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모음조화

전설 후설
평순 원순 평순 원순
i y ɨ u 고모음
e ø a o 저모음

구개적 모음조화

후설모음 조화
첫음절 후속음절 예시
비원순·비원순 a a, ɨ ata ‘아버지’, balɨk ‘물고기’, sagɨzgan ‘까치’, tapšɨrma ‘숙제’
ɨ ɨ, a ɨsɨk ‘뜨겁다’, kɨska ‘짧다’, mɨjzam ‘법’, kɨrandɨk ‘용감함’
원순·원순 o o, u bolot ‘쇠’, otur ‘앉다’, dobuš ‘투표’, dostuk ‘우정’
u u, o: suro: ‘질문’, buro: ‘돌기’, kulo: ‘떨어지기’
원순·비원순 u u, a kuruluš ‘건설’, kujruk ‘꼬리’, ʤumurtka ‘계란’, kumurska ‘개미’
kirg1245 talapova2018:000
tamak-tar-dɨnkal-gan-dar-ɨ
meal-PL-ABLleave-NMZ-PL-RFL
‘음식 중 남은 것들’
kirg1245 talapova2018:000
ʤɨlaŋajlakbas-kan-ɨʤaɨ
barefootstep-NMZ-RFLgood
‘맨발로 걷기가 좋다’
kirg1245 talapova2018:000
čoguluš-tuujuš-tur-ganadam-dar
meeting-ACCorganize-PAST-DETman-PL
‘모임을 주최한 사람들’
kirg1245 talapova2018:000
ša:r-daturuu-lar-gaɨŋgaj-sɨz-dɨk-tɨʤarat-at.
city-LOCresident-PL-DATcomfort-NEG-NMZ-ACCcreate-PRES.3SG
‘도시 시민들에게 불편함을 일으킨다.’
전설모음 조화
첫음절 후속음절 예시
비원순·비원순 e e, i ene ‘어머니’, deŋiz ‘바다’, teri ‘가죽’, teskeri ‘반대로’
i i, e kiši ‘사람’, čie ‘앵두’, tilek ‘소원’, išenič ‘믿음’, išmer ‘달인(명수)’
원순·원순 ø ø, y ʤøʤø ‘병아리’, kømyr ‘석탄’, køpyrø ‘다리’, døŋgyl ‘언덕’
y y, ø kymyš ‘은’, kyčyk ‘강아지’, ʤyrøk ‘심장’, mynøz ‘성격’, syjløš ‘대화’
kirg1245 talapova2018:000
mektep-ter-dekitep-terʤetiš-siz
school-PL-LOCbook-PLenough-NEG
‘학교에 책들이 부족하다.’
kirg1245 talapova2018:000
biz-gebil-giz-dir-be-jøt-ypket-ti
we-DATknow-CAUS-NEG-CONVpass-CONVgo-PAST.3SG
‘우리가 모르게 (우리에게 알리지 않게) 지나갔다.’
kirg1245 talapova2018:000
kør-bø-gøn-ybyz-gøekikynbol-du.
see-NEG-NMZ-RFL-DATtwodaybecome-PAST.3SG
‘보지 않은지 이틀이 되었다.’
kirg1245 talapova2018:000
tyšyn-bø-gøn-dør-yŋør-dysura-gɨla.
understand-NEG-NMZ-PL-RFL-ACCask-IMP
‘이해하지 못했던 것들을 물어보세요.’

설근적 모음조화

원순조화가 깨지는 경우
이란어 파생접사 -man, -ker kojču-man ‘양치기’, ujču-man ‘소치기’, paxta-ker ‘목화 재배 농장주’, ʤo:-ker ‘군인’, talap-ker ‘참가자’
-stan Turkmøn-stan, '투르크맨이스탄', øzbek-stan '우즈배키스탄'
아랍어 파생접사 -taj, -ke, -ek aketaj, atake ‘아빠’, apake ‘엄마’
키르기즈어 접사 -u:, -y: bar ‘가다’ → baru: ‘가는 것’, ʤet ‘도착하다’ → ʤetu: ‘도착하는 것’
몽골어 차용어 ʤuta ‘굶주림’, kujkala ‘굽다’, kulan ‘망아지(3살)’, kunaʤɨn ‘암소’, šumkar ‘(사냥)독수리’, kuda ‘사돈’
러시아어 차용어 komandir ‘지휘관’, televizor ‘텔레비전’, radio ‘라디오’, gubernator ‘도지사’

자음동화

동화
b, d, g -> p, t, k

- b, d, g로 시작되는 접사가 인접한 선행어의 마지막 음운이 무성음인 경우의 무성음화되어 각각 p, t, k로 시작되는 이형태로 실현된다.

z -> s

-z는 무성음 앞에서 규칙적으로 무성음화되어 s의 변이음으로 발음된다. s는 따로 이형태가 존재하지 않으며 변이음으로만 실현된다. 이는 선행요소가 무성음화되는 역행동화의 경우이다.

n -> ŋ

-ng, k 앞에서 연구개음화되어 ŋ로 발음된다.

p, t, k -> b, d, g

-p, t, k로 끝나는 어근이나 접사는 모음사이에 유성음화되어 b, d, g로 발음된다. 이때 표기는 변화된 변이음으로 바뀌어서 쓴다.

이화

- 키르기즈어에서 어근 안에서 혹은 접사와 인접되는 자리에 두 개 비음이 조합되는 경우 이화가 일어난다. 이때 후행 요소가 대부분의 경우 유성음화된다. ll, nl, rl의 따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