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사화구조의 병렬
① 병렬성분 사이에는 접속사 mA0?55/liE~31/tA?31 가 올 수 있음
② 명사화구조와 의미의 결합이 비교적 긴밀한 경우, 접속사는 생략가능
(2) 동사와 동사가 병렬된 것
①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3) 형용사와 형용사가 병렬된 것
① z\u33 ‘또(又)’, z\E33 ‘또한(也)’를 사용함.
② 이 밖에 양사와 수사 혹은 지시대사의 조합도 병렬구를 구성할 수 있음
(5) 병렬구의 어순 ① 병렬구의 병렬성분의 선후순서는 일반적으로 음성원칙과 의미원칙에 제한을 받는다.
② 아창어의 병렬구의 어순유형은 아래의 3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음성규칙을 따르며 동시에 의미원칙에 부합
둘째, 음성규칙을 따르며, 의미원칙에 위배
셋째, 의미규칙을 따르며, 음성원칙에 위배
③ 일부 병렬구에는 비교적 특이한 두 개의 독음방식을 가지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언어접촉에 의해 병렬성분이 음성, 의미규칙의 제약을 받은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