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경우 문미에 Ei?55, nEi?55 등의 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xAi55~33 | ts`u33~55 | m@31ts`h@n33 | tS\31k@33 | Ei?55 |
| this | type | bamaoo.shoot | delicious | PTCL |
이 경우 중첩 형식의 뒤에 정도부사 'kAN31'(약화형식은 k@N31)을 부가하는 경우가 많다. 문미에는 어기조사 'Ei?55'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창어의 형용사는 단음절 형용사가 가장 많고 쌍음절 형용사는 비교적 적으며 다음절 형용사는 드물다.
아창어의 정도부사는 형용사 앞에 부가하기도 하고 형용사 뒤에 부가하기도 한다. 형용사 앞에 부가하는 부사는 kM31wAi35(특히), fEi33ts`hAN31/ts`A31s`ɿ31(매우), J_+a33khM55(조금), th@31pjE?31(특히), tsui35/tin33(가장), J_+a?31(너무), ko35J_+31(지나치게)이다.
형용사 뒤에 부가하는 부사는 주로 kAN31(매우), kM33(매우), kM55(너무), kAN51(너무)이다. 이 중에서 kM55(너무), kaN51(너무)는 kAN31(매우), kM33(매우)의 성조 굴절을 통해 생긴 것이다.
아창어도 현대표준중국어처럼 성질 형용사 외에 상태 형용사가 있다. 상태 형용사에는 AAB 형식과, AABB 형식이 있다. 상태 형용사는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될 수 있다. 상태 형용사가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되는 경우 상태 형용사가 앞에 나오고 명사가 뒤에 나온다. 상태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는 관형 조사 'Ei?55' 가 꼭 출현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tMN33tMN33 | ts\it31 | Ei?55 | s`Mk31l_0iA?55 |
| inky | black | POS | fore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