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1) 형태소 내부의 모음조화

① 한 음절 안에서 앞에 모음 ‘e~ee’가 있으면 뒤에 모음 ‘e~ee, i~ii, ə, u~uu’만 올 수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187
  • keele : 배(stomach)
  • tebɕin : 평탄하다
  • beesə- : 기쁘다
  • meŋgu : 은(silver)
② 한 음절 안에서 앞에 모음 ‘o~oo’가 있으면 뒤에 모음 ‘o~oo, i~ii, ə, u~uu’만 올 수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187
  • xoolo : 목구멍
  • xodʑin : 삼십
  • xonə : 양(sheep)
  • ooku : 지방(fat)
③ 한 음절 안에서 앞에 모음 ‘a~aa’가 있으면 뒤에 모음 ‘a~aa, i~ii, ə, u~uu’만 올 수 있다.
tuuu1240 zhaonasitu2009:187
  • sara : 월, 달
  • tajin : 오십
  • xanə- : (눈을)감다
  • xalɢu- : (걸음을)걷다
  • varoŋ : 오른쪽
  • dʑamtoɢ : 반 개

(2) 형태소 경계의 모음조화

tuuu1240 zhaonasitu2009:187
  • sam : 빗 + -la → samal- : 빗다
  • teɕdʑə : 단추 + -le → teɕdʑəle : 걸다, 채우다
  • noko : 구멍 + -lo → nokolo- : 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