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창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핵심 논항(core argument)을 어순과 조사 부가(flagging)를 통해 구별한다.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아창어의 행위자 조사는 xɑ33이다. 행위자가 주어일 때는 쓰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사용한다. 아창어의 피행위자 조사는 tə33이다. 피행위자의 유정성이 높으면 필수로 써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적이다.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쓰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하여도 된다. 유정정이 낮은 피행위자에 tə33를 쓰면 강조하는 역할을 하거나 운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nAN33 | z_+u33 | tsAi33phu55 | N_+a?31 | s`u?31 | x@u33~55 |
2SG | again | white.liquor | many | drink | PFV |
##### ① 의미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조사사용은 강제성을 가진다.
wA31mA31 | No31tuN33 | xA33 | uN31 | x@u33~55 |
sow | 2PL | AG | sell | PFV |
##### ③ 행위자 조사와 피행위자 조사가 공기 가능하다.
n_0MN55kA31 | t@33 | s`ɿ31tuN31 | xA33 | z_u33 | lA?31 | x@u33~55 |
stone | OBJ | 3PL | AG | carry | go | PFV |
z_+in33 | n_+31~55sAi31 | Ei?55 | wA?31pAN31 | t@33 | ts\E~31 | khut55 | k@u33 |
house | front | POS | bamboo | OBJ | cut | down | PTC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