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조음 t, th, d, n, l과 고모음 i나 개음 i를 가진 모음과 결합할 경우, 음가는 ȶ, ȶh, ȡ, ȵ, ɬ에 가깝고, 단 ni와 ȵi는 서로 대립적인 관계이다.
(2) 연구개음 k, kh, ɡ, ŋ, x와 i나 개음 i를 가진 모음과 결합할 경우, 음가는 c, ch, ɟ, ɲ, ç에 가깝고, u나 개음 u를 가진 모음과 결합할 경우, 뚜렷한 순음화 현상이 일어나고 음가는 ɸ에 까깝고, 기타 모음과 결합할 경우, 음가는 h에 가깝다.
(3)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모음 앞에 모두 후두파열자음 ʔ을 가진다. 대립쌍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음소로 처리하지 않는다.
(4) 단자음 f, tʂ, tʂh, ʂ는 주로 한자 차용어와 티베트어 차용어에서 나타난다. 이들 발음은 모두 비교적 안정하다.
(5) 단자음 m, n, ŋ은 성모 외에, 운모로도 쓰일 수 있다. 무성음화 비음 성모 m̥, n̥, ŋ̊ 은 모음 운모와는 결합할 수 없고, 발음 위치가 같은 비음 운모와만 결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