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3_verb : 동사 (verb)

하니어에서 동사는 일반적으로 단음절이다. 하니어에서 어떤 경우는 명사 형태소가 동사로 전화되기도 한다. 즉, 어떤 동사는 이음절 명사의 뒤 한 음절에서 전화된 것이다. 예를 들어서 AB는 명사이고 B가 동사인 경우이다. 의미 면에서 볼 때 AB-B는 주술 관계일 수도 있고 동목 관계일 수 있다. 명사에서 전화된 동사는 대부분은 자발적인 의미의 동사이다.

문법 관계

(1) AB-B가 주술 관계인 경우

그 예문은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48
a55je̠33je̠33
flowerblow
꽃이 핌/꽃을 피우다.

위 예문에서 a55je̠33은 ‘꽃이 핌’이라는 명사이고 je̠33는 ‘(꽃을) 피우다’라는 뜻의 동사이다.

(2) AB-B가 동목 관계인 경우

동목 관계인 경우는 많이 볼 수 없다. 그 예문은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49
xa33u̠33u̠33
egghatch
달걀을 부화시키다.

### 동사의 중첩

동사는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중첩할 수 없다. 동사는 중첩할 때 명사 형태소와 서로 결합하여 AB-B 형식을 이룬다. A는 명사의 어근이고(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음), B는 동사이다. A와 B의 결합이 매우 긴밀하며, AB는 동명사의 성격을 가진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1) AB-B 중첩

hani1248 liyongsui1986:49
u31to33to33
wrap.headwrap
머리를 싸맴.

위 예문은 ‘u31du31 + to33 + to33’ 즉, ‘머리 + 싸매다 + 싸매다’가 동명사 형으로 변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AB-B 형식에서 AB와 B 사이에 수식어를 삽입할 수 있다.

hani1248 liyongsui1986:49
O31ze55ts\hi31bO31ze55
rainoneCLfall
한 바탕 비가 내림.

위 예문은 ‘O31ze55’와 ‘ze55’ 사이에 ‘s\hi31 bO31’이 수식어로 삽입된 것이다.

(2) ABCB-B 중첩

동사는 ABCB-B 의 형식으로 중첩할 수도 있다. A와 C는 병렬 관계의 명사 혹은 명사 어근이고 B는 A, C와 모두 관계있는 동사이다.

hani1248 liyongsui1986:50
O31lu33mi55lu33lu33
skyquakeearthquakequake
지진

위 예문은 O31 + lu33 + mi33tsha31 + lu33 + lu33, 즉, ‘하늘 + 흔들리다 + 땅 + 흔들리다 + 흔들리다’가 변형되어 생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동사

조동사는 동사의 뒤에서 가능성, 필요성, 의지 혹은 희망을 나타낸다. 잘 쓰이는 조동사로는 ‘N\a33’(중국어 ‘能,会’에 해당), ts\i31(중국어 能,得에 해당), ‘ts\hO55’(중국어 能,得에 해당), ‘7a31’(중국어 可以에 해당), ‘ph731’(중국어 敢에 해당), ‘na33’(중국어 肯에 해당), ‘mo_-31’(중국어 想,要에 해당), ‘u55bo33’ 혹은 ‘bo33’(중국어 应该에 해당)등이 있다. 조동사는 동사의 뒤에 쓰여서 가능성, 필요성, 의지, 바람 등을 나타낸다.

hani1248 liyongsui1986:50
bu̠31n\a33
writecan
쓸 줄 안다(잘 쓴다).

조동사는 동사와 나란히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동사만 단독으로 사용하여 질문을 하거나 대답을 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드물다.

hani1248 liyongsui1986:51
7a31ma317a31?
canNEGcan
가능해 불가능해?
hani1248 liyongsui1986:51
7a31
can
가능해.

일반적으로 동사는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그렇지만 조동사를 대동한 경우에는 가능하다.

hani1248 liyongsui1986:51
do̠33bu̠31n\a33
verywritecan
매우 잘 쓴다.

방향동사

방향동사로 ‘la55’(오다), ‘i_-33’(오다), ‘li33’(가다), ‘i55’(가다), ‘du_-33’(나가다), ‘thO33’(들어오다), ‘da_-33’(오르다), ‘s\a33’(내리다), ‘da_-33la55’(올라오다), ‘s\axe55’(내려가다) 등의 동사가 있다. 다른 동사의 뒤에서 동작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렇게 사용될 때 변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1) 방향동사로 사용된 경우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동사로 사용되었고 성조의 변화가 있는 예는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52
ba̠31~55la55~33
takecome
가져오다

(2) 방향동사로 사용되지 않은 경우

연속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로 사용되었고 따라서 성조의 변화가 없는 예는 다음과 같다.

hani1248 liyongsui1986:52
ba̠31la55
takecome
와서 집다

결합동사

dza31은 원래 '먹다'의 의미를 가진 동사인데 다른 동사의 뒤에 쓰여서 '먹다'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다른 동사가 출현할 때 같이 출현하는 역할을 한다.

hani1248 liyongsui1986:53
tje24zi53xu33-dza31
moviesee-eat
영화를 보다.

dza31’은 매우 많은 동사와 결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떤 동사는 ‘dza31’과 결합한 후에 의미에 변화가 생긴다. 예를 들면 'de31'은 '밀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de31dza31'은 '싸우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dʑo55'는 '앉다'의 의미를 나타내고 'ju31'는 '자다'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뒤에 'dza31'을 부가한 후에는 각각 '청년남녀가 같이 앉다', '청년남녀가 같이 자다'의 의미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