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양사의_어순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양사의 어순

수사와 양사의 어순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

지눠어아창어는 ‘명사+수사+양사’의 어순을 가진다.

lang:jinuo
ŋa31zɔ44  thi33  mʌ44 
새        한     마리

lang:achang
tsu33 ta31 ʑuˀ31
사람    한   명

먀오어거라오어는 ‘수사+양사+명사’의 어순을 가진다.

lang:miao
a44/21  ʈu44   pəŋ31     
한      송이   꽃

lang:gelao
tsɿ33 phɯ31 tin31
한    그루    나무
동사와 결합하는 경우

지눠어아창어는 ‘수사+양사+동사’의 어순을 가진다.

lang:jinuo
thi33  tsɔ44  (tsɔ44) 
한       끼   먹다

lang:achang
ta31 tʂuɑ33 so31
한     번     가다

먀오어거라오어는 ‘동사+수사+양사’의 어순을 가진다.

lang:miao
ʈo31 ɯ53 ʈo31
차다  둘   발

lang:gelao
ʌ31ɬəɯ35 tsɿ33 bləɯ31
보다     한    눈
Feature

이전 자료

지눠어양사수사, 명사 사이의 어순은 ‘명사+수사+양사’의 순서이다. 예는 다음과 같다.

ŋa31zɔ44  thi33  mʌ44 
새         한     마리
새 한 마리

지눠어와는 다르게 [term:아이자이먀오어]는 '수사+양사+명사'의 어순을 취한다. 예는 다음과 같다.

a44/21  ʈu44   pəŋ31     
한      송이   꽃
꽃 한 송이

지눠어양사수사, 동사 사이의 어순은 ‘수사+양사+동사’의 순서이다. 예는 다음과 같다.

thi33tsɔ44(tsɔ44) 
한  끼   먹다
한 끼를 먹다

지눠어와는 다르게 [term:아이자이먀오어]는 '동사+수사+양사'의 어순을 취한다. 예는 다음과 같다.

pe31ʨi44,  we44  tɛ44           kwa35            ta53     to21.
북경       나    도달하다(동사) -적이 있다(조사) 몇(수사) 번(양사)  
나는 북경에 몇 번 가 본 적이 있다. 

지눠어양사명사, 지시대사, 수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어순이 가능하다.

첫째, ‘명사+지시대사+수사+양사’의 어순이 가능하다. 예는 다음과 같다.

tshʌ31zɔ44  xji33  sø44  xjo31   
사람        이     세     명
이 세 사람

둘째, ‘지시대사+명사+수사+양사’의 어순이 가능하다. 예는 다음과 같다.

xji33  tshʌ31zɔ44  sø44  xjo31
이     사람       세      명
이 세 사람
   

지눠어어순과는 다르게 [term:거라오어]에서는 수량명사구대사구가 결합할 때 일반적으로는 '수사+양사+명사+대사'의 형식을 취한다. 예는 다음과 같다.

səɯ31  kan31  qʌ31ʦhu35  ȵi35        
둘     양사   사람       이
이 두 사람

지눠어양사의문대사, 명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어순이 가능하다.

첫째, ‘명사+의문대사+양사’의 어순이 가능하다. 예는 다음과 같다.

nʌ31  jia54  jo31mɛ33  ŋɯ54pø44  mʌ44  xju31  tɔ44  a33ŋja31/53?  
너    조사   고양이    몇          마리  키우다 조사  의문조사 
고양이 몇 마리 키우니?

둘째, ‘의문대명사+양사+동사’의 어순이 가능하다. 예는 다음과 같다.

nʌ31  pɤ31tɕi44  va44     ŋɯ54pø44  tø44  le33  tɔ44  a33ŋja31/53?   
너   북경       처소조사  몇          번     가다  조사  의문조사
북경에 몇 번 가봤어?
 
doc/양사의_어순.143187037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5/17 22:46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