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2_wordclass:27_num:27_num

27_num : 수사 (numeral)

  • 아창어에는 기수사(cardinal), 서수사(ordinal)가 나뉘어 있다.
  • 분수(fraction), 배수(multiple), 어림수(approximate)도 있다.
  • 進法은 10진법을 사용한다.

1) 기수사

  •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기수사 중 많은 수가 중국어 차용어이다.
  • lin31 '0', pMk55 '100', tS\hE~33/tS\huA~33 '1000', wA~33 '10000', Z\i35 '100000000' 은 모두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 기수사의 결합방식은 “1~9”가 “십, 백, 천, 만, 억”등의 앞에 오는 경우는 상호 곱하는 관계이며 뒤에 오는 경우는 상호 더하는 관계이다
acha1249 shijian2009:0
suN31tA31ts`hɿ33NA31
threetenfive
35(3×10+5).
  • 10단위와 1단위를 연결할 때 별다른 표지 없이 그냥 연결하기도 하지만 접속사 'liE~31'을 삽입하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0
tA31ts`hɿ33liE~31lA?31NuAi31
onetenCONJnine
19

2) 서수사

  • 중국어에서 서수를 표현하는 데 쓰이는 '第'를 차용하여 순서를 표현한다. 즉, 'ti35 + 기수사'의 형식을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0
ti35@35
The.firsttwo
제2

3) 분수

  • 아창어에서 분수는 '기수사+ku33'으로 나타낸다.
  • 분모는 앞에 쓰고 분자는 뒤에 쓴다.
  • 분모와 분자의 중간에 접속사 'kA33'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강제적으로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acha1249 shijian2009:0
tA31pMk55ku33kA33sɿ55ku33
onehundredminuteCONJtwominute
100분의 2

4) 배수

  • 아창어에서 배수는 중국어의 '倍'를 차용하여 '기수사+pEi33'로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0
u33pEi33
fivetimes
다섯 배

5) 어림수

  • 아창어에서 어림수를 나타내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
수사 뒤에 [N\a?31] '남짓, -여', [lAi31wAN33] '가량, 안팎, 쯤', [tso33Zu35] '가량, 안팎, 쯤', [S\E33] '조금, 약간, 얼마쯤'을 부가하여 어림수를 나타내는 방법.

N\a?31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sɿ55ts`hɿ33N\a?31
twotenmore.than
20남짓

lAi31wAN33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NA31ts`hɿ33lAi31wAN33
fivetenmore.or.less
50쯤

tso33Zu35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tA31pMk55tso33Zu35
onehundredmore.or.less
100쯤

S\E33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tA31tS\hE~33S\E33
onethousandsome
1000 남짓
수사 앞에 중국어 차용어인 '差不多'(대략) [ts`hA35pu31to33]을 부가하여 나타내는 방법
acha1249 shijian2009:0
ts`hA35pu31to33lA?31NuAi31ts`h33~31
nearlynineten
대략 90
인접한 수사 혹은 수량구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방법
acha1249 shijian2009:0
m@?31NA31tc\hE~33
fourfivethousand
4,5천
doc/achang/2_wordclass/27_num/27_nu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4:28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