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구아어 전체 어휘의 2/3 정도가 동사에 해당한다 (최근 7.6만 단어가 수록된 사전 중에서 4.9만 단어가 동사였다; Abdullaevetal2014:256)
다르구아어 동사에는 클래스, 수, 상, 서법, 시제, 인칭의 문법범주가 있다
용법상으로는 타동사와 자동사가 구분된다. 타동사와 자동사는 문장의 필수요소 외에 동사 활용의 형태에서도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서 타동사의 미래시제는 -а, -у 표지가, 자동사 미래시제는 -н, -р이 쓰인다(48_TAME 문서 참고).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 사동동사로 만들 수 있다
타동/자동성과 상 범주는 동사의 의미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어서 다른 범주(클래스, 수, 시제, 인칭, 서법)과 달리 모든 동사에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다
Abdullaev(1969:125)에 따르면 하나의 동사 어휘가 클래스, 수, 시제, 인칭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형태가 690개에 이른다(Abdullaevetal2014:256에서 재인용)
동사의 부정형으로 부정사, 마스다르, 형동사, 부동사가 있다
다르구아어 동사의 부정사는 접미사 -ес/-эс 형태를 취한다.
어간과 접미사로 이루어진 (합성, 파생 등이 일어나지 않은) 기본동사는 전체 동사의 8% 정도인 200여개로 많지 않다
기본동사의 어간은 보통 1음절이며 자음으로 끝나는데, 아래 4개 동사는 어간에 모음이 없이 자음으로만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