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6_ptcl : 첨사(particle) 동부요고르어의 첨사로는 판단어기조사, 진술어기조사, 의문어기조사, 강조어기조사, 환기어기조사 등이 있다. ### 판단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판단어기조사로는 'bai', 'wai', 'be', 'we' 등이 있다. 정태적인 서술어나 형동사, 부동사 서술어 뒤에 나온다. 'bai', 'be'는 b, d, ɢ,ɡ, n, m, ŋ 등의 자음 문미 단어 뒤에 나온다. 'wai', 'we'는 기타 자음과 모음 문미 단어 뒤에 나온다. 'be', 'we'는 발화자 본인 혹은 발화자가 대표하는 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신분 특징, 행위 동작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bai', 'wai'는 타인이나 타인의 물건, 혹은 타인이 대표하는 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신분 특징, 행위 동작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be'를 사용한 예는 다음과 같다. {{{eg>east2337 (zhaonasitu2006:412) bu lə mededeɡ be 1SG NEG know PTCL 나는 모르는 일이다 }}} 'wai'를 사용한 예는 다음과 같다. {{{eg>east2337 (zhaonasitu2006:412) dere boʁonə wai pillow low PTCL 베개가 낮다 }}} ### 진술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진술어기조사로 'bam', 'wam','bamna', 'wamna'가 있다. 정태적 서술어와 형동사(形動詞) 서술어 뒤에 나온다. {{{eg>east2337 (zhaonasitu2006:412) ene pes sain bam(na) this cloth good DEC 이 천은 좋다 }}} ### 의문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의문어기조사로 'u', 'ju', 'bə','wə','ja','ba','ʃa' 등이 있다. 'u', 'ju'는 진술문과 판단어기조사를 표지로 하는 판단문 뒤에 나온다. 'u'는 자음과 단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나오는데, 단모음은 이 때 탈락하게 된다. 'ju'는 장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나온다. #### 판정 의문문 {{{eg>east2337 (zhaonasitu2006:413) mudʒaŋ b(e) u carpenter is Q 목공입니까? }}} #### 정반 의문문 {{{eg>east2337 (zhaonasitu2006:413) tʃəmadə qudaʁa bii ju, uɤui ju 2SG sword have Q don't.have Q 너는 칼이 있니? 없니? }}} #### 설명 의문문 {{{eg>east2337 (zhaonasitu2006:413) tanə jasən ima wə 2SG bone what Q 당신은 성이 무엇입니까? }}} ### 강조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강조어기조사로 'wəile', 'ʃo', 'la', 'da', 'mada' 등이 있다. 'wəile', 'ʃo'는 문미에 사용한다. 'la', 'da', 'mada'는 강조어기의 문장 성분 뒤에 사용한다. {{{eg>east2337 (zhaonasitu2006:413) bu χana mada lə jawəwa 1SG anywhere INT NEG go 나는 아무데도 가지 않았다 }}} ### 환기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환기어기조사로 'dʒoo'가 있다. {{{eg>east2337 (zhaonasitu2006:413) aid mula, naadə noχɢuidə pudə ʐeele, tʃəmin dʒuuχɢə wam dʒoo EXCLAM child here dog PROH offend 2SG bite DEC PTCL 어이, 아이야, 너 이 개를 화나게 하지 마라, 이 개가 너를 물 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