물 | kŋ¹³ 철강 | | pŋ³¹³ (물이) 끓었다 | thŋ⁵⁵ 통(桶) | fŋ¹³ 네모 | }}} - (5) 성모 f와 운모 ŋ이 아울러서 나올 때, f가 때로는 운모에 동화되어 ŋ̥가 된다. 예컨대, fŋ³¹³kwa¹³ [ŋ̥ŋ³¹³kwa¹³] ‘오이’, ma³¹fŋ³¹³ [ma³¹fŋ̥³¹³] ‘말거머리’. ŋ̥은 성모표에 넣지는 않는다. - (6) -n, -ŋ 이 두 개의 비음운미가 있고, 이점은 묘어군(苗語支)의 다수 방언(-m, -n, -ŋ 세 개의 비음운미가 있다)과 다르며, 사어군(畲語支)에 속한 언어와 일치하다. - (7) 전탁성모가 무성음화 이후, 양평, 양상과 양입조를 가진 글자들은 모두 성문반찰음 ɦ이 없지만, 일부의 양거조 글자가 성문반찰음이 있다. 예컨대, {{{lex>pana1310 (sunhongkai2007:1605) | pu²² [pɦu²²] 진하다 | tɕu²² [tɕɦu²²] 무릎 | bja²² [bjɦa²²] 죽순 | | nuŋ²² [nɦuŋ²²] 비 | nu²² [nɦu²²] 새 | | }}} - (8) 구개수음성모가 없다. - (9) 경성은 그다지 뚜렷하지는 않다. - (10) 연속 변조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