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부정부사, 어기부사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정도부사는 전치부사와 후치부사로 나눌 수 있다.
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범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시간부사의 대부분은 서술어 앞에 위치하며 소수만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시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중국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중국어에서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정도부사 혹은 범위부사와 결합할 때는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의 어순을 가진다. - 부정의 범위는 구 전체에 걸치지만 부정의 강도는 약한 편이다. - 강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문법 수단을 사용한다.
##### ta31 “~지 마라”. -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는 쓰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