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jinuo
»
2_wordclass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추적:
doc:jinuo:2_wordclass:28_clf:28_clf
이전 판
이 문서의 이전 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전 판으로 되돌리려면, 아래에서 선택한 다음
문서 편집
을 클릭하고 나서 저장하세요.
2018/08/17 20:2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4) 양사의 어순]
박은석
-7 B
(현재)
2018/08/17 20:19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양사의 중첩]
박은석
-3 B
2018/08/17 20:1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 동량사]
박은석
+1 B
2018/08/17 20:11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겸용양사]
박은석
+1 B
2018/08/17 20:1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 집체양사]
박은석
+1 B
2018/08/17 20:1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 양사]
박은석
-3 B
2018/08/17 20:09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명량사]
박은석
+1 B
2018/08/17 13:1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4) 양사의 어순]
박성하
-1 B
2018/06/25 08:56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바깥 편집
127.0.0.1
±0 B
2016/06/22 14:46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4) 양사의 어순]
박성하
2016/06/20 12:27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4) 양사의 어순]
박성하
2016/06/20 12:2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양사의 중첩]
박성하
2016/06/20 12:2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 동량사]
박성하
2016/06/20 12:2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겸용양사]
박성하
2016/06/20 12:1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박성하
2016/06/17 18:01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양사의 중첩]
유현조
2016/06/17 17:5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양사의 중첩]
유현조
2016/06/17 17:44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양사의 중첩]
유현조
2016/06/17 17:41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유현조
2016/06/17 17:36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 양사]
유현조
2016/06/17 17:36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 양사]
유현조
2016/06/17 17:32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유현조
2016/06/17 17:27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 양사]
유현조
2016/06/17 17:26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 양사]
유현조
2016/06/17 17:24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 양사]
유현조
2016/06/17 17:12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유현조
2016/06/17 17:1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유현조
2016/06/17 17:09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명사 수분류사]
유현조
2016/06/17 17:09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양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반향(反响)양사, 유별양사, 성상양사, 통용양사등으로 구분된다.]
유현조
2016/06/17 17:0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명량사에는 개체양사, 집체양사, 겸용양사등이 있으며, 명량사는 명사에서 유래된 것과 동사에서 유래된 것이 있다.]
유현조
2016/06/16 14:32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4) 양사와 의문대사가 공기하여 쓰이는 경우 명량사와 의문대사는 ‘명사+의문대명사+양사’의 어순으로 나타내고, 동량사와 의문대사는 ‘의문대명사+동량사+동사’의 어순으로 나타낸다. 각각의 예문은 다음과 같다.]
박성하
2016/06/16 14:31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양사와 지시대명사가 함께 명사를 수식할 때에는 그 기본어순은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이다. 그러나 ‘지시대명사+명사+수사+양사’로 나타내기도 한다.]
박성하
2016/06/16 14:31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 동사를 셀 때에는 ‘수사+동량사+동사’으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박성하
2016/06/16 14:3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명사를 셀 때에는 ‘명사+수사+양사’으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박성하
2016/06/16 14:30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지눠어의 양사는 중첩할 수 있으며, 형태중첩뿐만 아니라 통사중첩도 가능하다. 형태중첩의 주요 기능은 ‘모든’의 의미를 가지는 4음격사가 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每一个人)’이며, 중첩 음의 형태는 ‘A + tʃhʌ33+ a-A(a는 구조배음)’이다. 이것은 ‘A + tʃhʌ33’으로 간략화 할 수 있다.]
박성하
2016/06/16 14:29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 지눠어의 동량사에는 모든 동작동사와 함께 쓰일 수 있는 [la54]와 [tØ44]가 있다. [la54]는 ‘한번 ~하다.’의 뜻이며 동작을 세는 것 외에 동작에 ‘상’적 의미를 부가하는데, ‘시간의 짧음’, ‘양의 적음’, ‘시도’를 나타낸다. [tØ44]는 ‘회, 차, 번’의 뜻이며, 어떤 동작이 시간 내에 출현하거나 발생한 횟수를 나타낸다.]
박성하
2016/06/16 14:2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3) 겸용양사에는 유관 도구, 기계에서 차용된 양사와 동사에서 차용된 양사가 있다.]
박성하
2016/06/16 14:2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개체양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반향(反响)양사, 유별양사, 성상양사, 통용양사등으로 구분된다.]
박성하
2016/06/16 13:4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명사를 셀 때에는 ‘명사+수사+양사’으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박성하
2016/06/16 13:4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1) 명사를 셀 때에는 ‘명사+수사+양사’으로 나타낸다. 예문은 다음과 같다.]
박성하
2016/06/16 13:4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4) 양사의 어순]
박성하
2016/06/16 13:4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박성하
2016/02/22 22:55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바깥 편집
127.0.0.1
선택한 판 사이의 차이 보기
doc/jinuo/2_wordclass/28_clf/28_clf.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20:20 저자
박은석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