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를 갖는다. 인칭대명사는 명사가 갖는 13개의 격이 아닌, 7개의 격(주격, 생격, 대격, 조격, 결여격,변성격, 수여-방향격) 변화만 갖는다.(비교격, 내향, 처격, 외향격, 경로격, 호격 제외) 인칭대명사변화는 인칭소유 형태는 갖지 않는다. 대명사에서 1인칭, 2인칭은 주격과 생격이 동일하다. 대격에서는 1,2인칭에 경우 ман /мат 나, тан/тат 너 의 어근을 따르지 않고, шɪ 를쓴다. - 나 мат/ман - 너 тат / тан - 그, 그녀 тəп / тəм - 우리(두명) ме / меӄɪ - 당신들(두명) тэ/ тэӄɪ - 그들(두명) тəпäӄɪ - 우리(여러명) ме - 당신들(여러명) тəпыт 3인칭 тəп는 활동체, 비활동체는 намы 를 쓴다. {{{eg>selk1253 (Kuznecova2002:270) тəп пирӄы эӈа he high.ADJ be.3SG 그는 (키가) 큰 사람 이다. }}} {{{eg>selk1253 (Kuznecova2002:270) По-намы пирӄы эӈа tree-it high be.3SG 나무 - 그것은 키가 큰 나무 이다. }}} ### 인칭대명사 단수 격변화 |격/인칭| 1인칭 단수 | 2인칭 단수 | 3인칭 단수 | |NOM |Ман / мат|Тан / тат|тəп| |GEN |Ман / мат|Тан / тат|тəпын| |ACC |шɪм, машɪм|шɪнты, ташɪнты|тəпым| |INS |массä |тассä |тəпсä| |ABE |маткөлык|таткөлык|тəпкөлык| |TRANSL|матӄо |татӄо |тəпытӄо| |DAT |мäккä |тäнты |тəпынык| |DAT |матӄäк |тäнтынык |тəпыткинɪ | |DAT | |татӄäнты | | ### 인칭대명사 쌍수 격변화 |격/인칭| 1인칭 쌍수 | 2인칭 쌍수 | 3인칭 쌍수 | |NOM|ме|тэ|тəпäӄɪ| |GEN|ме|тэ|тəпäӄɪн| |ACC|шɪмɪ|шɪнтɪ|тəпäӄɪм| |INS|месä|Тэсä|тəпäӄɪсä| |ABE|мекөлык|тэкөлык|тəпäӄɪөлык| |TRANSL|Меӄо|тэӄо|тəпäӄɪтӄо| |DAT|меӄыни|тэӄыньчɪ|тəпäӄɪткинɪ| ### 인칭대명사 복수 격변화 |격/인칭| 1인칭 복수 | 2인칭 복수 | 3인칭 복수 | |NOM|ме|тэ|тəпыт| |GEN|ме|тэ|тəпытын| |ACC|шɪмыт|шɪнтыт|тəпытым| |INS|Месä|Тэсä|тəпыссä| |ABE|мекөлык|тэкөлык|тəпыткөлык| |TRANSL|Меӄо|Тэӄо|тəпытытӄо| |DAT|меӄыньыт|тэӄыньчыт|тəпытыткинɪ| ## 강조대명사 - 나 스스로 онäк - 너 스스로 онäнты - 그 스스로 онты - 우리(두명) 스스로 онɪ - 당신(두명), 스스로 онтɪ - 우리(여러명) 스스로 оныт - 당신(두명) , 그들 스스로 онтыт ## 재귀대명사 간접적인 격에서 (대격, 수여-방향격, 조격, 생격) 대명사의 재귀 역할을 한다. (oneself) ### 재귀대명사 단수 변화 |인칭/수 | NOM | ACC | INS | DAT | |1SG|Онäк|Онäӄӄö-ш(а)но(ӄо) |Онäксä|Онäӄӄäк, онäӄӄош(а)ӄäк| |2SG|онäн-ты|Онäнтыӄо-ш(ан)-то-(ӄо) |Онäн-тысä|онäнтыӄäнты, онäнтынык, онäнтыкинɪ,онäнтыӄош(а)-ӄäнты| |3SG|онты|Онтыӄо-ш(ын)то-(ӄо) |Онтысä|онтыӄынты, онтынык, онтыкинɪ,онтыӄош(о)ӄынты| ### 재귀대명사 쌍수 변화 |인칭/수 |NOM |ACC |INS |DAT | |1DU |онɪ |онɪӄо-ш(ы)но |онɪсä |онɪӄынɪ, онɪӄош(о)ӄынɪ | |2DU, 3DU|онтɪ |онтɪӄо-ш(ын)тɪӄö|онтɪсä|онтɪӄынтɪ,онтɪкинɪ,онтɪӄош(о)ӄынтɪ| ### 재귀대명사 복수 변화 |인칭/수|NOM |ACC |INS |DAT | |1PL |оныт|онытӄо-ш(ы)ныт-ӄо|оныссä|онытӄыныт, онытӄош(о)ӄы-ныт| |2PL,3PL|онтыт|Онтытӄо-ш(ын)-тытӄо|Онтыс-сä|Онтытӄынтыт,онтыткинɪ,онтытӄош(о)ӄынтыт| ## 지시대명사 - 이것 там - 저것 то, толь, тонна - 저것과 같은것 тɪна - 바로 이것 ылна ылтам ## 의문대명사 - Ӄай? 무엇? 누구? - Куты? 누구? - Ӄайыль? 어떤? - Кутыль? 누구의? - Ку? Куччä? 어디로? - Кушшак? 얼마? ## 부정(否定) 대명사 - Никуты 누구도 - Ниӄай 무엇도 - Ниӄайыль 어떤것도 - Никушшан 언제라도(시간이없다) 소사 ни를 의문대명사 앞에 띄어쓰기 없이 붙인다. 소사 äмтä 는 의문대명사 앞에 붙인다. Äмтä кай 무엇도, äмтä куты 누구도 äмтä кут 어디에도 소사 ни와 äмтä 의 차이점은 부정을 더욱 강조할 때 äмтä를 쓰며, äмтä 는 의문대명사와 띄어서 쓴다. {{{eg>selk1253 (Kuznecova2002:283) Уккыр по äмтä чаӈӄа. one tree even no.3SG 단 한그루의 나무도 없다. }}} ## 부정(不定) 대명사 - 부정대명사는 의문대명사에 소사 эмä를 붙여 만들어 불특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Кутэмä 누구든지 Кунэмä 어디로부터든지 - 소사 кос는 대명사 주로 앞에 붙여서 사용하는데(뒤에 붙이는것도 가능), 예를들어 누군가가 있긴 있지만, 누구인지 나타내지 않을 때 사용한다. 예)Кос ӄай 무엇인가 Кос куччä / куччä кос 어디론가 - 소사 ӄап/ ӄам은 대명사 뒤에 붙이며, «하다못해 ~라도» 의미를 갖는다. 예)Куты ӄап 하다못해,~ 누구라도 Ӄайыль кап 하다못해 어떤거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