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3_verb : 동사 (verb)

동사 어간에 접사 -moq을 붙여 부정형(infinitive)을 만든다.

동사의 어간과 어근은 2인칭 단수 명령형이다.

부정(negation)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접사 -ma를 사용한다.

동사는 시간, 수, 인칭에 따라 형태 변화를 한다.

동사 인칭 어미

동사의 인칭 어미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동사 인칭 어미 제 1 형

SG PL
1 -man -miz
2 -san -siz
3 -di -dilar

동사 인칭 어미 제 2 형

SG PL
1 -m -k
2 -ng -ngiz
3 - -lar

직설법

현재-미래 시제

kel ‘come'의 현재-미래 시제
SG PL
1 kel-a-man kel-a-miz
2 kel-a-san kel-a-ciz
3 kel-a-di kel-a-dilar
ishla ‘work'의 현재-미래 시제
SG PL
1 ishla-y-man ishla-y-miz
2 ishla-y-san ishla-y-ciz
3 ishla-y-di ishla-y-dilar

현재 진행 시제

-yap : ishla ‘work'의 현재 진행 시제
SG PL
1 ishla-yap-man ishla-yap-miz
2 ishla-yap-san ishla-yap-ciz
3 ishla-yap-ti ishla-yap-tilar
-yotir : kel ‘come'의 현재 진행 시제
SG PL
1 kela-yotir-man kela-yotir-miz
2 -yap-san kela-yotir-ciz
3 kela-yotir kela-yotir-lar
서다, 앉다, 걷다, 눕다의 현재

다음 네 가지 동사의 경우에는 과거 분사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를 표현한다.

부동사와 상태 동사의 결합으로 현재 진행 표현
nort2690 reshetov1966:350
yoz-iboʻtir-ib-man
write-CVB.PSTsit-CVB.PST-1SG
I am writing
nort2690 reshetov1966:350
koʻr-ma-ytur-ib-man
see-NEG-CVB.PRESstand-CVB.PST-1SG
I am not seeing
현재 분사와 -yotib으로 현재 진행 표현
SG PL
1 kela-yotib-man kela-yotib-miz
2 kela-yotib-san kela-yotib-siz
3 kela-yotib-di kela-yotib-dilar

과거 시제

-di : ishla ‘work'의 과거
SG PL
1 ishla-di-m ishla-di-k
2 ishla-di-ng ishla-di-ngiz
3 ishla-di ishla-di-lar
-gan : ishla ‘work'의 과거
SG PL
1 ishla-gan-man ishla-gan-miz
2 ishla-gan-san ishla-gan-siz
3 ishla-gan ishla-gan-lar

과거의 부정

nort2690 reshetov1966:350
ishla-ma-gan-man
work-NEG-PP-1SG
I haven't worked
nort2690 reshetov1966:350
ishla-gane-mas-man
work-PPBE-NEG-1SG
I am not one who has worked.
nort2690 reshetov1966:350
ishla-gan-imyoq
work-PP-1SGNEG.EXIST
There is no fact that I have worked.

과거 (past narrative)

-gan emoq : ishla ‘work'의 과거 (past narrative)
SG PL
1 ishla-gan e-dim ishla-gan e-dik
2 ishla-gan e-ding ishla-gan e-dingiz
3 ishla-gan e-di ishla-gan e-dilar
-ib : ishla ‘work'의 과거 (past narrative)
SG PL
1 ishla-b-man ishla-b-miz
2 ishla-b-san ishla-b-siz
3 ishla-b-di ishla-b-dilar
-ib e-di- 과거비완망
SG PL
1 ishla-b e-di-m ishla-b e-dik
2 ishla-b e-di-ng ishla-b e-di-ngiz
3 ishla-b e-di ishla-b e-dilar
빈번, 지속
SG PL
1 ishla-r e-di-m ishla-r e-dik
2 ishla-r e-di-ng ishla-r e-di-ngiz
3 ishla-r e-di ishla-r e-dilar

미래

-ar : 미래
SG PL
1 ishla-r-man ishla-r-miz
2 ishla-r-san ishla-r-siz
3 ishla-r ishla-r-lar
-ajak- : 미래

이 형태는 우즈베크어 문어에서는 드물게 사용된다.

SG PL
1 kel-ajak-man kel-ajak-miz
2 kel-ajak-san kel-ajak-siz
3 kel-ajak kel-ajak-lar

기원법

조건법

조건법 현재-미래

SG PL
1 kel-sa-m kel-sa-k
2 kel-sa-ng kel-sa-ngiz
3 kel-sa kel-sa-lar

조건법 과거

조건법 과거는 과거분사와 boʻlmoq ‘to be' 동사의 조건법 현재로 표현한다.

SG PL
1 kel-gan boʻl-sa-m kel-gan boʻl-sa-k
2 kel-gan boʻl-sa-ng kel-gan boʻl-sa-ngiz
3 kel-gan boʻl-sa kel-gan boʻl-sa-lar

부정은 kel-ma-gan boʻ-sa-m과 같이.

조건-접속법

SG PL
1 kel-sa-m e-di kel-sa-k e-di
2 kel-sa-ng e-di kel-sa-ngiz e-di
3 kel-sa e-di kel-sa-lar e-di

능동태

능동태는 특별한 접사를 가지지 않는다.

수동태

수동태는 -(i)l, -i(n) 접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재귀태

재귀태는 -(i)n 접사의 도움으로 만들어진다. 우즈베크어에서 수동태와 재귀태는 매우 드물게 구별될 수 있다.

상호태

상호태는 -(i)sh 접사의 도움으로 만들어진다.

사동태

사동태는 -t 접사를 붙여 만들 수 있다.

사동태는 -dir/-tir 접사를 붙여 만들 수 있다.

사동태는 -ar 접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동태는 -gaz/-kaz, -kiz/-giz/qiz 접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동태는 -ir 접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분사

우즈베크어 분사에는 과거, 현재-미래, 현재 진행, 미래 시제가 존재한다. 각각에 사용되는 접사는 다음과 같다.

과거 분사

nort2690 reshetov1966:353
kel-ganstudent
come-PPstudent
student who came
nort2690 reshetov1966:353
ek-kankolxoschi
plant-PPfarmer
farmer who planted
nort2690 reshetov1966:353
chiq-qangazeta
come.out-PPnewspaper
newspaper which came out

현재-미래 분사

현재-미래 분사는 현재 부동사형에 -digan을 덧붙여 표현된다.

nort2690 reshetov1966:353
kel-a-digan
come-CVB.PRES-PTCP
coming

현재 진행 분사

현재 진행 분사는 동사 yotmoq의 도움을 받아 표현된다.

nort2690 reshetov1966:353
kel-ayotgan
come-PTCP.PROG
coming

미래 분사

nort2690 reshetov1966:353
kel-ar
com-PTCP.FUT
who will come

드물지만 -jak으로 미래를 표현하기도 한다.

nort2690 reshetov1966:353
kel-ajakyil
come-PTCP.FUTyear
next year
nort2690 reshetov1966:353
kel-ajakzamon
come-PTCP.FUTtime
future

미래 분사의 부정(negation)은 -mas로 나타난다.

nort2690 reshetov1966:353
ishla-mas
work-NEG.PTCP.FUT
one who will not work

부동사

우즈베크어에는 부동사에는 현재-미래 시제, 과거 시제가 있고 행위의 종결, 목적을 표현하는 부동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