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_verb : 동사 (verb)
문법범주: 인칭, 수, 시제, 법, 활용유형
동사어간말음에 따라 명사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음성적 부류로 나뉜다.
동사어간의 구성은 체언어간의 구성과 유사하다.
동사어간의 음성적 구조의 특징은 파생과, 어형변화에 나타난다.
동사어간의 음성적 구조를 알아낼 수 있는 기본 형태는 부정보조동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형태이다.
conjugation
일치
동사활용 유형. 3가지. subjective, objective, objectless
Subjective 활용 인칭접미사:자동사, 타동사 중 문장내 논리강세가 없는 타동사에
Objective 활용 인칭접미사: 논리강세가 떨어지는 타동사의 경우만
Objectless 활용 인칭접미사: 타동사. 동사의 행동이 행위주 자신에게 이전되는 경우,
주어 일치
subjective conjugation의 예
(Nikolaeva2014:78) mənc°ra- ‘일하다’ 동사의 활용예
| | SG | DU | PL |
| 1 | mənc°raə-d°m | mənc°ra°-n′ih | mənc°ra°-waq |
| 2 | mənc°raə-n° | mənc°ra°-d′ih | mənc°ra°-daq |
| 3 | mənc°ra° | mənc°raə-x°h | mənc°ra°-q |
reflexive conjugation의 예
(Nikolaeva2014:79) te- ‘흐르다’ 동사의 활용예
| | SG | DU | PL |
| 1 | teyə-w°q | tey°-nʹih | tey°-naq |
| 2 | teyə-n° | tey°-dʹih | tey°-daq |
| 3 | tey°-q | teyə-x°h | teyə-d°q |
목적어 일치
목적어 일치는 목적어의 수를 표시하고 인칭은 표시하지 않는다.
목적어 일치 접사는 주격에서 단수 및 복수 소유 접사와 대개 동일하다.
명사의 소유 표지의 경우에는 명사의 어간에 결합되나 동사의 목적어 일치 표지는 정형 어간(finite stem)에
결합한다는 차이가 있다.
Objective conjugation의 예: 단수 목적어
(Nikolaeva2014:79) me- ‘하다’
| | SG | DU | PL |
| 1 | meə-w° | me°-m′ih | me°-waq |
| 2 | meə-r° | me°-r′ih | me°-daq |
| 3 | me°-da | me°-d′ih | me°-doh |
Objective conjugation의 예: 쌍수 목적어
(Nikolaeva2014:79) me- ‘하다’
| | SG | DU | PL |
| 1 | meŋa-xəyu-n° | meŋa-xəyu-n′ih | meŋa-xəyu-naq |
| 2 | meŋa-xəyu-d° | meŋa-xəyu-d′ih | meŋa-xəyu-daq |
| 3 | meŋa-xəyu-da | meŋa-xəyu-d′ih | meŋa-xəyu-doh |
Objective conjugation의 예: 복수 목적어
(Nikolaeva2014:80) me- ‘하다’
| | SG | DU | PL |
| 1 | me-yə-n° | me-y°-n′ih | me-y°-naq |
| 2 | me-yə-d° | me-y°-d′ih | me-y°-daq |
| 3 | me-y°-da | me-y°-d′ih | me-y°-doh |
법 활용
명령법 활용
(Nikolaeva2014:68) xada- ‘죽이다’와 te- ‘흐르다’의 명령법 활용의 예
| SG.OBJ | DU.OBJ | PL.OBJ | REFL | |
| 2SG | xada-q | xada-d° | xada-xəyu-n°q | xada-n°q | te-d°q |
| 2DU | xadaə-dʹih | xadaə-rʹih | xadaŋa-xəyu-dʹih | xadaə-y°-dʹih | tey°-dʹih |
| 2PL | xadaə-daq | xadaə-raq | xadaŋa-xəyu-daq | xadaə-y°-daq | tey°-daq |
법: 직설법, 명령법, 청유법, 접속법, 예상법, 예상의무법
직설법 동사는 3개의 인칭, 3개의 수(단수, 쌍수, 복수),
시제(미정시제-indefinite, 과거시제, 미래시제)에 따라 변화한다.
미정형은 특별한 표지가 없다.
과거시제: 행위가 상대적으로 이전임을 표현. 과거시제 표지 -сь는 미정시제의 인칭형에 붙는다.
ileni’ - 우리(둘)는 살고 있다.
ileninz’ - 우리(둘)는 살고 있었다.
ileva’’ - 우리(여럿)는 살고 있다.
ilevats’ - 우리(여럿)는 살고 있었다.
의문문은 동사 어간과 미정시제 인칭접미사 사이에 접미사 -c를 끼워넣어 만든다.
- 미래시제는 동사어간에 접미사 -н.го, -д(а), -т(а)를 붙여서 만든다.
미래시제 표지와 행위의 점진성을 표현하는 접미사가 일치하는 것은 이 시제형태가 상 형태에서 나온 것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표. 직설법 동사의 인칭접사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인칭접미사가 바로 어간에 붙는다. (예외: 3인칭 쌍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인칭접미사가 매개모음을 사이에 두고 어간에 연결된다.
어간 말음이 비음화된 후두폐쇄음이 н으로 교체된 것이라면, 인칭형은 접미사 -н,а가 붙고, 마지막 후두폐쇄음은 없어진다.
어간 말음이 -м’인 동사: 인칭접미사는 매개모음 а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고, 후두폐쇄음은 사라진다.
어간말음인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폐쇄음이 р, л 뒤에 오면, 인칭형은 접미사 -н,а가 붙는다.
어간말음인 후두폐쇄음이 с와 교체되는 경우, 대부분의 방언에서 동사의 어간과 인칭접미사 사이에 접미사 -н,а가 들어가고, 이때 어간말음 후두폐쇄음은 유지된다.
인칭활용형의 가장 큰 특징이 나타나는 동사는 хэсь (가다, 출발하다)
표. 직설법. 동사활용의 예
표.
접미사 -xрт (-гарт, -карт)를 동사어간과 명령법 인칭형 사이에 넣으면 명령이 아니라 부탁이나 원망(희망)을 표현한다.
- 청유법: 접미사 -х (-га, -ка)
접속법: 접미사 -и
예측법: 접미사 -кы. 동사 어간에 형동사 형태로 붙는다.
예측의무법: 접미사 -бцу (-су, -цу): 화자의 예측에 따라 누군가가 해야할 일을 표현.
행위나 상태의 부정은 부정동사를 써서 표현한다. 부전동사는 독립부정동사와 보조부정동사가 있다.
독립부정동사: 부정이 그 어휘의미에 들어있는 경우
ян,го(сь) (없다), ухэра(сь) (모른다, 할줄모른다)
보조부정동사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нись.
이 동사를 쓰면 그 어떤 동사도 부정 형태를 만들 수 있다.
이 때 동사 нись는 인칭, 수, 시제, 법에 따라 변하고,
기본형은 비음화되지 않은 후두폐쇄음이 붙는 어간 형태로 나타난다.
표.
negation
nonverval_ptcp
분사에는 4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미완료 분사, 완료 분사, 미래 분사, 부정 분사로 구분된다.
미완료 분사는 행해지고 있는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на, -да, -та로 표시된다.
완료 분사는 행해진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вы로 표시된다.
미래 분사는 행해질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в(а)нда, -м(а)нда로 표시된다.
부정 분사는 아직 행해지지 않은 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접미사 -в(а)давэй, -м(а)давэй로 표시된다.
추가 설명:
접미사 -на, -да, та가 붙는 형동사는 미정시제 형태와 똑같은 특징을 같는다.
즉, 미완료의 의미를 가지는 비파생(?) 동사와 파생동사의 경우, 이 형태는 행동이 수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완료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의 경우, 이 형태는 머지않은 과거에 일어난 행위를 의미한다.
분사 형태의 예
(Nikolaeva2014:107) xada- '죽이다' 동사의 분사형
xada-na ‘죽이는 (kill-IMPF.PART)’
xada-wi° ‘죽인 (kill-PERF.PART)’
xada-wənta ‘죽일 (kill-FUT.PART)’
xada-wədawey° ‘죽이지 않은 (kill-NEG.PART)’;
분사의 명사화의 예
일부 분사는 명사화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목적어를 가지지 못하고 소유자의 형태로 결합한다.
nonverbal_cvb
네네츠어의 부동사는 역사적으로는 동사에서 파생한 명사의 굳어진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나
격 어미를 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행위 명사류(action nominals)와는 다르다.
부동사 미정형. 접미사 -сь, -зъ, -ць.
기본적인 부동사의 의미와 함께 (미정형과 같이) 행위의 가장 일반적인 개념을 표현한다.
성질부사의 의미로 사용된다
- 부동사 조건형. 접미사 -б’’ / -п’’
verb_der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