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탕랑어의 어휘는 고유어와 외래어로 이루어진다. ### (1) 고유어 - 상당수의 고유어는 티베트버마어파(藏缅语族) 이버마어군(Lolo-Burmese, 彝缅语群)과 같은 기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탕랑어 어휘의 핵심 부분이다. - 일부 단어를 들자면 다음 표와 같다. ^ 단어 ^ 버마어(缅语) ^ 징퍼어(景颇语) ^ 이어(彝语) ^ 리쑤어(傈僳语) ^ 지눠어(基诺语) ^ 탕랑어(堂郎语) ^ | 하늘 | mo⁵⁵ | lă³¹mu³¹ | mu³³ | mo³³~ | tsʰo⁵³na⁴² | mɤɹ⁴² | | 뱀 | muoi³³ | lă³¹pu³³ | bu³³ʂɿ³¹ | fu⁴⁴ | ɣɯ⁴² | χæ³³ | | 날다 | pjan³³ | pjen³³ | dʑi³³ | bi³³ | pɹɛ³³ | lʌɹ⁴² | | 무껍다 | le⁵⁵ | li³³ | a⁴⁴lɿ³³ | li³¹ | ɬi³³ | lɯ⁵³ | ### (2) 차용어 - 탕랑어 어휘의 차용어는 주로 중국어, 나시어, 바이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 1) 중국어 차용어 - 일부 중국어 차용어는 이미 기본 어휘에 침투되었다. 1500개 기본 어휘 중에 8%정도는 중국어 차용어다. - 초기의 중국어 차용어는 주로 자연지리 명칭, 일상생활 용어, 동물 및 식물 명칭, 질병 명칭, 친족 명칭 그리고 사람의 동작 행위를 나타내는 단어들이다. - 품사로 볼 때 명사, 동사는 반반이고 형용사, 분류사는 소수이다. {{{lex>tang1372 (gaixingzhi2007:368) - xɯ⁵⁵ : 바다 - væ⁵⁵tsɿ³³ : 양말 - la³³tsɿ³³ : 노새 - tɕʰi⁵³tsɿ³³ : 가지 - da³¹li³³ : 이질 - kɤ⁵⁵kɤ⁵⁵ : 고모 - tɕʌ³³ : 말하다 - pʰu³³ : 도망가다 - kʰua³³ : 넓다 - tɕi³³ : 근(분류사) }}} - 나시어 차용어 및 바이어 차용어는 주로 1949년 이전에 차용된 것이며 주로 생활용어이다. #### 2) 나시어 차용어 {{{lex>tang1372 (gaixingzhi2007:368) - sa³³ : 자물쇠 - dʐɤɹ⁵⁵qɤɹ³³ : 열쇠 - lã⁵⁵ : 재다 - pã³¹nã⁵⁵ : 부드럽다 }}} #### 3) 바이어 차용어 {{{lex>tang1372 (gaixingzhi2007:369) - zɯ⁵⁵mɯ⁵⁵ : 옥수수 - mɯ³³ȵi³³χæ̃³³ : 국수 - tæ̃³³fæ̃³³ : 시집가다 - ɕo³³ : 달다(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