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사는 단어 또는 접사로 명사를 수식하는 부류에 속하며 명사의 reference(quantity 포함)를 표현한다. 명사의 지시 작용을 돕는다는 의미.
참조
의문사 그대로 비한정사로 쓰인다. 의문사 그대로 불특정비한정(1) 및 특정비한정(2)을 나타낼 수 있다. 의문사+liɛ33'도'와 부정소가 공기하면 예외 없이 그러하지 않음(부정극성+자유선택)을 나타낸다(3-4). (64) (1) nɑŋ33 khɑ55nɑi33~31 lɑˀ55 kɑ33 thuŋ33 uŋ33 ɛiˀ55. you which.day come CON all ok FP 너 어느 날 오다 CON 다 된다 FP 너 어느 날이든 와도 된다.
(2) khiɑŋ33 tsəŋ33 kɑŋ33tsɑi31 ʑi31 xɑ33 mɯŋ55 nəu33.
what thing just.now one CL make.sound PFV 무엇 물건 금방 하나 번 소리나다 완망상 아까 뭔가 소리가 났다.
(3) ŋɑ33 xɑi55tɕhi33 kə33tə33 ʑɛ33 n31 lɑˀ31 lɑu33.
1SG now where any? NEG go want 나 현재 어디 도 부정 가다 싶다 나 지금 어디도 가고 싶지 않다.
(4) ŋɑ33 khɑ55su31 liɛ33 tɕɑˀ31 kɑ33 m31 mjin31~35 pɑi31~35.
1SG how -ever? hear COMPZ NEG understand 나 어떻게 도 듣다 得보어조사 부정소 알다 나는 어떻게도 알아 들을 수 없다.(의역: 나는 도무지 알아 들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