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abaza: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명사는 소유, 수 를 갖는다. (격변화없음)
  • 명사는 사물과 사람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활동체와 불활동체)
  • 활동체 그룹은 사람을 지칭하는 모든 어휘와 신화의 존재하는 인물들 까지 모두 나타낸다.
  • 비활동체 그룹은 사물의 명칭, 자연(땅, 돌, 나무, 번개, 물, 바다, 뱀 등) 도 포함한다.
  • 보통명사는 한정(определенности) 카테고리와 비한정(неопределенности) 카테고리로 나뉜다.
  • 보통명사는 소유, 복수, 후치사, 단어조성 접미사를 갖을 수 있다.
  • 명사는 의미-문법을 카테고리를 갖는다.
  • 고유 명사 및 일반 명사
    • 집합명사
    • 추상명사

고유 명사 및 일반 명사

  • 일반명사는 한정명사 와 비한정명사를 포함한다.
  • 불특정명사는 는 접미사 кӀ 가 붙거나, 형태소가 아예 붙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 특정명사는 접두사 а- 를 붙인다.
тдзы
тдзы-kӀ어떤 집
а-тдзы정해진 어떠한 집
  • 고유명사는 접미사 –кӀ 나 접두사 а- 를 붙일 수 없다. 그러나 고유명사가 ‘성(姓)’ 을 나타낼 경우 사용 할 수 있다.
abaz1241 Klychev1993:137
Шармат-кӀ
Sharmat-unspecificness
샤르마트 가의 어느 한 사람
abaz1241 Klychev1993:137
А-шармат
?-Sharmat
이 샤르마트 가 사람

집합명사

  • 집합명사는 접미사 –гӀа, -ргӀа 를 붙여 나타낸다.
  • 사람의 성(姓), 가문, 민족 등을 나타낸다.
abaz1241 Klychev1993:137
къабарды-ргӀа
kabardian-글로스
카바르디안 사람들
  • 접사 –ра 는 다수가 포함된 집합 또는 어떠한 군의 범주를 나타내거나, 동물의 어린새끼를 복수로 나타낼 때 쓴다.
    • ажвла-ра : 민족
    • ар-ра : 군대
    • хӀв-ыс : 송아지 & хӀва-ра : 송아지들
    • тшшӀ-ыс : 망아지 & тшшӀа-ра : 망아지들
    • с-ыс : 새끼양 & са-ра : 새끼 양들

추상명사

  • 접미사 –ра 를 모티브 명사, 형용사, 동사에 붙여 추상명사를 나타낸다.
  • чвгьа-ра : 앙심, 악
  • хъацӀа-ра : 용기
  • бзиба-ра : 사랑

명사의 활동체, 불활동체

  • 명사는 활동체와 불활동체로 나뉜다. -명사의 복수는 활동체와 불활동체가 의미-형태론적으로 다른 형태를 갖는다.
불활동체 표지 : -ква
  • агъба-ква : 기차
  • ацӀла-ква : 나무
활동체(사람) 표지 – чва
  • ачӀкӀвын-чва : 소년들
  • атш-чва : 기수들
  • апхъагӀв-чва : 학생들

그러나, 현대어에서는 사람의 군을 나타낼 때 –ква 표지를 쓰기도 한다.

  • апхӀвыс-ква : 여자
  • ашварацыгӀв-ква : 사냥꾼(들)
  • абнахча-ква : 산림지기(들)
수사 + 명사
  • 수사의 시스템에 따라 사물에 숫자 2-10까지 함께 쓰일때 접미사 –ба 를 쓴다.
    2(사물)гӀв-ба
    3х-па
    4пщ-ба
  • 사람 에는 3명 이상 부터 접미사 –гӀв(ы) 를 붙인다.
    3명-гӀв(ы)
    4명пщ-гӀвы
    5명хв-гӀвы

비한정 명사

– 명사에 кӀ를 붙인다.

  • цӀла-кӀ : 어떠한 나무 인가
  • хъацӀакӀ : 어떠한 남자 인가
  • тшы-кӀ : 어떠한 말인가
  • 이러한 비한정 명사는 복수형태도 갖는다.
    • цӀла-ква-кӀ : 어떠한 나무들
    • тш-ква-кӀ : 어떠한 말 들

한정명사

  • 한정명사는 접두사 a- 로 나타낸다.
    • а-цӀла-кӀ 그 한 나무
    • а-хъацӀа 그 남자
    • а-тшы 그 말(horse)
  • 접두사 а- 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쓰인다.접미사 кӀ는 접두사 а- 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데, 그때 кӀ 는 '비한정' 을 나타내지 않고 '하나의(ONE)' 라는 의미를 갖는다. -а-цӀла-кӀ 그 한 나무 -а-тшы-кӀ 그 한 마리 말

명사의 소유

  • 아바자어는 소유를 나타내는 속격등의 따로 격의 변화를 갖지 않는다.
  • 소유는 인칭 대명사의 어간에 인칭 접사 붙여 표현하기도 한다. -인칭-소유 접사는 명사의 어간에 붙인다.
인칭대명사인칭소유
1SGсарас-тшы(나의 말)
2SG.MASCуарау-тшы(너의 말)
2SG.FEMбараб-тшы(너의 말)
3SG.MASCйарай-тшы(그의 말)
3SG.FEMларал-тшы(그녀의 말)
1PLхӀарахӀ-тшы(우리의 말)
2PLшварашв-тшы(당신들의 말)
3PLдарар-тшы(그들의 말)
인칭대명사인칭소유
1SGсарасы-цӀла(나의 나무)
2SG.MASCуарауы-цӀла(너의 나무)
2SG.FEMбарабы-цӀла (너의 나무)
3SG.MASCйарайы-цӀла (그의 나무)
3SG.FEMларалы-цӀла (그녀의 나무)
1PLхӀарахӀы-цӀла (우리의 나무)
2PLшварашвы-цӀла (당신들의 나무)
3PLдара ры-цӀла (그들의 나무)

명사의 복수

  • 복수를 나타낼 때 접미사를 사용한다.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수 접미사는 –ква 이다.
복수 접미사 -ква
  • -ква 는 비활성 명사의 복수를 나타낸다.
    • цӀла-ква 나무들
    • тш-ква 말들
인칭에 쓰이는 -ква
  • 사람(활성명사)의 복수 접미사는 –чва 이나 그러나, 활성 명사 복수 접미사–ква 가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의 복수”에서 자주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 атажв-ква 할머니들
    • арыпхягӀв-ква 선생님들
복수 접미사 -чва
  • 활성명사 복수 접미사 –чва
    • оба-чва 아버지들
    • агъа-чва 적들
    • чӀкӀвын-чва 소년들
    • хъацӀ(а)-чва 남자들
-чва + -ква
  • 사람을 나타내는 복수 접미사 –чва 뒤에 –ква 를 붙일 때도 있다.
    • ачӀкӀвын-чва-ква 소년들
    • апхягӀв-чва-ква 학생들
무리를 나타내는 접미사 -гӀа
  • 사람의 무리(군)을 나타낼 때 접미사 –гӀа를 붙인다.
    • ауа-гӀа 사람들
гӀа + –р
  • -гӀа 의 –р를 첨가한 형태를 쓰기도 한다.
  • къарча-ргӀа 카라차이인들
  • нарты-рг ргӀа 썰매들
  • чӀкӀвыны-ргӀа 젊은이
doc/abaza/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01:34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