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는 양사(=수분류사)가 존재하며, 다이어의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나눌 수 있다.
피수식어가 동물일 경우 양사 to1를 사용한다.
중국어의 ‘只,头,匹‘에 해당한다. 즉, 마리, 필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피수식어가 사람일 경우 사용된다. 중국어의 ‘个’에 해당한다.
피수식어가 사람일 때 사용된다. 중국어의 ‘个,位’에 해당한다. 즉, 평칭 뿐 아니라 존칭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느다란 물건을 셀 때 사용한다.
원형의 물건을 셀 때 사용한다.
많은 사물에 통용할 수 있는 양사이지만 사람에 쓰이지는 않는 양사이다.
다이어의 동량사는 매우 적다. 상용되는 동량사는 시수앙반나 방언에서는 pɔk8, tə6를 들 수 있다. 더홍방언에서는 pɔk8, phau5를 들 수 있다. tə6과 phau5는 중국어의 ‘次(차), 回(회)’에 해당하고 pɔk8은 중국어의 ‘次(차), 趟(왕복한 차례)’에 해당한다. 다음은 pɔk8의 예이다.
동량사와 수사가 같이 동사의 뒤에 출현하여, 동작을 계량하는 역할을 한다.
명사가 동량사로 차용되기도 한다.
동사가 동량사로 차용되기도 한다.
즉, ‘haːp8 : 지다’ 동사가 본동사로도 나오고 동량사의 역할도 하는 경우이다.
| Taŋ2laːi1 | tɯŋ2pɯk7 | haːp9 | dai3 | saːu2 | haːp9 |
| everybody | total | shoulder | get | twenty | load |
(본문의 예문 위 설명에서는 'haːp8', 예문에서는 'haːp9'로 성조가 다르게 표기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쓰여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