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와어의 量詞(수분류사)는 명량사와 동량사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명량사 명량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lex>waaa1245 (zhouzhizhi2009:398) - kha̠u̠ʔ : 척 - mhɯ̠n : 원(화폐단위) - kin : 근(斤) - ka̠ɯ̠ʔ : 개 - phɯ̠n : 건(件) }}} 어떤 명사는 차용하여 명량사로 쓸 수 있다. {{{lex>waaa1245 (zhouzhizhi2009:398) - klo̠ŋ : 그릇 - ʔɔ̠ : 솥 - klɔ̠ŋ : 강(江) - ɡɔŋ : 산(山) }}} ### 동량사 {{{lex>waaa1245 (zhouzhizhi2009:398) - hɔk : 번, 회 - vut : 한 번 - ɡla̠ɯ̠ʔ : 한 동안, 잠시 }}} 어떤 명사는 차용하여 동량사로 쓸 수 있다. {{{lex>waaa1245 (zhouzhizhi2009:398) - vaŋtuah : 요일 - ŋa̠i̠ : 눈 - sɔ̠m : 밤 - num : 해(年) }}} ### 양사의 문법 기능 #### (1) 양사는 일반적으로 중첩할 수 없다. 만약 모든 것을 포함해야 할 때는 'ku : 매(每)'를 양사 앞에 써서 표시한다. {{{eg>waaa1245 (zhouzhizhi2009:398) ku ŋaiʔ every day 매일 }}} {{{eg>waaa1245 (zhouzhizhi2009:398) ku daɯh every place 모든 장소 }}} #### (2) 양사는 'ʔi̠n : 이(這)','ʔa̠n :그, 저(那)' 등의 지시대명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eg>waaa1245 (zhouzhizhi2009:398) phɯ̠n ʔi̠n CL this 이 것 }}} {{{eg>waaa1245 (zhouzhizhi2009:398) hɔk ʔa̠n CL that 저 번 }}} #### (3) 양사는 수사와 결합하여 수량구조를 이루어 부사어, 주어, 목적어, 계사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수량구조가 부사어로 쓰인 예는 다음과 같다 {{{eg>waaa1245 (zhouzhizhi2009:404) pe̠ʔ ra̠ bɔk tɯi ʔu̠i̠k 2PL two CL take finish 너희들은 두 번에 다 가져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