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2_wordclass:25_adv:25_adv

25_adv : 부사 (adverb)

  •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부정부사, 어기부사 등으로 분류된다.

1) 정도부사

  • 정도부사는 전치부사와 후치부사로 나눌 수 있다.

전치부사

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ȵaʔ31 “너무”,
  • fɛi33tʂhɑŋ31/tʂɑ31ʂı31 “아주”,
  • kɯ31wɑi35 “유난히“,
  • tsui35/tin33 “제일“,
  • thɑi35 “너무“,
  • thə31pjɛʔ31 “특히, 아주”,
  • ȵa33khɯ55 “약간, 조금“,
  • ko35ȵi31 “과분하게, 너무“,
  • xɑŋ33lɑʔ31xɑŋ33 “점점“,
  • ʑɛ31phɑ33…ʑɛ31phɑ33…/ʑɛ31…ʑɛ31… ”-ㄹ수록’,
  • nɯŋ31ȵaʔ31 “다소”,
  • kən33 “더”,
  • xã33 “너무”, 부정문에만 쓰여 부정의 강도를 줄여주며 완곡어법의 기능이 있다.

후치부사

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kɑŋ31 “아주“,
  • kɯ33 “아주”,
  • kɯ55 “너무”,
  • kɑŋ51 “너무”.
  • kɯ55”너무”와 kɑŋ51”너무”는 kɯ33”아주”와 kɑŋ31“아주”로부터 성조가 굴절한 것이다.

2) 범위부사

범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kɯŋ33kɯŋ55 / thuŋ33 / thuŋ33thuŋ33/ tu33 “다”
  • lie33/ʑɛ33 “도“,
  • tʂɩ33 “만”

3) 시간부사

시간부사의 대부분은 서술어 앞에 위치하며 소수만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 tshɑi31 “이제야”,
  • tɕɛ̃33/ɕɛ̃33/ʂɩʔ55 “먼저”. tɕɛ̃33/ɕɛ̃33은 서술어 앞에, ʂɩʔ55은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 ʑi33tɕin33 “이미”. 중국어로부터 차용되었으며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i33lɑu55/tɕin33tʂhɑŋ31 “늘, 자주”.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xɑi31/ʂən31 “여전히, 아직”. xɑi31는 서술어 앞에, ʂən31은 서술어 뒤에 쓰인다.
  • ʑu33/tsɑi35 “또, 다시, -고 나서”.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xɑi31ʂɩ33/xɑ̃31ʂɩ33 “여전히, 그래도”. 중국어에서 차용.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ʑu33 “또”.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4) 부정부사

n31/m31 “안/못”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중국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중국어에서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정도부사 혹은 범위부사와 결합할 때는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의 어순을 가진다.
  • 부정의 범위는 구 전체에 걸치지만 부정의 강도는 약한 편이다.
  • 강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문법 수단을 사용한다.
ta31 “~지 마라”.
  •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는 쓰일 수 없다.

5) 어기부사

  • ɑ31kɯŋ33/ʑ31tin35 “꼭, 반드시”,
  • tɑu35ti51 “도대체“,
  • ko51ʑɑ̃31 “과연”,
  • tʂɩ33xɑu51 ”-ㄹ 수밖에“를 들 수 있다.

6) 방식부사

  • tɑ31tɕhɛ33 “함께”,
  • ɑ31thiɛ35/tɕhin33tʂɩ55 “직접”,
  • ɑ31thu35a31thiɛ35 “혼자”를 들 수 있다.
doc/achang/2_wordclass/25_adv/25_adv.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4:24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