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кайтагский
2) подгорный
3) буйнакский
4)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5) терский
кайтагский 와 подгорный 방언은 쿠미키야의 남부지방에서 사용한다.
буйнакский 와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 терский 는 북부 방언이다.
남부방언과 북부방언의 차이는 모음조화의 유무 이다.
남부 방언은 에는 없지만 북부 방언에 있는 음성 법칙이 있다.
남부 방언과 북부방언의 차이는 남부방언은 음성학적 영향력을 다르구아어에 끼쳤다.
쿠미크어 문학은 10월 혁명 이후로 буйнакский 와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방언 중심에서 문학은 발전하게 되었다.
кайтагский 방언으로 쓰인 문학작품들과 차이점을 보인다.
1) 모음의 구개음조화가 파괴됨.
2) 자음의 후두폐쇄음의 존재
3) '–ып+ 인칭접사' 형태 존재
4) плюсквамперфект –ып+ эди 등의 형태 존재.
Dmitryev는 쿠미크어의 방어을 세분류로 나누었다.
| хасавюртовский |
| буйнакский |
| кайтагски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