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 타타르어의 강세는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의문대명사가 첫음절에 나올경우, 강세는 없다. |кем — кто?누구?| |кайда — где?어디에서?| |кайчан — когда?언제?| |ничек — как? 어떻게?| |кинди — какой?어떤?| |кая — куда?어디로?| |кайдан — откуда?어디로부터?| |нəрсə — что? 무엇을?| 그러나 ни̍чə? (how much) , ка̍йчаннан(since when) ? 에는 강세가 붙는다. - 강세는 부정을 나타내는 접사 – ма, -мə 에는 절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бар — барма| |кил — килмə| |аша — ашама| - 의문을 나타내는 접사 –мы, -ме 에도 붙지 않는다. |Бармы? — есть ли?있는지 (없는지)?| |юкмы? — нет ли? 없는지 (있는지)?| |кирəкме? — надо ли?해야하는지 (아닌지)?| |белəме? — знает ли?아는지 (모르는지)?| |матурмы? — красива ли?예쁜지 (아닌지)?| - 강세가 올 수 없는 접사 -ча/чə, -дай/дəй , -мын/мəн, - быз/без, -сың/сең , -сыз/-сез 는 바로 앞 음절에 강세를 나타낸다. - 단어가 접사와 연결되어 있을 때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 {{{eg>tata1255 (Zakiev2005:70) ка́п-кара most-black 가장 검은 }}} {{{eg>tata1255 (Zakiev2005:70) са́п-сары most-yellow 가장 노란 }}} - 그러나, 부정(NEG) 형태의 동사원형 또는 미래를 나타낼 때에는 강세를 마지막 음절에 붙인다. {{{eg>tata1255 (Zakiev2005:70) бар-ма-ка́ go-NEG-INF 가지 않다. }}} {{{eg>tata1255 (Zakiev2005:70) бар-ма-сла́р go-NEG-3SG.FUT 그들은 가지 않을 것이다. }}} {{{eg>tata1255 (Zakiev2005:70) бар-ма-бы́з go-NEG-2SG.FUT 너는 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