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춰나-먼바어의 구조조사는 부치사에 넣어서 서술한다. # 구조조사 춰나-먼바어의 구조조사는 ‘[ko31], [te31], [le53], [kA31], [re31], [ki31] 등 6개가 있다. 이들은 문장에서 각기 다른 문법 작용을 나타낸다. (1) 구조조사 [ko31]은 명사나 대명사 뒤에서 소유자를 나타낸다. {{{eg>tawa1289 (lushaozun1986:83) [pe35 ko31 ji35ei53 kA35to53 ne?35]? 3SG POSS book where exist 그의 책은 어디에 있어? }}} (2) 구조조사 [te31]은 동작주 및 사용하는 도구를 나타낸다. 1) 동작주를 나타내는 경우 {{{eg>tawa1289 (lushaozun1986:84) [NA35rA?53 te31 mAk55mi53 nAN35 le31 lem35tAN53] Khri53-wo53 [jin35] 1PL AGT warrior PL PTCL road lead-PAST AUX 우리는 전사들에게 길을 인도하였다. }}} 2) 사용된 도구를 나타내는 경우 {{{eg>tawa1289 (lushaozun1986:84) [cer35kAn55 n\y35ku53 te31 ji35ci53] pri35-wo53 [ne?35] teacher bamboopen INS character write-PAST AUX 선생님은 대나무 붓으로 글자를 썼다. }}} (3) 구조조사 [le31]은 여격과 비교 관계를 나타낸다. 1) 여격을 나타내는 경우 {{{eg>tawa1289 (lushaozun1986:85) [pe35 te31 cer35kAn55 le31 ji35ei53 the?53 pri35wo53 ne?35] 1SG POSS teacher DAT letter one write-PAST AUX 그는 선생님에게 한 통의 편지를 썼다. }}} 2) 비교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 [le31]이 비교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 어순은 두 가지로 나타날 수 있는데 하나는 [le31]이 두 명사 뒤에 놓이는 경우이고 하나는 [le31]이 두 명사 사이에 놓이는 경우이다. 어순이 달라지면 두 명사 사이의 비교기준과 비교대상 관계가 달라진다. ① [le31]이 두 명사 뒤에 놓이는 경우 {{{eg>tawa1289 (lushaozun1986:85) [Ne35 pe35 le31 thO55po53 jin35] 1SG 3SG COMPAR tall COP 나는 그보다 크다. }}} ② [le31]이 두 명사 사이에 놓이는 경우 {{{eg>tawa1289 (lushaozun1986:86) [Ne35 le31 pe35 thO55po53 jin35te31] 1SG COMPAR 3SG tall COP 그는 나보다 크다. }}} (4) 구조조사 [kA31]과 [re31]은 모두 장소를 나타낸다. 이 중에서 [kA31]은 비교적 자주 쓰인다. {{{eg>tawa1289 (lushaozun1986:87) [tshi55tA53 kA31 N\A35 ne?35] river LOC fish exist 강에 물고기가 있다. }}} {{{eg>tawa1289 (lushaozun1986:87) [ri35tse53 re31 s\eN35mA53 ne?35] mountaintop LOC tree exist 산꼭대기에 나무가 있다. }}} (5) 구조조사 [ki31]는 '-로부터' 혹은 '기원'을 나타낸다. {{{eg>tawa1289 (lushaozun1986:87) [NA35rA?53 pe55ts\iN55 ki31] rA35-wo53 [jin35] 1PL Peking ABL come-PAST AUX 우리는 북경에서 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