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achang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아창어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버마어, 자이와어(Zaiwa language)와 비교적 비슷하다.
  • 사적(史籍)에 의하면, 아창족은 여러 차례의 이전을 거쳐 약 13세기에 지금의 운남성 더훙다이족징포족자치주(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와 미얀마 북부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 중국에는 약 3만 여명의 아창족이 있으며, 룽촨현(陇川县), 량허현(梁河县), 루시현(潞西县), 잉장현(盈江县) 등 지역에 집거하고 있다.
  • 초기 아창족은 다이족(傣族)의 영향을 받았고, 나중에는 량허현 및 루시현의 아창족은 한족의 영향, 잉장현의 아창족은 징포족(景颇族)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 아창족은 대부분이 다른 민족의 언어를 겸하여 사용하고 있다. 불교 문화권에 있는 아창족은 불교 행사를 할 때에는 다이문(傣文)로 된 경문을 읽기에 이러한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따이어를 구사할 줄 알게 되었다.
  • 불교 문화권에 있는 아창족은 다이어를 구사하고 있지만 아창어를 가장 잘 보류하고 있는 지역이다. 한족 문화권에 있는 아창족은 연령별로 아창어 구사 능력이 다르다.
  • 55세 이상은 모두 아창어와 중국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아창어 구사 능력이 더 높고, 35세~55세 사이의 아창족의 60%는 아창어를 구사할 수 있지만 중국어를 더 잘 구사할 수 있다. 15세~35세 사이의 아창족은 중국어를 기본 언어로 구사하고 20%만이 아창어를 구사할 수 있고 15세 이하는 5%만 아창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95%가 완전히 중국어만 사용한다.
  • 산 정상에 거주하고 있던 아창족은 1995년 정부의 도움으로 모두 제창샹망몐촌(姐昌乡芒缅村) 으로 이전하게 되었는데, 그로부터 아창족은 기독교 문화권의 영향을 받게 되었으며 징포어를 겸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각 지역의 아창족은 대부분 이중 언어를 구사하고 있어 음운 어휘 등 면에서 접촉 언어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문법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변화가 거의 없다.
2016/01/30 09:08

02_dialect : 방언 (dialect)

  • 아창어는 량허(梁河)방언, 루시(潞西) 방언, 룽촨(陇川) 방언 등 3개 방언으로 나뉜다.
  • 량허 방언은 윈난성 량허현의 낭송(囊宋) 과 주바오(九保)에 분포되어 있다. 루시방언은 루시현의 장둥(江东)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룽촨 방언은 룽촨현 후사(户撒)에 분포되어 있다. 서로 발음, 문법, 어휘에 차이가 있어 의사소통이 불가능 하다. 문자는 따로 없다.
2016/02/21 21:45

03_contact : 접촉 언어 (contact language)

2016/02/22 22:58

04_genetic : 계통 (genetic affiliation, genealogy)

티베트어족,티베트 버마어파 (Tibeto-Burman Group), 버마어에 속하는 아창족(阿昌族)의 독립언어이다.

2016/02/22 22:58

05_writing : 문자 (writing)

문자는 따로 없다. 중국어와 같은 한자를 사용한다.

2016/02/22 22:58

11_cons : 자음 (consonant)

자음 개요

bilabial plosive p pʲ pͪ pͪʲ
bilabial nasal m mʲ m̥ m̥ʲ
labiodental fricative f
alveolar plosive t tͪ
alveolar nasal n n̥
alveolar fricative s
alveolar lateral approximant l l̥
palatal approximant j
velar plosive k kʰ
velar nasal ŋ ŋ̥
velar fricative x
velar approximant w
retroflexfricativeʂ ʐ
dentalplosive fricative ʦ ʦʰ
retroflex plosive fricative tʂ tʂʰ
posts alveolar plosive fricative ʨ ʨ ͪ
post alveolar fricativeɕ ʑ
palatal nasal ɲ ɲ̥

자음 특징

  • 량허(梁河) 아창어에서는 l, l̥ 두 개의 유음이 존재하며 유성음 무성음이 대립한다.
  • 량허 아창어 비음의 가장 큰 특징은 유성, 무성이 대립한다는 것이다.
  • 량허 아창어의 비음은 자음뿐 아니라 모음에도 존재한다. 자음 비음에는 유성, 무성이 대립한다.
2016/01/30 09:08

12_vowel : 모음 (vowel)

단모음과 비모음

량허 아창어에서는 총 11개의 단모음, 2개의 비음 모음이 쓰인다.

고저 전후 원순 음소
high front unrounded i
central mid rounded ə
high back unrounded ɯ
high back unrounded u
high mid front unrounded e
high mid back rounded o
low mid front unrounded ɛ ɛ͠
low mid back unrounded ʌ
low front unrounded a
low back unrounded ɑ ɑ͠
ɿ

이중모음 (diphthong)

  • 량허 아창어에서 쓰이는 이중모음은 총 12개이다.
  • iɛ, iɑ, iu ɛi ɑi, ɑu, əu, ui, uɛ, uɑ, iɛ͠, uɑ͠, iɑu, uɑi
2016/02/21 21:45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아창어의 성조체계

  • 량허(梁河) 아창어에는 5가지 성조가 있다.
  • 중수평조(33), 낮내림조(31), 높수평조(55),높오름조(35), 내림조(51)
  • 이 중 높수평조(55), 중수평조(33), 낮내림조(31) 3가지 성조가 기본 성조이고, 높오름조(35)와 내림조(51)은 변조나 중국어 가차에서 나타난다.
2016/02/21 21:45

supra_length : 장단 (length)

2016/04/05 09:04

supra_pitch : 음조 (pitch)

  • 성조
  • pitch accent
  • 억양

량허 아창어 성조의 특징

량허(梁河) 아창어에는 5가지 성조가 있다. (중수평조(33), 낮내림조(31), 높수평조(55),높오름조(35), 내림조(51) )

이 중 높수평조(55), 중수평조(33), 낮내림조(31) 3가지 성조가 기본 성조이고, 높오름조(35)와 내림조(51)은 변조나 중국어 가차에서 나타난다.

(2) 아창어의 성조변화

33 31~55

  • kɑi³³ʨˀ³¹~⁵⁵ 말하다

33 31~51

  • ɑŋ³³ kɑŋ³¹~⁵¹ 너무 일찍

31 31~35

  • n³¹ ʨɑ³¹~³⁵ 먹지 않다

31 31~55

  • n³¹ khut³¹~⁵⁵ 만들지 않다
  • kɯ³¹ kɑŋ³¹~⁵¹ 매우 크다
  • tɑ³¹ nɑi³³~³¹ 매일
  • ɑ³¹tsa³³~³⁵ 아이
  • khɑ⁵⁵ nɑi³³~³¹ 어느 날
  • ək⁵⁵ paˀ³¹~⁵⁵ 주사 놓다


2016/02/21 21:45

supra_stress : 강세 (stress)

2016/02/22 22:58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량허(梁河)아창어의 음절구조는 총 9개 이다.

모음(V)
  • u³³ 사다
  • ɯ³³ 웃다
모음+모음(VV)
  • ɑi³³ 사랑
자음(C)
  • m³¹ 부정
모음+자음(VC)
  • uŋ³¹ 복부
  • ɑŋ³¹ 음식
자음+모음(CV)
  • ʦu³³사람
  • lu³¹충분한
자음+모음+모음(CVV)
  • ʦɑu³¹ 관료
자음+모음+모음+모음(CVVV)
  • thiɑu³³ 뛰다
자음+모음+자음(CVC)
  • ʂɑŋ³³ 철
자음+모음+모음+자음(CVVC)
  • n̥uat³¹ 시
2016/02/22 22:58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음 증가

보통 앞 음절 모음에 음절말 자음을 추가한다.

  • mjɛ͠³⁵tʰiɑu³¹ → mjɛ͠ n͠³⁵tʰiɑu³¹ : 면
약화

음절이 서로 연결될 때, 앞 음절은 약화될 수 있다. 약화된 음절은 비교적 짧고, 약하게 읽힌다.

그 음가는 단모음, 복모음을 막론하고 운미를 수반하는 모음은 모두 슈와(ə) 로 변하고뒤에 약한 후색음을 수반한다.

  • mu³¹sɑu³¹→ mə³¹sɑu³¹ book 책

약화는 복합어에서도 나타난다.

  • tɑ³¹nɑi³³~³¹ → tə³¹nɑi³³~³¹ : 하루
합병

몇몇 어휘들은 음절합병이 일어나기도 한다.

  • k ͪ ɑ⁵⁵ʑu³¹ → k ͪ iủ⁵⁵ : 누구
2016/02/22 22:58

phonproc_assimil : 동화(assimilation)

동화(assimilation)

두 개의 음절이 연이어 발음될 때 동화 현상이 일어난다.

  • ʦɑ³¹mə³¹ → ʦə³¹mə³¹: 옷
2016/02/22 22:58

phonproc_hiatus : 모음충돌회피

  • 모음 충돌을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면 해당 언어에 다음 중 어느 것이 존재하는지 기술할 것.
    • 대치(주로 반모음화)
    • 탈락(모음 탈락)
    • 첨가(반모음 또는 자음의 첨가)
    • 축약
2016/06/16 13:11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아창어의 성조변화

  • kɑi³³ʨˀ³¹~⁵⁵ say 말하다
  • ɑŋ³³ kɑŋ³¹~⁵¹ so early 너무 일찍
  • n³¹ ʨɑ³¹~³⁵ not eat 않다 먹다

    - n³¹ khut³¹~⁵⁵ not make 않다 만들다

  • kɯ³¹ kɑŋ³¹~⁵¹ very big 매우 크다
  • tɑ³¹ nɑi³³~³¹ one day 일 일
  • ɑ³¹tsa³³~³⁵ child 아이
  • k_hɑ⁵⁵ nɑi³³~³¹ which day 어느 날
  • ək⁵⁵ paˀ³¹~⁵⁵ give injection 놓다 주사
  • laˀ³¹~³³ xɛiˀ⁵⁵ go 가다
  • xəu⁵⁵~³³ʑɑŋ³¹~⁵⁵ that kind 저것 같은
  • puˀ³¹~⁵⁵thɑˀ⁵⁵~³¹ wrap up 포장 하다
  • xɑ⁵⁵~³³tʂuŋ³³~⁵⁵ this kind 이러한
2016/06/16 13:11

phonproc_vharmony: 모음조화(vowel harmony)

  • 해당 언어에 모음조화 현상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존재한다면 다음의 특성(자질) 중 어느 것과 관련된 것인지 기술.
    • 혀의 전후 위치
    • 혀의 높낮이
    • 혀뿌리(설근)의 전진(ATR) 또는 후축(RTR)
2016/06/16 13:11

21_wordclass : 단어부류 체계 (word class system)

  • 아창어의 품사는 명사, 대사, 수사, 양사, 형용사, 동사, 부사, 접속사, 조사, 감탄사로 나누어볼 수 있다.
  • 이 중에서 명사, 대사, 수사, 양사, 형용사, 동사는 개방성 품사에 속한다. 부사, 접속사, 조사, 감탄사는 폐쇄성 품사에 속한다.
  • 아창어의 명사 자체는 성, 수, 격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다.
  •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개방성 품사 부류에 속하며 계사의 도움 없이 직접 서술어의 역할을 담당한다.
  • 따라서 아창어의 형용사는 동사적 성질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 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할 때 맨형용사가 단독으로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고 형용사 중첩 형식이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 아창어의 부사는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부정부사, 어기부사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 아창어에서는 명사의 개수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횟수를 셀 때 반드시 양사를 사용해야 한다.
  • 아창어의 양사는 명사에 사용하는 명량사(명사 분류사)와 동사에 사용하는 동량사(동사 분류사)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2016/01/30 09:08

22_noun : 명사 (noun)

명사의 성

  • 명사 자체는 성에 따른 형태 변화가 없다.
1) 사람의 성별
  • 남성은 –phɑ31, 여성은 -ȵit31을 추가한다.
  • ɑu31phɑ31 외삼촌 ɑu31ȵit31 외숙모
  • 사람의 성별을 어휘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ɑ31phɑ31 아버지 ɑ31ȵit31 어머니 ɑ31n̥ɑŋ33 여동생 ɑ31nuŋ31 남동생

  • 일부 단어는 남성을 나타낼 수 있고 여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mə31 손자, 손녀

2) 동물의 성별
  • 수컷은 –lɑ31 혹은 ɑ31lɑ35를 부가하고, 암컷은 –mɑ31 혹은 ɑ31mɑ31을 부가한다.
  • no31lɑ31 숫소
    - no31mɑ31 암소
  • ku31ti35ɑ31lɑ31~35 참새(수컷)
    - ku31ti35ɑ31mɑ31 참새(암컷)

    생육 능력이 있는 동물을 전문적으로 가리킬 때는 수컷은 -phɑ31, 암컷은 -tsəŋ33 혹은 -ȵit31을 부가한다.
  • tɕɑʔ31phɑ31 수탉
    - tɕɑ31tsəŋ33 암탉

명사의 수

  • 명사 자체에는 수로 인한 형태 변화가 없음. 수는 수량구를 더하거나 복수를 나타내는 성분을 더하여 나타냄. (53)
1) 수량단위를 부가함. 어순은 "명사+수사+양사”.
acha1249 shijian2009:53
tsu33tɑ31ʑuˀ31
persononeCL
사람 한 명
2) 뒤에 복수를 나타내는 성분을 더하는데,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인물명사의 뒤에 –tɑ31 또는 -ȵi을 더해서 복수를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53
mə31tɑ31
grandsonPL
손자들
acha1249 shijian2009:53
ɑ31mɑŋ35ȵi31
brotherPL
형제들
성씨 혹은 집 이름 뒤에 -ŋu33을 부가하여 “누구누구의 집”을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53
lɑˀ31uŋ35ŋu31
Caohouse
조씨네집
2016/01/30 09:08

23_verb : 동사 (verb)

  • 아창어의 동사는 개방부류이며, 동사 뒤에 상, 태, 어기 조사를 나타내는 요소가 부가될 수 있다.
  • 타동성의 관점에서 자동사, 타동사, 이항타동사, 자타양용동사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씩 실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타동사

acha1249 shijian2009:94
s`AN31NA33t@33n_ja33Ei?55
3sg1sgOBJcurseDEC
그가 나를 욕하다. (他骂我。)

(2) 이중타동사

3개의 논항과 관련이 있으며, 이중타동사는 그 종류가 한정적인 부류로 수량에 한계가 있다. 다음과 같다.

acha1249 shijian2009:95
  • ts\?31 주다
  • p_hAu31 보내다
  • m_ji 묻다

(3) 자동과 타동을 넘나드는 동사

1) S=A 류.
  • S
acha1249 shijian2009:96
nAN33z\i31XA33lAN31A?55
youaminutewaitPTCL
너 조금 기다려라.
  • A
acha1249 shijian2009:96
nAN33NA33t@33z\i31xA33lAN31A?55
youIOBJaminutewaitPTCL
너 나를 조금 기다려라. (你等我一下啊。)
2) S=P 류.
  • S
acha1249 shijian2009:96
NA33mA31lAu33Ei?55~31
1SGlikePTCL
나는 좋아한다. (我喜欢。)
  • P
acha1249 shijian2009:96
s\AN31NA33t@33mA31lAu33@i?55~31
3SG1SGOBJlikePTCL
그는 나를 좋아한다.
2016/01/30 09:08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개방성 품사 부류에 속한다.
  • 그리고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계사의 도움 없이 직접 서술어의 역할을 담당한다.
  • 따라서 아창어의 형용사는 동사적 성질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 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할 때 맨형용사가 단독으로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고 형용사 중첩식이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1) 맨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

  • 이 경우 문미에 Ei?55, nEi?55 등의 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acha1249 shijian2009:0
khA55~33nai33la33ts`A31s`ɿ31ts`hAN31nEi?55
todayTOPfairlycoldPTCL
오늘은 상당히 춥다.
acha1249 shijian2009:0
xAi55~33ts`u33~55m@31ts`h@n33tS\31k@33Ei?55
thistypebamaoo.shootdeliciousPTCL
이러한 종류의 죽순은 맛있다.

2) 형용사 중첩 형식이 서술어가 되는 경우

  • 이 경우 중첩 형식의 뒤에 정도부사 'kAN31'(약화형식은 k@N31)을 부가하는 경우가 많다. 문미에는 어기조사 'Ei?55'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acha1249 shijian2009:0
ko33pA33A31m_0jAN33A31m_0jAN33Ei?55
heighttalltallPTCL
키가 매우 크다.

3) 음절 특징

  • 아창어의 형용사는 단음절 형용사가 가장 많고 쌍음절 형용사는 비교적 적으며 다음절 형용사는 드물다.

4) 정도부사의 수식

  • 아창어의 정도부사는 형용사 앞에 부가하기도 하고 형용사 뒤에 부가하기도 한다.
  • 형용사 앞에 부가하는 부사는 kM31wAi35(특히), fEi33ts`hAN31/ts`A31s`ɿ31(매우), J_+a33khM55(조금), th@31pjE?31(특히), tsui35/tin33(가장), J_+a?31(너무), ko35J_+31(지나치게)이다.
acha1249 shijian2009:87
xAi55thA?55t@33kM31wAi35luA~33
hereLOCespeciallycluttered
여기가 특히 어지럽다.
  • 형용사 뒤에 부가하는 부사는 주로 kAN31(매우), kM33(매우), kM55(너무), kAN51(너무)이다.
  • 이 중에서 kM55(너무), kaN51(너무)는 kAN31(매우), kM33(매우)의 성조 굴절을 통해 생긴 것이다.
acha1249 shijian2009:0
tA~31pjAu31kAN31
rice.paddyfertilevery
논이 매우 비옥하다.

5) 상태형용사

  • 아창어도 현대표준중국어처럼 성질 형용사 외에 상태 형용사가 있다.
  • 상태 형용사에는 AAB 형식과, AABB 형식이 있다.
  • 상태 형용사는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될 수 있다.
  • 상태 형용사가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되는 경우 상태 형용사가 앞에 나오고 명사가 뒤에 나온다.
  • 상태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는 관형 조사 'Ei?55' 가 꼭 출현하여야 한다.
    89_tmn33tmn33_ts_it31_ei_55_s_mk31l_0ia}

6) 형용사의 명사화

  • 아창어에서 형용사를 명사화 시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첫째, 접두사 ɑ31를 부가하여 단음절 형용사를 명사화시킬 수 있다(예: ɑ31phu33하양).
  • 둘째, 조사 Ei?55/kA33를 부가하여 이음절 형용사를 명사화시킬 수 있다(예:liAN33pA33kA33 아름다움).
  • 접두사 A31을 부가하는 경우는 형용사의 특징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 첫째, 이 구조는 여전히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둘째, 이 구조는 명사 중심어 뒤에서 관형어를 담당할 수 있는데 관형어 표지는 영형식을 취한다.
  • 셋째, 이 구조는 중첩을 통해서 정도의 심화를 나타낼 수 있다. 중첩형식은 주로 ABB 식과 ABAB 식이다.
2016/01/30 09:08

25_adv : 부사 (adverb)

  •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부정부사, 어기부사 등으로 분류된다.

1) 정도부사

  • 정도부사는 전치부사와 후치부사로 나눌 수 있다.
전치부사
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ȵaʔ31 “너무”,
  • fɛi33tʂhɑŋ31/tʂɑ31ʂı31 “아주”,
  • kɯ31wɑi35 “유난히“,
  • tsui35/tin33 “제일“,
  • thɑi35 “너무“,
  • thə31pjɛʔ31 “특히, 아주”,
  • ȵa33khɯ55 “약간, 조금“,
  • ko35ȵi31 “과분하게, 너무“,
  • xɑŋ33lɑʔ31xɑŋ33 “점점“,
  • ʑɛ31phɑ33…ʑɛ31phɑ33…/ʑɛ31…ʑɛ31… ”-ㄹ수록’,
  • nɯŋ31ȵaʔ31 “다소”,
  • kən33 “더”,
  • xã33 “너무”, 부정문에만 쓰여 부정의 강도를 줄여주며 완곡어법의 기능이 있다.
후치부사
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kɑŋ31 “아주“,
  • kɯ33 “아주”,
  • kɯ55 “너무”,
  • kɑŋ51 “너무”.
  • kɯ55”너무”와 kɑŋ51”너무”는 kɯ33”아주”와 kɑŋ31“아주”로부터 성조가 굴절한 것이다.

2) 범위부사

범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kɯŋ33kɯŋ55 / thuŋ33 / thuŋ33thuŋ33/ tu33 “다”
  • lie33/ʑɛ33 “도“,
  • tʂɩ33 “만”

3) 시간부사

시간부사의 대부분은 서술어 앞에 위치하며 소수만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 tshɑi31 “이제야”,
  • tɕɛ̃33/ɕɛ̃33/ʂɩʔ55 “먼저”. tɕɛ̃33/ɕɛ̃33은 서술어 앞에, ʂɩʔ55은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 ʑi33tɕin33 “이미”. 중국어로부터 차용되었으며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i33lɑu55/tɕin33tʂhɑŋ31 “늘, 자주”.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xɑi31/ʂən31 “여전히, 아직”. xɑi31는 서술어 앞에, ʂən31은 서술어 뒤에 쓰인다.
  • ʑu33/tsɑi35 “또, 다시, -고 나서”.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xɑi31ʂɩ33/xɑ̃31ʂɩ33 “여전히, 그래도”. 중국어에서 차용.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 ʑu33 “또”. 핵심 서술어 앞에 쓰인다.

4) 부정부사

n31/m31 “안/못”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중국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중국어에서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정도부사 혹은 범위부사와 결합할 때는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의 어순을 가진다.
  • 부정의 범위는 구 전체에 걸치지만 부정의 강도는 약한 편이다.
  • 강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문법 수단을 사용한다.
ta31 “~지 마라”.
  •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는 쓰일 수 없다.
5) 어기부사
  • ɑ31kɯŋ33/ʑ31tin35 “꼭, 반드시”,
  • tɑu35ti51 “도대체“,
  • ko51ʑɑ̃31 “과연”,
  • tʂɩ33xɑu51 ”-ㄹ 수밖에“를 들 수 있다.
6) 방식부사
  • tɑ31tɕhɛ33 “함께”,
  • ɑ31thiɛ35/tɕhin33tʂɩ55 “직접”,
  • ɑ31thu35a31thiɛ35 “혼자”를 들 수 있다.
2016/01/30 09:08

26_exclam : 감탄사(interjection, exclamation)

감탄사는 주로 감탄 또는 감탄의 일부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전형적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표현하며 통사적으로 다른 동반 표현과 관계를 맺지 않는다. 해당 언어에 발견되지 않는 음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 영어의 psst, ugh, excellent, well

참고: http://www-01.sil.org/linguistics/GlossaryOfLinguisticTerms/WhatIsAnInterjection.htm

2016/01/30 09:08

27_num : 수사 (numeral)

  • 아창어에는 기수사(cardinal), 서수사(ordinal)가 나뉘어 있다.
  • 분수(fraction), 배수(multiple), 어림수(approximate)도 있다.
  • 進法은 10진법을 사용한다.

1) 기수사

  •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기수사 중 많은 수가 중국어 차용어이다.
  • lin31 '0', pMk55 '100', tS\hE~33/tS\huA~33 '1000', wA~33 '10000', Z\i35 '100000000' 은 모두 중국어에서 차용한 것이다.
  • 기수사의 결합방식은 “1~9”가 “십, 백, 천, 만, 억”등의 앞에 오는 경우는 상호 곱하는 관계이며 뒤에 오는 경우는 상호 더하는 관계이다
acha1249 shijian2009:0
suN31tA31ts`hɿ33NA31
threetenfive
35(3×10+5).
  • 10단위와 1단위를 연결할 때 별다른 표지 없이 그냥 연결하기도 하지만 접속사 'liE~31'을 삽입하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0
tA31ts`hɿ33liE~31lA?31NuAi31
onetenCONJnine
19

2) 서수사

  • 중국어에서 서수를 표현하는 데 쓰이는 '第'를 차용하여 순서를 표현한다. 즉, 'ti35 + 기수사'의 형식을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0
ti35@35
The.firsttwo
제2

3) 분수

  • 아창어에서 분수는 '기수사+ku33'으로 나타낸다.
  • 분모는 앞에 쓰고 분자는 뒤에 쓴다.
  • 분모와 분자의 중간에 접속사 'kA33'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강제적으로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acha1249 shijian2009:0
tA31pMk55ku33kA33sɿ55ku33
onehundredminuteCONJtwominute
100분의 2

4) 배수

  • 아창어에서 배수는 중국어의 '倍'를 차용하여 '기수사+pEi33'로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0
u33pEi33
fivetimes
다섯 배

5) 어림수

  • 아창어에서 어림수를 나타내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다.
수사 뒤에 [N\a?31] '남짓, -여', [lAi31wAN33] '가량, 안팎, 쯤', [tso33Zu35] '가량, 안팎, 쯤', [S\E33] '조금, 약간, 얼마쯤'을 부가하여 어림수를 나타내는 방법.

N\a?31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sɿ55ts`hɿ33N\a?31
twotenmore.than
20남짓

lAi31wAN33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NA31ts`hɿ33lAi31wAN33
fivetenmore.or.less
50쯤

tso33Zu35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tA31pMk55tso33Zu35
onehundredmore.or.less
100쯤

S\E33의 예:

acha1249 shijian2009:0
tA31tS\hE~33S\E33
onethousandsome
1000 남짓
수사 앞에 중국어 차용어인 '差不多'(대략) [ts`hA35pu31to33]을 부가하여 나타내는 방법
acha1249 shijian2009:0
ts`hA35pu31to33lA?31NuAi31ts`h33~31
nearlynineten
대략 90
인접한 수사 혹은 수량구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방법
acha1249 shijian2009:0
m@?31NA31tc\hE~33
fourfivethousand
4,5천
2016/01/30 09:08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아창어에서는 명사의 개수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횟수를 셀 때 반드시 양사를 사용해야 한다.

1) 아창어의 양사

  • 명사에 사용하는 명량사(명사 분류사)와 동사에 사용하는 동량사(동사 분류사)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2) 명사의 수

  • 명사 자체에는 수를 표시하는 문법적 표지가 없으며, 수와 명사의 부류를 나타낼 때는 반드시 수사와 양사를 붙여야 한다. 이 경우 수량사구는 명사 뒤에 놓인다.
acha1249 shijian2009:0
tsu33ta31z\u?31
persononeCL
한 사람.

3) luŋ33~35, ku33

  • 아창어에는 여러 부류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luŋ33~35, ku33 두 가지의 양사가 있고, 명사와 동일한 양사를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acha1249 shijian2009:76
wɑ33tɑ31wɑ33
villageoneCL.village
한 마을
  • 수는 적지만 복수의 것을 하나로 셀 때 사용하는 집합양사도 있다.
acha1249 shijian2009:79
khɯ33tin33tɑ31ʨuŋ31
shoesoneCL
한 켤레의 신발

4) 동량사

  • 동량사는 명량사보다 휠씬 적다.
  • 많이 쓰이는 동량사로는 “번, 회”의 의미로 kuN35, pjE~33, xA33, xui33, mjA35, ts`uA~33, khun35, pu33 등이 있다.
  • '수사+동량사'로 구성된 수량사구는 동사 앞에 놓인다.
acha1249 shijian2009:0
z\i33xui31S`u?55
oneCLdrink
한 번 마시다.

5) 수사, 양사, 명사의 어순

  • 아창어의 수사, 양사, 명사의 어순은 명량사의 경우와 동량사의 경우가 다르다.
(1) 명량사 어순
  • 아창어에서 수사, 명량사, 명사의 어순은 '명사-수사-명량사'의 순서이다.
acha1249 shijian2009:0
tsu33ta31z\u?31
persononeCL
한 사람.
(2) 동량사 어순
  • 아창어에서 수사, 동량사, 동사의 어순은 '수사-동량사-동사'의 순서이다.
acha1249 shijian2009:0
z\i33xui31S`u?55
oneCLdrink
한 번 마시다.
2016/01/30 09:08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2016/01/30 09:08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 현장 지시사의 xɑ55(xɑi55로도 발음)'이'와 xəu55'저'가 문맥지시사로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
  • 이들 모두 전방 조응으로 쓰였는데 자료의 제한으로 후방 조응이 가능한지는 아직 알기 어렵다.
2016/01/30 09:08

pro_dem : 현장지시사 (demonstrative, demonstrative pronoun)

  • 근칭은 xɑ55(xɑi55로도 발음)'이'로, 원칭은 xəu55'그/저'로 나타내는데, 원칭은 일반적으로 음성적으로도 길게 발음 한다.
  • 또한 각각 ȵ̥aˀ31'많다'를 뒤에 추가하여 복합 지시대사를 구성하여 지시하는 대상이 복수임을 나타낼 수 있다.
acha1249 shijian2009:60
tsu33xɑ55ȵ̥aˀ31khiɑŋ33khut31lɑˀ31ɛiˀ55?
peoplethesewhatdogoFP
이 사람들은 뭐하려고 하니?
acha1249 shijian2009:60
tsɯŋ31xəu55ȵaˀ31lɑ33ɑ31mjin33m31pɑ33~35.
mountthoseTOPnameNEGhave
저 산들은 이름이 없다.
  • 현장지시사는 대부분 홀로 쓰이지 못하고 방위사, 양사 혹은 수량사구와 함께 사용한다.

1) 방위사와의 조합

acha1249 shijian2009:60
xɑi55ɑ31kɑ31
thisabove
이 위
acha1249 shijian2009:60
xəu55ɑ31thə35
thatbelow
저 아래
  • 현장지시사와 pjɑˀ31'변, 쪽'와 결합하여 근칭, 원칭, 더 먼 원칭(更远指)을 나타낼 수 있다.
  • 근칭은 xɑi55pjɑˀ31, 원칭은 xəu55pjɑˀ31, 더 먼 원칭(?)은 xəu55pjɑˀ31의 마지막 음절을 중복하거나, 그 뒤에 반실반허(半实半虚) 형태소 mɑ33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60
xɑi55pjɑˀ31lɑˀ33ŋu31,xəu55pjɑˀ31lɑ33nuŋ31,xəu55pjɑˀ31lɑˀ33ʂuŋ31.
hereTOPmy.housethereTOPyour.housethereTOPher.house?
여기는 내 집, 거기는 너의 집, 저기는 그의 집.
acha1249 shijian2009:60
xəu55pjɑˀ31pjɑˀ31lɑ33tɕu55ʂi31lɑu51~33tɕɛ~33sɑ̃33.
over.therethereTOPexactlyBELaoJianShan
더 멀리 저기가 바로 노첨산이다.

2) 수량사와의 조합

  • 현장지시사가 수량구와 조합되어 명사를 수식할 때 대부분 명사 중심어의 뒤에 놓인다. 또한 수량사가 tɑ31/ʑi31'하나'일 경우에는 수량사를 생략할 수 있다.
acha1249 shijian2009:61
tsu33xɑ55~33tɑ31ʑuˀ31
personthisoneCL
이 한 사람

3)명사와의 조합

  • 홀로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단수 현장 지시사: 지시사+명사
acha1249 shijian2009:61
xɑi55tsu33
thisperson
이 사람
복수 현장 지시사: 명사+지시사
acha1249 shijian2009:61
tsu33xɑ55ȵ̥ɑˀ31
personthisPL
이 사람들
2016/01/30 09:08

pro_indf : 비한정사 (indefinite, indefinite pronoun)

  • 의문사 그대로 비한정사로 쓰인다.
  • 의문사 그대로 불특정비한정 및 특정비한정을 나타낼 수 있다.
  • 의문사+liɛ33'도'와 부정소가 공기하면 예외 없이 그러하지 않음(부정극성+자유선택)을 나타낸다.
불특정비한정
acha1249 shijian2009:64
nɑŋ33khɑ55nɑi33~31lɑˀ55kɑ33thuŋ33uŋ33ɛiˀ55.
youwhich.daycomeCONallokFP
너 어느 날이든 와도 된다.
특정비한정
acha1249 shijian2009:64
khiɑŋ33tsəŋ33kɑŋ33tsɑi31ʑi31xɑ33mɯŋ55nəu33.
whatthingjust.nowoneCLmake.soundPFV
아까 뭔가 소리가 났다.
부정극성+자유선택
acha1249 shijian2009:64
ŋɑ33xɑi55tɕhi33kə33tə33ʑɛ33n31lɑˀ31lɑu33.
1SGnowwherealsoNEGgowant
나 지금 어디도 가고 싶지 않다.
acha1249 shijian2009:64
ŋɑ33khɑ55su31liɛ33tɕɑˀ31kɑ33m31mjin31~35pɑi31~35.
1SGhowalsohearCOMPZNEGunderstand
나는 어떻게도 알아 들을 수 없다.(나는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다.)
2016/01/30 09:08

pro_pers : 인칭대명사 (personal pronoun)

분류

SG DU PL
1.INCL Nu31tuN33tA31
1.EXCL NA33 Nu31tuNsɿ55z\u?31~35 Nu31tuN33
2 nAN33 n_ji31tuN33sɿ55z\u?31~35 n_ji31tuN33~31
3 s`AN31 s`ɿ31tuN33s`ɿ55z`u?31~35 s`ɿ31tuN33

격변화

1.SG 1.DU 1.PL.EXCL 1.PL.INCL
NOM NA33 Nu31tuNsɿ55z\u?31~35 Nu31tuN33 Nu31tuN33tA31
GEN NAi35/NA33~31kA35/NAi31kA33~35 Nu31tuNsɿ55z\u?31Ei?55 Nu31tuN33Ei?55
ACC NA33 Nu31tuNsɿ55z\u?31~35 Nu31tuN33
인칭주격소유격목적격
1인칭단수NA33NAi35/NA33~31kA35/NAi31kA33~35NA33
쌍수Nu31tuNsɿ55z\u?31~35Nu31tuNsɿ55z\u?31Ei?55Nu31tuNsɿ55z\u?31~35
복수Nu31tuN33(배제식)
Nu31tuN33tA31(내포식)Nu31tuN33Ei?55Nu31tuN33
2인칭단수nAN33nAN35/nAN33~31kA33~35
쌍수n_ji31tuN33sɿ55z\u?31~35n_ji31tuN33sɿ55z\u?31Ei?55
복수n_ji31tuN33~31n_ji31tuN33Ei?55
3인칭단수s`AN31s`AN35/s`AN31kA33~35
쌍수s`ɿ31tuN33s`ɿ55z`u?31~35s`ɿ31tuN33sɿ55z`u?31Ei?55
복수s`ɿ31tuN33s`ɿ31tuN33Ei?55

(1) 인칭대사의 수

  • 단수, 쌍수, 복수로 나눔. 쌍수는 단수의 뒤에 sɿ55z`u?31 (두 개)를 부가하여 구성.
  • 복수는 단수형식의 기초 위에 어근을 다르게 하고 성조를 굴절시키고 뒤에 형태소 ‘tuŋ33’을 부가하여 구성함.

    ŋɑ33 나 ŋo31tuŋ33 sɿ55z`u?31 우리 둘 ŋo31tuŋ33 우리

(2) 인칭대사의 격

  • 주격과 목적격, 소유격으로 나뉨.
  • 주격과 목적격이 동형이고 소유격이 동형이 아님.
  • 소유격은 주격과 목적격이 변화하여 온 것이다.
  • 첫째, 굴절형 수단 즉, 어근을 바꾸는 것과 성조 굴절로 실현.
  • 둘째, 분석형 수단을 통함. 즉, 소유관계 조사 Ei?55/ kA33 (的)를 부가.
  • 셋째, 굴절형 수단과 분석형 수단을 겸용하여 나타낸다.
2016/01/30 09:08

pro_q : 의문사 (interrogative)

사람 관련
  • khɑ55ʑuˀ31/khɑ55tɑ31ʑuˀ31/khiuˀ55 누구, 어느
  • khɑ55ʑuˀ31ɛiˀ55 누구의
사물 관련
  • khɑ55~33ʑɑŋ31~33/khiɑŋ33 무엇
시간 관련
  • khɑ55ȵɑˀ31i31tiɛ̃33 몇시
  • khɑ55nɑŋ31/khɑ55nɑi31 어느날
  • khɑ55tɕhi33l̥iɑ31/ʂɩ31xəu35/khɑ55tɕhi33 언제
장소 관련
  • kə33tə33/khɑ55mɯŋ55 어디
수량 관련
  • khɑ55ȵɑˀ31 얼마
방식 관련
  • khɑ55su31 어떻게
  • khiɑŋ33lɑˀ31mɑ33/khɑ55su31lɑˀ31mɑ 어떠한가
원인 관련
  • kɑ55su31kɑ35 왜
2016/01/30 09:08

pro_recp : 상호사 (reciprocal)

  • 아창어 자료에서 대명사적 상호사에 대한 자료를 찾지 못하였고, 상호적 의미를 나타내는 첨사는 뒤의 “46 val_recp” 부분을 참고.
2016/01/30 09:08

pro_refl : 재귀사 (reflexive, reflexive pronoun)

  • 재귀대명사로 ɑ31thu35 ‘자기’가 있다.
  • ɑ31thu35는 단독으로 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의 문장 성분을 담당하기도 하고, 인칭대명사, 명사와 조합되어 주어, 목적어, 관형어 등의 문장 성분을 충당하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58
NA33A31thu35lA?55pAN31~33
IoneselfdoPTCL
내가 할게

재귀(反身)대명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 중간에 조사 Ei?55/kA33을 꼭 삽입해야 한다.

acha1249 shijian2009:0
A31thu35Ei?55ts`h@33tsɿ33~55
oneselfPOScar
자신의 차
2016/01/30 09:08

32_det : 한정사 (determiner)

한정사는 단어 또는 접사로 명사를 수식하는 부류에 속하며 명사의 reference(quantity 포함)를 표현한다. 명사의 지시 작용을 돕는다는 의미.

  • 관사(article), 양화사(quantifier) 등을 포함함.
  • 관사는 한정사의 한 부류로서 명사의 definite/indefinite reference와 new/given status를 표현한다.
  • 양화사는 referent의 definite/indefinite한 수 또는 양을 표현한다.
  • 한국어의 성상 관형사 같은 경우도 여기에서 다룰 수 있다. 예) 새, 헌, 갖은

참조

(2) khiɑŋ33 tsəŋ33 kɑŋ33tsɑi31 ʑi31 xɑ33 mɯŋ55 nəu33.

   what  thing    just.now   one  CL  make.sound   PFV
   무엇    물건     금방      하나   번   소리나다    완망상
 아까 뭔가 소리가 났다.

(3) ŋɑ33 xɑi55tɕhi33 kə33tə33 ʑɛ33 n31 lɑˀ31 lɑu33.

  1SG      now       where  any? NEG  go   want
  나     현재       어디     도   부정  가다  싶다   
 나 지금 어디도 가고 싶지 않다. 

(4) ŋɑ33 khɑ55su31 liɛ33 tɕɑˀ31 kɑ33 m31 mjin31~35 pɑi31~35.

  1SG      how  -ever?     hear  COMPZ   NEG     understand
   나   어떻게      도   듣다  得보어조사 부정소  알다
 나는 어떻게도 알아 들을 수 없다.(의역: 나는 도무지 알아 들을 수 없다.)
2016/01/30 09:08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전치사(preposition), 후치사(postposition), 환치사(circumposition)
2016/01/30 09:08

34_conj : 접속사 (conjunction)

병렬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사
  • “m̥ɑʔ55,tɑʔ31”, “tɑ31luɛi35…lin35ta31luɑi35…(한편으로…다른 한편으로…)
선택을 나타내는 접속사
  • “m33ʂı31,xɑi31ʂı33,xɑ̃31ʂı33”(还是)
연접을 나타내는 접속사
  • “kɑ33,kun33”
이접을 나타내는 접속사
  • tɑ̃33ʂı33 (하지만, 그러나,但是),kho51ʂı33~55 (하지만, 그러나,可是),pu31ko33 (그렇지만,不过),tʂı33ʂı31(단지,只是),tɑu31ʂı31 (-기는 하지만,倒是),ka33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사
  • n31ȵɛʔ55 (-지 않으면, 不然),tʂı33ʂı31 (-기만 하면, -야만,只要,只有),pu31kuɑ̃33/m31kuɑ̃33 (~을 막론하고,不管)
가정을 나타내는 접속사
  • ɛiʔ55xuɑ35/ɛiʔ55tʂɑu33 (-면, 的话), ʑɑu33ʂı33/ʑɑu33 (-면,要是,要),tɕu55ʂı31 (설령 …더라도,就是),kun33 (-면)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접속사
  • so31ʑi31/ʂı33kə33 (그래서, 所以)
  • 목적 관계를 나타내는 접속사로는 kɑ33 만 있다.
2016/01/30 09:08

35_aux : 보조사(auxiliary)

35_aux : 보조사(auxiliary)

  • 阿昌語의 조동사는 동사성 성분과의 결합이 매우 긴밀하다.
  • 부정부사는 일반적으로 조동사와 동사성 성분 전체에 부가된다.
  • 阿昌語의 조동사는 대부분의 경우 중심술어의 앞에 놓이지만, 간혹 뒤에 오는 경우도 있다.
  • 만약 조동사가 앞에 위치하게 되면 부정부사는 조동사의 앞에 놓이게 되고, 조동사가 뒤에 위치하게 되면 부정부사는 동사 앞에 놓인다.
acha1249 shijian2009:117
n31lɑʔ31lɑu33
NEGgoWant.to
가고 싶지 않다 (不想去)
acha1249 shijian2009:117
m31uŋ33~35lɑʔ31
NEGdarego
감히 가지 못하다 (不敢去)
2016/01/30 09:08

36_ptcl : 첨사(particle)

아창어의 어기조사

  • 阿昌語의 어기조사는 진술어기조사는 əu33, ɛiʔ55, mɑ33, ui31 가 있고,
  • 의문어기조사는 nɛi35, po35, ui31, mo31, liɛ31, ɛiʔ55가 있다.
  • 명령, 청유의 어기조사로는 ɑʔ55, ɛi35, tɕiʔ31 가 있고,
  • 감탄을 나타내는 어기조사는 ɛiʔ31이 있다.
(1) 진술 어기조사

① əu33: 명사술어구, 형용사술어구, 주술술어문, 일부 자연현상을 기술하는 동사 술어문에 쓰임. “了”에 해당. 앞 음절의 영향으로 xəu33, kəu33, nəu33로 읽을 수 있다.

acha1249 shijian2009:153
khA55~33nAi33s\in33ts\_hi33z\i31x@u33~35
todaymondayPTCL
오늘 월요일이다. (今天星期一了。)

② ɛiʔ55: 긍정문에 쓰임.

acha1249 shijian2009:154
s\AN31ts\MN31t@33tA?31lAu33Ei?55
3SGmountainLOCclimblikePTCL
그는 등산을 좋아한다. (他喜欢爬山。)

③ mɑ33: 대부분은 긍정문에 쓰이고, 가끔 부정문에 쓰임. “嘛(-잖아)“

acha1249 shijian2009:154
nAN35lA?31wA35t@33mA33!
yourpalmremainPTCL
너의 손바닥에 있잖아! (在你的手心里嘛!)

④ ui31: 대부분 부정문에 쓰임. “呀“

acha1249 shijian2009:155
s\AN31n31lA?31lAu33ui31
heNEGgolikePTCL
그는 가기 싫어하구나. (他不喜欢去呀。)
(2) 의문 어기조사

① nɛi35: 문말에 쓰여 귀띔하거나 추궁의 의미를 나타낸다. 특정의문문과 선택의문문에 많이 쓰인다. “呢”.

acha1249 shijian2009:155
nAN33k@33t@33lA?31Ei?55nEi35?
youwheregoPTCLPTCL(呢)
너 어디 가니? (你去哪里呢?)

② po35: 의혹을 나타내며, 판정의문문에 쓰인다. “吧“

acha1249 shijian2009:156
kAi55~33nAi33lA33s\in33ts\_hi33u33po35?
todayTOPweekfivePTCL
오늘 금요일이지? (今天是星期五吧?)

③ ui31: 특정의문문, 정반의문문, 선택의문문에 많이 쓰인다. 말투를 온화하게 바꾸는 역할을 한다.

acha1249 shijian2009:156
k_hiu?55ui31?
whoPTCL
누구야?

④ mo31: 부정명제에 쓰인다. “吗“

acha1249 shijian2009:157
nAN33m31lA?31~35mo31?
youNEGgoPTCL
넌 안가니? (你不去吗?)

⑤ liɛ31: 판정의문문에 쓰임. 평범한 의문문.

acha1249 shijian2009:157
nAN33ts\A31x@u33~35liE?
youeatPTCLPTCL,Q(吗)
너 먹었니?

⑥ ɛiʔ55: 주로 판정의문문에 쓰임. 반어법.

acha1249 shijian2009:158
nAN33lA?31lAu33Ei?55?
yougowant.toPTCL
너 가고 싶지 않아? (你想去?)
(3) 명령, 청유 어기조사

① ɑʔ55: 명령문. 앞 음절의 영향으로 kɑʔ55나 xɑʔ55로 읽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158
ts`ɿ33s`u?31A?55!
waterdrinkPTCL
물 마셔. (喝水啊!)

② ɛi35: 청유문.

acha1249 shijian2009:159
tsa33tsa33so31Ei35!
slowlywalkPTCL
천천히 가자! (慢慢走呀!)

③ tɕiʔ31: 강한 금지를 나타낸다. 한어 tɕiʔ31 “주다”로부터 문법화 함.

acha1249 shijian2009:159
naN33tA31ts\Au31~35ts\i?31
youNEGseePTCL
신경 쓰지 마! (你别理它!)
(4) 감탄 조사: ɛiʔ31
acha1249 shijian2009:160
A55su31wAi31Ei?31!
sofarPTCL
이렇게 멀구나! (这么远啊!)

아창어의 격조사

(1) 목적격 조사 tə33
  • 목적어의 유정성이 높으면 필수로 써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적이다.
  •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쓰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하여도 된다.
  • 유정정이 낮은 목적어에 tə33를 쓰면 강조 하는 역할을 하거나 운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2) 관형격 조사 : 관형격 조사에는 ɛiʔ55/kɑ33 (的)가 있으며, 관형어의 뒤에 쓰인다.
acha1249 shijian2009:143
xɑi55~33tʂu33~55lɑ33ʂuʔ31kɑ33~35tsəŋ33
thisDEFTOPdrinkGENthing
이것은 마시는 물건이다. (这是喝的东西。)
(3) 부사격 조사

① tsa33: 형용사 중첩형 뒤에 쓰여 부사어임을 나타냄.

acha1249 shijian2009:143
ts_hA~33ts_huA~33tsA33ts\A31
fastfastADVeat
빨리 먹다

② tə33

  • 처격 표지.
acha1249 shijian2009:143
No31tuN33nAi31t@33lA?31@i?55
wedayLOCgoPTCL
우린 낮에 간다.
  • 비교구문에서 비교 기준과 비교 결과 사이에 쓰임. ”~보다”
acha1249 shijian2009:144
A31nuN31A31sA135t@33k@33Ei?55
younger.brotherbrotherCOMgoodPTCL
남동생이 형(오빠)보다 낫다. (弟弟比哥哥好。)

③ m̥ɑʔ55/tɑʔ31

  • tɑ31tɕhɛ33/tɑ31ʑɑŋ33/ʑi31ʑɑŋ33 “一样 같다(처럼)“과 함께 대등비교구문에 쓰임.
acha1249 shijian2009:144
nAN33s\AN31mA?55tA31z\AN33tuN31n`_0a31k@N31@i?55
you3SGandequallyConfusedveryPTCL
너는 그처럼 정신없다. (你跟他一样很糊涂。)
  • 수반격 표지. m̥ɑʔ55는 고유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해도 되고, 뒤에 위치해도 되지만, 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ɑʔ31는 한자 차용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한다.
acha1249 shijian2009:144
nAN33k_hA55z\u?31m_0A?55lA?31
2SGwhoCOMIgo
넌 누구랑 가니? ( 你跟谁去?)

④ ku33

  • 수반격 표지. 핵심 술어 뒤에 위치하며 종종 목적격 조사와 공기한다.
acha1249 shijian2009:145
NA33nAN33t@33lA?31ku33pAN33!
IyouOBJgoCOMIPTCL
나 너랑 갈게!

⑤ xɑ33: 도구격, 도구 명사 뒤에 쓰임.

acha1249 shijian2009:145
s\AN31tso33s\@u33xA33ts\A31khM33liA33thAu31Ei?55
3SGleft.handINSwordwritePTCL
그는 왼손으로 글을 쓴다. (他用左手写字。)

⑥ khɯ33: 탈격, 동사 tɕɛʔ31”도착하-“와 함께 쓰여 ”~에서 ~까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145
No31tuN33khA55~33nMk55k_hM33khA133sɿ33pAN33
2PLtomorrowABLstartPTCL
우리 내일부터 시작하자. (我们从明天开始吧。)

⑦ khɯ33mɑʔ31/pji33/pɑ33: 비교격 표지 - khɯ33mɑʔ31/pji33: 고유어, 비교 기준 뒤에 쓰임.

acha1249 shijian2009:146
s\AN31xAi55tc\_hi33x@u55tc\hi33khM33mA?31pjAu35@i?55
henowbeforeCOMfatPTCL
지금 그는 이전보다 뚱뚱하다. (他现在比以前胖。)
  • pɑ33: 한어 차용어. 문말에 쓰이고, 목적격 조가가 필수로 쓰임. 소유의 pɑ33”있다”로부터 약간 문법화됨.
acha1249 shijian2009:146
xAi55ts\MN31x@u55ts\MN31t@33m_0jAN33m31pA33~35
ThismountainThatmountainOBJ높다NEGCOM
이 산은 그 산보다 높지 않다. (这山没有那山高。)
아창어의 인칭대사의 격 : 주격과 목적격, 소유격으로 나뉨. 주격과 목적격이 동형이고 소유격이 동형이 아님. 소유격은 주격과 목적격이 변화하여 온 것이다. 변화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첫째, 굴절형 수단 즉, 어근을 바꾸는 것과 성조 굴절로 실현된다.
  • 둘째, 분석형 수단을 통한다. 즉, 소유관계 조사 @i?55/kA33 的를 부가한다.
  • 셋째, 굴절형 수단과 분석형 수단을 겸용하여 나타낸다.
2016/01/30 09:08

39_func : 기타 기능어 (function word)

2016/01/30 09:08

41_cl : 절(clause)

2016/02/21 21:45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1) 핵심논항 표시방법

아창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핵심 논항(core argument)을 어순과 조사 부가(flagging)를 통해 구별한다.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아창어의 행위자 조사는 xɑ33이다. 행위자가 주어일 때는 쓰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사용한다. 아창어의 피행위자 조사는 tə33이다. 피행위자의 유정성이 높으면 필수로 써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적이다.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쓰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하여도 된다. 유정정이 낮은 피행위자에 tə33를 쓰면 강조하는 역할을 하거나 운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1)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acha1249 shijian2009:0
nAN33z_+u33tsAi33phu55N_+a?31s`u?31x@u33~55
2SGagainwhite.liquormanydrinkPFV
당신은 백주 또 많이 마셨다.

(2) 피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는 문장에서는 어순변화로 인한 중의를 해결하기 위해 피행위자 조사 tə33이나 행위자 조사 xɑ33을 사용한다.

##### ① 의미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조사사용은 강제성을 가진다.

acha1249 shijian2009:0
s`AN31NA33xA33tshAu33~55xEi?55
3SG1SGAGswearPTCL
그가 나에게 욕먹었다. / 그는 내가 욕했다.
② 중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행위자 조사를 사용하거나 행위자 조사를 사용하여 피행위자나 행위자에 대한 강조를 표현할 수 있다.
acha1249 shijian2009:0
wA31mA31No31tuN33xA33uN31x@u33~55
sow2PLAGsellPFV
암퇘지는 우리에 의해 팔렸다. /암퇘지는 우리가 팔았다.

##### ③ 행위자 조사와 피행위자 조사가 공기 가능하다.

acha1249 shijian2009:0
n_0MN55kA31t@33s`ɿ31tuN31xA33z_u33lA?31x@u33~55
stoneOBJ3PLAGcarrygoPFV
돌은 그들에 의해 들어 옮겨졌다. / 돌은 그들이 들어 옮겼다.
④ 행위자 피행위자 관계가 명확한 환경에서 조사는 생략 가능하다.
acha1249 shijian2009:0
s`Mk31xuA?55lAi33m@t31khut55k@u33
leafwindblowfallPTCL
나뭇잎이 바람에 떨어졌다.
⑤ 행위자 생략의 경우 피행위자는 주어의 위치를 점하고 피행위자 조사의 출현은 자유롭다.
acha1249 shijian2009:0
z_+in33n_+31~55sAi31Ei?55wA?31pAN31t@33ts\E~31khut55k@u33
housefrontPOSbambooOBJcutdownPTCL
집 앞의 대나무가 베여 넘어졌다.

2) 정렬(alignment)

아창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Languages
NA33A31thiE35lA?31
ISGPersonallygo
내가 직접 간다. (我亲自去。)
Languages
AN31NAi35A31sAi35t@33pa?55k@u33
3SGmybrotherOBJbeatPTCL
그는 나의 형을 때렸다.
2016/02/22 22:58

cl_grole : 문법 역할(grammatical role)

  • 주어의 범위
  • 목적어의 범위.
    • 절의 핵심 논항 중에서 제2논항, patient, undergoer 등을 의미적 타동성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길 수 있다. 이 점수가 매우 높은 요소만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고 이 점수가 꽤 낮은 요소까지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언어도 있다. 따라서 해당 언어에서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는 것들의 범위가 어디까지 가능한지 보여 줄 필요가 있다. 예) 중국어의 경우에 agent(의미적)가 object(문법역할. 협의의 목적어. accusative 또는 부치사를 동반하지 않는 목적어)로 표현될 수 있다. 장소도 목적어가 된다. “학교를 간다” 한국어의 경우 심리동사, 지각동사의 대상도 목적어로 표현된다. “~을 사랑하다”, “~을 보다”, “~를 돕다”.
2016/02/22 22:58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명사 핵과 수식어의 어순
    • 지시사
    • 수사
    • 형용사
    • 속격어
    • 관계절
  • 수량명사구
    • 양사 사용 여부
    • 수사, 양사, 명사의 어순
    • 수사 '1' 생략 가능성
    • 양사의 기타 기능
    • 양사의 결합 가능성: 지시사 등
  • 전치사구, 후치사구 등도 여기에 포함
2016/01/30 09:08

43_ctype : 절 유형 (clause type)

2016/01/30 09:08

ctype_adj : 형용사절 (adjectival clause)

아창어에서는 형용사 혹은 형용사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1) 맨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한 예는 다음과 같다.

Languages
nAN35mjAu31xA55tA31pA33thA?31nEi?55
2SGknifethisoneCLsharpPROG
너의 이 칼이 예리하다.

2) 방향보어를 수반한 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한 예는 다음과 같다.

Languages
s`AN35A31to35k@33thA?55~31lA?55k@u33
3SGbodygoodrisecomePERF
그의 몸이 좋아졌다. (他的身体好起来了。)

3) 정도보어를 수반한 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한 예는 다음과 같다.

Languages
NA33kAu33kAN51
1SGhappyvery
나는 매우 기쁘다. (我太高兴了。)
2016/01/30 09:08

ctype_cop : 계사절/명사절 (copular clause)

계사절

아창어에는 계사 ȵɛˀ55'이다'가 있다. 논항을 배당하는 능력은 없고 명사, 대사, 수량구 뒤에 나타나 화자가 어떤 대상 혹은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에 대해 판단함을 나타낸다. 긍정과 강조의 어투(语气)를 나타낸다.

ȵɛˀ55'이다'는 긍정 평서문에서 생략할 수 있다. 긍정 평서문에서는 일반적으로 화제표지 lɑ33를 사용하는데, 이는 계사의 역할과 같아 강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계사를 생략하게 된다.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강제성을 띤다.

생략

(1) 화제와 계사를 같이 쓴 경우
acha1249 shijian2009:115
xAi55~33ts`u33~55lA33NAi35u31tc`E~33N`
thisDEFTOPmythingCOPFP
이것은 내 물건이다.
(2) 화제가 있어서 계사를 생략한 경우
acha1249 shijian2009:116
xɑi55~33tʂu33~55lɑ33ŋɑi35u31tɕɛ̃33.
thisDEFTOPmything
이것은 나의 물건이다.

의무실현

acha1249 shijian2009:116
xɑ55thɑˀ55tə33nuŋ33tɕhu55n31ȵɛˀ55.
hereLOCNongQiuNEGBE
여기는 농구(지명)가 아니다.
acha1249 shijian2009:116
nAN33k@33t@33Ei?55s\?31s@n33J_+_0E?55~31Ei?55
2SGwhereCONNstudentBEPAE
너 어디 학생이니?

명사 술어의 표현 방법

(1)무표지: Np1+Np2

acha1249 shijian2009:246
ʂɩ31tuŋ33ŋui35nuŋ33tɕhɛ33.
3PLmyrelative
그들은 나의 친척이다.

(2)유표지

1) 계사 ᶇ˳ɛˀ55을 사용 : Np1+ ᶇ˳ɛˀ55+Np2
acha1249 shijian2009:246
ʂɑŋ31lɑ33ŋɑŋ31tshɑŋ31ȵ̥ɛˀ55~31ɛiˀ55.
3SGTOPAChangBEFP
그는 아창족이다.
2) 화제조사를 이용: NP1+TOP+NP2
acha1249 shijian2009:246
xɑi55tɑ31ku33lɑ33tɛɕ33tɛɕ33ɛiȵ55tɕin33tsɩ55.
thisoneCLTOPolder.sisterCONNmirror
이것은 언니의 거울이다.
3) 계사와 화제조사를 모두 사용
acha1249 shijian2009:247
ŋo31tuŋ33lɑ33tʂuŋ33ko31ʑən31ȵ̥ɛˀ55~31ɛiˀ55.
1PLTOPChineseBEFP
우리는 중국인이다.
2016/01/30 09:08

ctype_verb : 동사절 (verbal clause)

  • 자동사절
  • 타동사절
    • 이중타동사절
      • 어순
      • 정렬
        • flagging
        • indexing
2016/01/30 09:08

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阿昌語의 문장유형에는 진술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의 4가지 문장유형이 있다. 각 문장유형의의 표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진술문 : 판단성 진술문, 평술성 진술문, 서술성 진술문이 있으며, 모두 화제표지 la33으로 표현한다.

(2) 의문문 : 판단의문문, 의문사의문문, 선택의문문, 정반의문문, 반의의문문이 있으며, 어기조사 또는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3) 명령문 : 청유/건의는 조사 ɛi35로 나타내고, 명령/독촉은 조사 ɑ55, tɕiˀ31으로 나타내고, 권고/금지는 ta31로 나타낸다.

(4) 감탄문 : 좋아하는 어기, 싫어하는 어기, 놀라는 어기가 있다. 표현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① 문미에 ɛiˀ55(啊)/ui31(呀)의 어기조사만 사용한 경우

② 문두에 감탄사를 사용하고, 문미에 어기조사도 사용한 경우

2016/02/21 21:45

stype_exclam : 감탄문 (exclamative sentence)

아창어의 감탄문은 좋아하는 어기, 싫어하는 어기, 놀라는 어기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표현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문미에 ɛiˀ55(啊)/ui31(呀)의 어기조사만 사용한 경우
문두에 감탄사를 사용하고, 문미에 어기조사도 사용한 경우
acha1249 shijian2009:298
z\i35A55su31kA33@i?55
EXCLAMsuchexpensivePTCL
어, 이렇게 비싸!
2016/01/30 09:08

stype_imp : 명령문 (imperative sentence)

阿昌語의 명령문은 명령/독촉은 조사 ɑ55, tɕiˀ31으로 나타내고, 권고/금지는 ta31로 나타낸다.

명령/독촉
acha1249 shijian2009:296
nAN33ts`ɿ33p_h@n31t@33th@N33la?31ts\?31!
youwatertableLOCputgoPTCL
너 물을 탁자위에 놓아라! (你把水放在桌子上!)
권고/금지 : 어기 비교적 강함
acha1249 shijian2009:297
tsu33~31wA31tsa33~35mu31sAu31tA31ts\Au31~35!
childbookNEGsee
아이는 책을 보지마라! (小孩子不要看书!)
청유/건의 : 조사 ɛi35로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295
n_0i31tuN33k_huAi35ts\A33p_hu31lA?31Ei35!
youfastfooddogoPTCL
너희들 가서 밥해라. (你们去做饭吧!)
2016/01/30 09:08

stype_q : 의문문 (interrogative sentence)

(1) 阿昌語의 의문문

阿昌語의 의문문은 어기조사, 의문대명사 또는 이 둘은 모두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의문어기조사를 사용하는 경우

acha1249 shijian2009:289
s\AN31z\u33lA?31z@u33~35liE?
hetakegoPTCL(了)PTCL(吗)
그가 가져갔습니까? (他拿走了吗?)

의문대명사 사용

acha1249 shijian2009:289
nAN33k_hA55ts\_hi33lA?31Ei?55
youmanyperiodgoPTCL
너는 언제 가니? (你什么时候去?)

의문대명사와 어기조사 공기

acha1249 shijian2009:290
khA55!33nMk55tiE~33ts\_hi33khiAN33lA?31mA33Ei?55?
tomorrowweatherhowPTCL
내일 날씨 어때? (明天天气怎么样?)

(2) 의문문 분류

阿昌語에는 판단의문문, 의문사의문문, 선택의문문, 정반의문문, 반의의문문이 있다.

판단의문문

조사 ɛiˀ55를 사용함.

acha1249 shijian2009:290
s\AN31lA33NAN31ts_hAN31Ei?55?
youTOPachang.familyPTCL
너는 아창족이니? (你是阿昌族?)

의문사의문문

khiɑŋ33(무엇), khɑ55ʑuˀ31(누구), khɑ55nɑʔ31(얼마나), khɑ55su31(어떻게), kə33tə33(어디), khɑ55tɕhi33(언제), khɑ55sɯŋ31(시간이 얼마나), khɑ33kɯ31(나이가 얼마), khɑ55su31lɑʔ31ma33 / khiɑŋ33lɑʔ31ma33 (어떻니), kɑ55su31kɑ35(왜)

acha1249 shijian2009:291
nAN33KhiAN33mjin31tsɿ35@u?55Ei?55?
youwhatnamecallPTCL
너는 무슨 이름으로 부르니? (你叫什么名字?)

선택의문문

한어 차용어인 m33ʂi31/xɑ31ʂi31/xɑi31ʂi31(还是)이 있다.

acha1249 shijian2009:293
nAN33pa33nEi?55~31xAi31s\ɿ33m31pA33~35
youhavePTCLCNJNEGhave
당신 있나요? 아니면 없나요? (你有还是没有?)

정반의문문

동사의 긍정형식과 부정형식을 병렬하는 방식으로 나타냄.

acha1249 shijian2009:293
nAN33s\E31Ei?55n31s\E31~35ui31?
youknowPTCLNEGknowPTCL
너 아니 모르니? (你知道不知道呀?)

반의의문문

의문사 kə33tə33와 조사 nɛi35로 나타냄.

acha1249 shijian2009:294
nAN33k@33t@33s`AN31t@33kA~33z\in31nEi35?
youwhereheOBJdowinPTCL
네가 어디 그 사람을 이길 수 있는가? (你哪里能干得过他呢?)
2016/01/30 09:08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아창어의 기본 어순은 SOV이다.
  • 아창어는 기본적으로 SOV어순이지만, 언어 접촉으로 인해 SVO어순도 적지 않다. 똑같은 문장을 SOV, SVO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내포문의 어순은 변하지 않는다.
  • SVO어순을 쓰는 구문에서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쓰지 않는다.
  • 아창어는 화제가 발달한 언어이므로 피행위자 목적어가 화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문두에 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acha1249 shijian2009:0
pjA31s`A31No31tuN33i33lAu55tS\A31Ei?55
pupa1PLofteneatPTCL
번데기는 우리가 자주 먹는다.
acha1249 shijian2009:0
A31mA~31Ei?55tsu33liAN55NA33ts`Au31x@u33~35
yesterdayPOSmovie1SGseePTCL
어제의 영화는 내가 보았다.
  • 명사구 내의 어순을 살펴보았을 때 아창어의 고유 어순은 head-initial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순은 head-final이라고 할 수 있다.
2016/01/30 09:08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2016/02/21 21:45

val_appl : 추가태 (applicative)

  • 표지
  • 승격성분의미역할

논항이 아닌 것, 사격 성분을 동사의 목적어로 승격시키고 동사에 표지를 붙이기도 함.

2016/01/30 09:08

val_caus : 사동 (causative)

  • 梁河아창어에서 사동태를 만드는 기제는 분석적(periphrastic)인 방법과 굴절적(inflectional)인 방법이 있다.
  • 분석적인 방법은 사동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문법 수단이다.
  • 굴절적인 방법은 음성적인 변화로 실현하는데 주로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유기와 무기의 교체, 유성과 무성의 교체, 영성모와 무기마찰음의 교체이다.
    #### 1) 형용사를 사동태로 만드는 방법

형용사도 분석적인 방법과 굴절적인 방법을 통해서 사동 형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1) 분석적인 방법.

형용사 앞에 khut31을 써서 만든다.
자동태 phu33 희다 사동태 khut31phu33 희게 만들다.

(2) 굴절적인 방법.
① 성모의 기식성(aspirated)으로 나타낸다. 무기 성모는 자동태를 나타내고 유기 성모는 사동태를 나타낸다.

자동태 pəŋ31 가득 차다. 사동태 phəŋ31 가득 차게 하다.

② 비음 성모의 유성성/무성성으로 나타낸다. 유성 비음 성모는 자동태를 나타내고 무성 비음 성모는 사동태를 나타낸다.

자동태 n\uE31 따뜻하다(유성, 자동)
사동태 n\_0uE31 따뜻하게 하다(무성, 사동)

2) 동사를 사동태로 만드는 방법

(1) 분석적인 방법
①사동 의미를 가진 동사를 자동사 앞뒤에 부가하여 만든다.

- 사동 의미 동사로는 ts\i31 ('给,让'), sAi33 ('使') ,khut31/kAu33 ('搞,弄'), s`AN31 ('让')을 들 수 있다.

(2) 굴절적인 방법
① 유기음과 무기음의 교체로 자동과 사동을 나타낸다.

- 파열음, 파찰음 성모가 무기음인 것은 자동을 나타내고, 유기음인 것은 사동을 나타낸다.

② 무성음과 유성음의 교체로 자동과 사동을 나타낸다.

- 비음과 변음에서 유성음인 것은 자동을 나타내고, 무성음인 것은 사동을 나타낸다.

③ 영성모와 무성마찰음의 교체로 자동과 사동을 나타낸다.

- 영성모는 자동을 나타내고 무성마찰음은 사동을 나타낸다.

(3) 분석적인 방법과 굴절적인 방법을 혼합하여 이중 사동을 만든다.

- 일부 동사는 굴절형과 분석형을 겸하여 이중 사동을 만들기도 한다.

자동 용법:
acha1249 shijian2009:0
tsu33~31wA31tsA33~35nAu31x@u33
childcryPFV
어린아이가 울다.
분석형 사동 용법:
acha1249 shijian2009:0
tsu33~31wA31tsA33~35t@u33NAu31x@u33
childteasecryPFV
어린아이를 놀려서 울렸다.
이중 사동 용법:
acha1249 shijian2009:0
s`AN31t@33tsu33~31wA31t@u33NAu31x@u33s`AN33
3SGOBjchildteasecryPFVPTCL
그로 하여금 어린아이를 놀려서 울리게 하였다.
2016/02/21 21:45

val_inv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direct
  • inverse

북아메리카 언어에 많음.

2016/12/10 20:18

val_pass : 피동 (passive)

  • 피동 표지
  • 동작주의 실현 방식
  • 특수 피동
    • 비인칭 피동
    • 타동 피동
    • 피해 피동
2016/12/10 20:18

val_recp : 상호태 (reciprocal voice)

  • 아창어의 상호태는 상호 의미를 가진 동사에 상호 조사 kɑ33를 부가하여 구성한다.
  • kɑ33는 kɑŋ33으로 변환되는 경우도 있다.
acha1249 shijian2009:0
nAN33s`AN31t@33tA31tshAu33xA?55
2SG3SGOBJNEGswearPTCL
너 그에게 욕하지 말아라.
acha1249 shijian2009:0
n\i31tuN33tA31tshAu33kA33~31xA?55
2PLNEGswearRECPPTCL
너희들 싸우지 말아라.
2016/12/10 20:18

val_refl : 재귀태 (reflexive voice)

  • 아창어는 재귀대명사로 ɑ31thu35 ‘자기’가 있는데 앞의 “재귀대명사”부분에 서술하였다.
  • 재귀태라고 볼 수 있는 설명은 아창어 참고자료에서 발견하지 못하였다.
2016/12/10 20:18

47_info : 정보구조 (information structure)

1) 정보구조와 어순, 위치

  • 아창어에서 화제는 문두에 출현한다.
  • 아창어에서 화제는 행위자, 피행위자, 시간, 장소 등이 담당한다.
시간 명사가 화제를 담당한 경우
acha1249 shijian2009:259
A31kAN31lA33nAN33z\a?31tshAu33k@u33~31liE31?
justTOP2SGgetswearPTCLQ
방금 너 욕먹었니?
장소 명사가 화제를 담당한 경우
acha1249 shijian2009:264
mjE~51tiE~35lA33k@33t@33t@31
MyanmarTOPwhereEXIT
미얀마는 어디에 있어?

2) 아창어에서 화제가 될 수 있는 성분

  • 화제가 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명사 외에도 대명사(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의문 대명사), 명사화된 성분(형용사가 명사화 된 것, 동사가 명사화 된 것), 명사구(수량구, 지시대사+수량구, 수식어+피수식어구, 주술구가 명사화된 구) 등이 있다.

3)화제와 주어 사이의 의미 관계

(1) 소유와 피소유 관계
acha1249 shijian2009:262
NA33khM33tsMk55k@u33
1SGfootnumbPTCL
나는 발이 저리다.
(2) 전체와 부분 관계
acha1249 shijian2009:262
mA33tA?55ko31suN31luN33,sɿ55luN33n31m_0jin31~35
peachthreeCLtwoCLNEGget.ripe
복숭아 세 개 중에 두 개가 익지 않았다.
(3) 부류(class)와 구성원(member)관계
acha1249 shijian2009:262
tAi33lA33,ts\hin33tsAi33k@n33s`u?31k@33Ei?55
alcoholTOPrice.alcoholmoredeliciousPTCL
술은 미주가 더 맛있다.

4) 주어 현저성 대 화제 현저성

아창어에는 다양한 화제표지와 화제구문이 쓰이고 있으므로 화제도 주어 못지않게 현저한 언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5) 정보역할 관련 표지: 화제

  • 아창어의 화제표지는 lɑ33, kun33과 한어에서 차용된 ʂi31, 일부 겸용 화제표지가 있다.
  • 아창어의 주어표지는 영형식이고 목적어표지는 tə33, 한정어표지는 ɛiˀ5/kɑ33, 부사어표지는 주로 tə33, tsa33, khɯ31, 보어표지는 kɑ33이다.
  • 화제표지와 기타 문장성분 표지가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화제는 유표지 화제와 무표지 화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유표지 화제
  • 유표지화제는 화제에만 사용되는 표지인 lɑ33, kun33, ʂi31(是)를 사용하는 단독표지 화제와 어기조사가 화제를 표지하는 데에도 쓰이는 겸용표지 화제로 나누어볼 수 있다.
단독표지 화제
lɑ33
  • lɑ33는 아창어 고유 표지로 사용빈도 높고 사용범위도 넓다.
acha1249 shijian2009:269
No31tuN33suN31z\u?31lA33lA?31tuat55
1PLthreeCLTOPteacher
우리 세 사람은 선생님이다.
kun33

- kun33은 아창어 고유의 표지, 주로 동사술어문에 사용된다.

acha1249 shijian2009:270
nAN33kun33khA55su31mji31tu31liE~33n31s`u?55?
2SGTOPhowevencigaretteNEGsmoke
너는 어떻게 담배도 안 피우니?
ʂii31

- ʂii31는 중국어 차용어로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lɑ33와 공기가능하다.

acha1249 shijian2009:270
xAi55~33z\AN33~55lA33s`ɿ31z\i31kA~33s`u33Ei?55tuN31tS\hE~33
thisDEFTOPTOPeverybodyPTCLPOSmoney
이것은 모두의 돈이다.
겸용표지 화제:
  • 주로 ɛiˀ55(呀),ɑˀ55~31(啊),ʑaˀ55(呀),nɛi35(呢),po31(吧) 등의 어기조사가 겸용표지 화제로 쓰인다.
  • 모두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문법화 정도가 달라서 일부는 일정한 어기를 겸유하기도 한다.
진술하는 어기를 가지는 어기조사 화제:
acha1249 shijian2009:272
NA33nEi35,tS\u55xAi55thA?55t@33nAi33nA33
1SGPTCLjusthereLOCsitPROG
나는 말이지, 바로 여기에 앉아 있겠다.
권고하는 어기를 가지는 어기조사 화제:
acha1249 shijian2009:272
n\i31tuN33A?55,xA~31s`ɿ33so31nA33kA33~55lA?31Ei?55
2PLPTCLalsowalkPROGCONJgoPTCL
너희는 말이야, 걸어서 가라.
원망하는 어기를 가지는 어기조사 화제:
acha1249 shijian2009:272
nAN33nEi35,tS\u55kAi33tS\hE~33s`aN31t@33kAi33tS\i?31~55A?55!
2SGPTCLas.soonmustin.advance3SGOBJtellgivePTCL
너는 말이지, 먼저 그에게 말해줬어야 한다.
(2)무표지 화제:
  • 무표지 화제는 화제에 표지가 없는 경우이다.
  • 중국어의 화제는 표지 없이 주로 어순으로 표현되는데,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아창어의 화제표지가 탈락되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261
pjA31s`A31No31tuN33i33lAu55tS\A31Ei?55
pupa1PLofteneatPTCL
번데기는 우리가 자주 먹는다.
acha1249 shijian2009:273
A31mA~31Ei?55tsu33liAN55NA33ts`Au31x@u33~35
yesterdayPOSmovie1SGseePTCL
어제의 영화는 내가 보았다.
2016/02/21 21:45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2016/01/30 09:08

tame_aspect : 상 (aspect)

아창어는 시상 복합체계를 가지고 있다.

(1) 기동상(inceptive/inchoative)

문말에 기동태 조사 əu33(변이음: kəu33, xəu33, nəu33)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99
ʂɑŋ33kho33kəu33~31!
classINCH
수업 시작합니다!

(2) 미래상(prospective)

문말에 미래상 조사 ɛiˀ55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99
thuŋ55kə33tə33tə31thəŋ33ɛiˀ55?
containerwhereLOCputFP
통 어디에 둘 거야?

정반의문문에서 ɛiˀ55는 첫 번째 동사 뒤에 위치한다.

acha1249 shijian2009:99
thuŋ55phɛn31thɑˀ31tə33thəŋ33ɛiˀ55n31thəŋ33~35?
containertableaboveLOCputPTCLNEGput
통을 책상 위에 놓을 거니 안 놓을 거니?

(3) 진행상(progressive)

핵심 서술어 뒤에 조사 nɑ33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nɑ33는 어기조사 ɛiˀ55와 결합하여 nɛiˀ55가 되는 경우가 많다.

acha1249 shijian2009:99
tɕɑˀ31phɑ31tɑ31to33~35tun33nɛiˀ55.
roosteroneCLcrowPROG
수탉 한 마리가 울고 있다.

(4) 완망상(perfective)

핵심 서술어 뒤나 문말에 완망상 조사 əu31 사용한다. əu31는 앞 음절의 영향을 받아 kəu33, xəu33, nəu33 로 변독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에서 xəu33는 뒤의 어기조사 ɛiˀ55 와 결합하여 xɛiˀ55가 되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100
ŋɑi35nuŋ33sɑi33khɑ55~33nɑi33pə31tɕin33lɑˀ33xəu33.
mycousintocayBeiJinggoPFV
나의 사촌 오빠는 오늘 북경에 갔다.

(5) 경험상(experiential)

문말에 경험상 조사 wɑ33를 사용한다. wɑ33는 əu33 혹은 기타 변독 형식 kəu33와 공기하는 경우가 많다.

acha1249 shijian2009:101
ʂɑŋ31xəu55tɕhi33pə31tɕin33lɑˀ31wɑ33kəu33~31.
3SGbeforeBeiJinggoEXPPFV
그는 이전에 북경에 간 적이 있다.

(6) 임박상(instant prospective)

서술어 핵심 뒤에 임박상 조사 n̥əŋ55를 사용하고, kəu33와 공기하는 경우가 많다.

acha1249 shijian2009:101
tɕɑ33tʂɑˀ55n̥əŋ55kəu33.
riceripenIMMPFV
밥이 익으려 한다.

(7) 변화상(change of state)

핵심 서술어 뒤에 변화상 조사 khɑu31를 추가한다.. khɑu31는 방위명사 khɑu31'안'에서 왔다. 방위명사에서 시간명사 khɑu33“때”를 거쳐 변화상 조사로 문법화되었다.

acha1249 shijian2009:102
ʂɑŋ31ɕɛ31lɑ33khɑu31~33uŋ33tə33nɑi33kuɑ33kəu33.
3SGknowcomeCHAheartLOCpainfulPFV
그는 알게 된 후 마음이 좋지 않았다.
2016/01/30 09:08

tame_evid : 증거성 (evidentiality)

아창어에는 증거성(evidentials)을 나타내는 조사 tɕɛʔ31 가 있으며, 문말에 쓰여 말하는 사건이 '전언'에 의한 것임을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149
s\AN31kAi33s\AN31tc\A31x@u33~35ts\E?31
hesayheeatPFVPTCL
듣건대 그는 먹었다.
2016/02/21 21:45

tame_mir : 의외성 (mirativity)

2016/02/22 22:58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아창어의 양태의미는 조동사와 어기부사로 나타낸다. 조동사는 능력(capability), 바람(willingness), 가능성(possibility)등의 의미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동사의 앞에 쓰이며, 간혹 뒤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

(1) 양태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의 종류

① tɑŋ33/tɕɑŋ33/tɑ33 : ~할 수 있다. (능력을 나타냄), 能/会
② uŋ33 : 감히~하다. 敢
③ khuiʔ55/ʑin33kɑi33 : 반드시~해야 하다.(의무를 나타냄), 应该
  • khuiʔ55는 고유의 것이며, 문말에 쓰이고, ʑin33kɑi33는 한어차용이며 동사의 앞에 쓰인다.
④ lɑu : ~하고 싶다. (바람을 나타냄), 想
  • 동사중심어의 뒤에 놓이며, 종종 어기조사 ɛiʔ55와 함께 쓰인다.
⑤ kɑu33kɑ31 : ~하기 원하다(바람), 愿意
⑥ tɕhɛ̃33 : ~하기 원하지 않다. 不愿
⑦ kɑ31/ʑɑu33 : ~하기 원하다, 해야 한다, ~하려 하다. 要
  • 주로 naʔ31(많다), nɯŋ31(적다), ɑŋ31(이르다), mja31(늦다), ʂɾ33(빠르다), mɑ̃33(느리다)등의 어휘와 공기하여 쓰인다.
⑧ kho51nəŋ31 : 아마도~일 것이다. 한어에서 차용된 것이며, 동사 중심어의 뒤에 쓰인다.

(2) 양태의미를 나타내는 부사의 종류

① ɑ31kɯŋ33/ʑ31tin35 "꼭, 반드시"
acha1249 shijian2009:137
NA33li@33z\i31tin35lA?31@i?55
IalsocertainlygoPTCL
나도 꼭 간다. (我也一定去。)
② tɑu35ti51 "도대체"
acha1249 shijian2009:137
nAN33tAu35ti51c\@31@i?55n31c\@31~35?
youeverknowPTCLNEGknow
넌 도대체 아니 모르니? (你到底知道不知道?)
③ ko51ʑɑ̃31 "과연"
acha1249 shijian2009:137
s\AN31ko51z\A~31lA?55k@u33
heSureenoughcomePTCL
그는 과연 왔다. (他果然来了。)
④ tʂɩ33xɑu51 "-ㄹ 수밖에"
acha1249 shijian2009:137
No31tuN33ts\ɿ33xAu51z\in33t@33lA?31xEi?55
weinevitablehomeOBJgoPTCL
우리는 집에 갈 수밖에 없었다. (我们只好回家了。)
2016/02/21 21:45

tame_tense : 시제 (tense)

  • 절대시제
  • 상대시제
2016/02/21 21:45

51_neg : 부정 (negation)

  • 아창어는 부정부사(否定副词)를 부가하여 부정을 나타낸다.
  • 일반적인 부정은 부정부사 ‘n31/m31’를 동사나 형용사의 앞에 부가하여 나타내고, 강한 금지는 ta31를 동사 앞에 부가하여 나타낸다. ta31는 형용사 앞에 쓰일 수 없다.
n31/m31 “안/못”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한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
  • 보통은 부정소가 구 전체에 걸쳐 약한 부정(부분 부정)을 나타내고, 강한 부정(전체 부정)은 한어에서 차용한 정도부사나 범위부사를 쓴다.
acha1249 shijian2009:134
thuŋ33n31lɑʔ31~35
allNEGgo
다 가는 것은 아니다. (고유어 부사) 不都去
acha1249 shijian2009:135
tu33n31kə33~35
allNEGgo
다 안 간다. (한어 차용 부사) 都不去
이중부정
  • 부정소를 두 번 써서 긍정 의미를 강조한다.
acha1249 shijian2009:135
NA33n31s\E31~35n31n_jE?55
INEGknowNEGbe
나는 모르는 것이 아니다. (我不是不知道。)
일부 동사와 공기할 때 연음을 하면서 음(형식)은 사라지고 여러 가지 성조로 부정을 나타냄.
acha1249 shijian2009:136
uN33KAi33Ei?55
darespeakPTCL
말할 수 있다. (말을 잘 한다. 能说)
acha1249 shijian2009:136
uN33~35kAi33
cannotspeak
말할 수 없다. (不能说)
'm31+동사+ɛiʔ55'로 긍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136
m31~33khut31~55m31~33khut31Ei?55
NEGdoNEGdoPTCL
안하다. (不做) 하다 (能做)
  • 통시적으로 'm31'이 먼저 있었고, 'n31'이 나중에 'm31'으로부터 발달한 형태이다.
ta31 “~지 마라”,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 쓰일 수 없다.
acha1249 shijian2009:135
nAN33tA31lA?31~35xA?55!
youNEGgoPTCL
넌 가지 마라! (你别去啊!)
2016/01/30 09:08

52_poss : 소유 (possession)

2016/02/21 21:45

poss_adnom : 관형 소유 구성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adnominal possession)

아창어는 관형격 조사 ɛiʔ55/kɑ33 를 관형어의 뒤에 사용하여 관형 소유 구성을 나타낸다.

1) 관형격 조사 ɛiʔ55 를 사용한 경우

acha1249 shijian2009:143
nAN33A31phu33Ei?55mji31sAu31tA31l_0iA?55z\u33lA?55
2SGwhiteGENpaperoneCL(piece)takecome
너 흰 종이 한 장 가지고 와라. (你拿张白纸来。)

2) 관형격 조사 kɑ33 를 사용한 경우

acha1249 shijian2009:143
xɑi55~33tʂu33~55lɑ33ʂuʔ31kɑ33~35tsəŋ33
thisDEFTOPdrinkGENthing
이것은 마시는 것이다. (这是喝的东西。)
2016/01/30 09:08

poss_pred : 술어 소유 구성 (predicative possessive construction, predicative possession)

아창어에서는 소유를 나타내는 동사 pA33(가지고 있다)가 있다. pA33를 사용하여 소유를 나타낸 예는 다음과 같다.

acha1249 shijian2009:0
NA33A31sAi35tiu?31pA33nEi?55,ts\E33m31pA33~35xA?55
1SGbrotheronehaveDURsisterNEGhavePAR
나는 형이 한 명 있고, 누나는 없다.
2016/01/30 09:08

53_comp : 비교 (comparison)

차등비교구문

차등비교 표지로 pji33, khɯ33mɑˀ3, tə33, pɑ33을 사용한다. pji33, pɑ33는 한어 차용 표지이고, tə33, khɯ33mɑˀ3은 아창어 고유 표지이다. khɯ33mɑˀ3은 '~과 같다', pɑ33는 '있다(소유)',tə33는 '있다(존재)'에서 문법화 되었다. khɯ33mɑˀ3와 tə33의 문법화 정도가 높고 pɑ33는 아직 어휘적 의미가 남아 있어 tə33와 공기할 수 있다.

(1) 차등비교구문의 구조

1) 주체+표지+기준+결과
acha1249 shijian2009:251
tʂɯŋ31xəu33to33pji33xɑi55to33m̥jɑŋ33ɛiˀ55.
mountainthatCLCOMthisCOMhighFP
저 산이 이 산보다 높다.
2) 주체+기준+표지+결과
acha1249 shijian2009:251
ʂɑŋ31xɑi55tɕhi33xəu55tɕhi33khɯ33mɑˀ31pjɑu35ɛiˀ55.
3SGnowbeforeCOMfatFP
그는 지금 이전보다 뚱뚱하다.
3)주체+기준+결과+표지
acha1249 shijian2009:252
ʂɑŋ31ŋɑ33tə33m̥jɑŋ33~35pɑ33ɛiˀ55~31.
3SG2SGOBJtallCOMFP
그는 나만큼 (키가) 크다.

(2) 차등 비교문 표지의 중복

1) pji33와 khɯ33mɑˀ3 공기
acha1249 shijian2009:254
tʂɯŋ31xəu33to33pji33xɑi55to33khɯ33mɑˀ3m̥jɑŋ33ɛiˀ55.
mountainthatCLCOMthisCLCOMhighFP
저 산이 이 산보다 높다.
2) pji33와 tə33 공기
acha1249 shijian2009:254
tʂɯŋ31xəu33to33pji33xɑi55to33tə33m̥jɑŋ33ɛiˀ55.
mountainthatCLCOMthisCLCOMhighFP
저 산이 이 산보다 높다.
3) tə33와 khɯ33mɑˀ3 공기
acha1249 shijian2009:254
khɑ55~33nɑi33ɑ31mɑ̃31tə33khɯ33mɑˀ31kuɑi33ɛiˀ55.
todayyesterdayCOMCOMhotFP
오늘은 어제보다 덥다.

부정문은 술어 앞에 부정소 m31이나 n31을 추가한다.

acha1249 shijian2009:254
khɑ55~33nɑi33ɑ31mɑ̃31tə33khɯ33mɑˀ31n31kuɑi33ɛiˀ55.
todayyesterdayCOMCOMNEGhotFP
오늘은 어제보다 덥지 않다.

동등비교구문

동등비교구문 표지로 m̥ɑˀ55…tɑ31tɕhɛ33, m̥ɑˀ55…tɑ31ʑɑŋ33, tɑˀ31…ʑi31ʑɑŋ33'~과 같다'를 사용한다.

동등비교구문은 아래 두 가지 구조가 있다.

1) 주체+표지1+기준+표지2+결과
acha1249 shijian2009:256
nAN33m_0A?55NAi35nAN33tA31ts\hE33mjAN33E?55
2SGandmyyounger.sistertogethertallFP
너는 내 여동생과 똑같이 (키가) 크다.
2) 주체+기준+표지1+표지2+결과
acha1249 shijian2009:256
nAN33NAi35nAN33m_0A?55tA31ts\hE33mjAN33E?55
2SGmyyounger.sisterandtogethertallFP
너는 내 여동생과 똑같이 (키가) 크다.

부정문은 술어 앞에 부정소 m31이나 n31을 추가한다.

acha1249 shijian2009:258
ʂɑŋ31m̥ɑˀ55ŋɑ33tɑ31ʑɑŋ33m31m̥jɑŋ33.
3SGand1SGsameNEGtall
그녀는 나와 (키크기가) 같지 않다.
2016/01/30 09:08

62_subr : 내포 (embedding, subordination)

2016/02/22 22:58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1) 시간절

  • 시간명사는 주어의 뒤 술어의 앞에 위치하며, 선택성 부사어조사 t@33 를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224
ŋo31tuŋ33nɑi31tə33lɑ?31ɛi?55
wedayLOCgoPTCL
우리는 낮에 간다. (我们白天去。)
  • 시간명사를 문두에 옮겨 사용할 경우, 부사어표지는 영형식을 취한다.

(2) 조건절

  • tɕu55“…면(就)”, ʑɛ33“도(也)”, tshɑi31“오직 …해야만(才)”, thuŋ33“다(都)“는 주로 가정, 조건 구문의 뒷 절에 쓰인다.
acha1249 shijian2009:0
nɑŋ33ɑŋ31tə33tsuɑi55lɑ?31,ŋɑ33ʑɛ33tsuɑi55lɑ?31ɛi?55
youvegetableOBJcutgoIalsocutgoPTCL
네가 채소를 썰면 나도 썬다.
2016/01/30 09:08

subr_nmlz : 명사화 (nominalization) / 명사절 (nominalized clause)

아창어에서 용언성 성분(형용사, 동사)이 주어가 되려면 먼저 명사화 과정을 거치는데, 형용사의 명사화는 단음절 형용사의 명사화와 쌍음절 형용사의 명사화의 두 가지가 있다.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단음절 형용사의 명사화

a. 접두사 ɑ31을 부가하는 경우.
  • A31phu33 하양
b. 소유격 조사 Ei?55 /kA33 를 부가하는 경우.
  • p_hu33Ei?55 하양

소유격 조사 Ei?55/kA33와는 다르게 접두사 ɑ31를 부가하는 경우는 형용사의 특징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첫째, 이 구조는 여전히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acha1249 shijian2009:91
A31p_hu33kAN31
whitevery
매우 희다.
둘째, 이 구조는 명사 중심어 뒤에서 관형어를 담당할 수 있는데 관형어 표지는 영형식을 취한다.
acha1249 shijian2009:91
u31lu31A31p_hu33
fogwhite
흰 안개
셋째, 이 구조는 중첩을 통해서 정도의 심화를 나타낼 수 있다. 중첩형식은 주로 ABB식과 ABAB식이 있다.
  • ABB식 (예: A31p_hAu31p_hAu31)
  • ABAB식 (예: A31p_hAu31A31p_hAu31)

(2) 쌍음절 형용사의 명사화 : 뒤에 조사 [Ei?55/kA] 를 부가하여 만듦.

liAN33 pA33 kA33 아름다움.

(3) 아창어의 동사의 명사화

1) 동사 명사화의 주요수단은 동사와 동사구의 뒤에 [Ei?55/kA33]를 부가

ts\A31 먹다 → ts\A31 Ei?35 먹을 것

2) 접두사 [A31]를 부가하는 것은 부차적인 명사화 수단

pAi31 뛰다 → A31 pAi31 뛰는 것

2016/01/30 09:08

subr_quot : 인용절 (quotative clause)

  • 직접인용
  • 간접인용
  • 기타
2016/01/30 09:08

subr_rel : 관계화 (relativization) / 관계절 (relative clause)

  • 아창어에서 핵명사 앞에 쓰이는 관계절(pro-head relative clause) 표시는 조사 xɑ33 으로 나타낸다.
  • 관계절은 명사 앞에 쓰일 수도 있고, 뒤에 쓰일 수도 있다.
  • 명사 앞에 쓰일 경우 ɛiʔ55/kɑ33를 써야할 뿐만 아니라 절의 주어 뒤에 전치했다는 표지 xɑ33를 붙여야 한다.
acha1249 shijian2009:0
nAN33xA33kAi33Ei?55ts`Au33p_jE~31nEi?55
youPREHspeakPTCL(的)wordrightPTCL(着)
너가 한 말이 맞다. (你说的话很对。)
  • 구세대는 xɑ33의 쓰임이 필수이지만, 신세대에서는 자유롭게 생략한다.
2016/01/30 09:08

63_svc : 연동 구문 (serial verb construction)

연동구문의 분류

(1) 병렬관계를 나타내는 연동구
  • 두 개의 동작관계는 평등이며 서로 의미함축의 관계는 없다.
  • 두 개의 연속성의 선후동작을 나타냄. 두 개의 동작은 긴밀하며, 일반적으로 관련사를 사용하지 않음.
acha1249 shijian2009:199
p_ji?31ts\A31
finisheat
다 먹다. (吃完)
  • 두 개의 동작은 느슨한 관계이며, 대부분 연접관계의 접속사 kun33/kA33를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199
ts\A33ts\A31kun33tho?55lA?31
foodeatCONgetoutgo
밥을 먹고 나서 나갔다. (吃了饭出去)
  • 두 개 동작의 동시 발생 혹은 진행을 나타냄. : “(一)边……(一)边……” 접속사 xɑŋ33……xɑŋ33……/ʑi31pjɛ̃33……ʑi31pjɛ̃33……/pjɛ̃33……pjɛ̃33……를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199
zAN33ts\A33ts\A31xAN33tsAi33s\u?31Ei?55
onesidefoodeatonesidealcoholdrinkPRA
밥을 먹으면서 술을 마신다. (一边吃饭一边喝酒)
(2) 보충관계를 나타내는 연동구
  • 앞뒤의 두 개의 동작이 나타내는 것은 원인과 결과의 관계이다.
  • 관련을 나타내는 어휘 z\E31p_hA33……z\E31p_hA33…… / z\E31…… z\E31 를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200
z\E31p_hA33tsAN33z\E31p_hA33m_jAN33Ei?55
moreflymorehighPTCL
날면 날수록 높아지다. (越飞越高)
2016/02/21 21:45

64_control : 통제 구문 (control construction)

  • 중국어학에서 겸어문
  • 예) I want him to go.
  • 예) 나는 접시를 깨끗하게 닦았다.
2016/02/22 22:58

71_semantics : 의미(semantics)

2016/01/30 09:08
2016/01/30 09:08

81_voca : 어휘 체계 (lexis, lexicon, vocabulary)

  • 량허 아창어의 어휘체계는 단순사와 합성사 두 종류로 나뉜다.
  • 단순사의 수는 비교적 적고, 합성어가 많다.
2016/01/30 09:08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2016/01/30 09:08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아창어 阿昌语의 단어 합성법에는 병렬식, 수식식, 주술식, 동목식, 부가식(附注式)과 다층식의 6가지 종류가 있다.

(1)병렬식

  • 병렬식 합성사에는 2음절과 다음절(4음절)이 있으며, 형태소의 구성은 명사+명사, 형용사+형용사, 동사+동사가 있다.
  • 병렬식 합성사의 의미 관계는 관련어의 복합과 반의 복합이 있다.
acha1249 shijian2009:0
2음절
ku³¹ʨin³³
foodstuffs

(2)수식식

  • 수식 합성사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태소는 주로 명사, 형용사와 동사가 있다.
  • 명사형태소가 명사형태소를 수식 할 때 수식성을 가지고 있는 형태소는 중심 형태소 앞에 온다.
  • 형용사 형태소가 명사 형태소를 수식할때, 수식성을 가지고 있는 형태소는 중심 형태소의 뒤에 온다.
  • 동사 형태소가 명사 형태소를 수식살 때 수식성을 가지고 있는 동사가 앞에 오고 명사가 뒤에 온다.
  • 명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명사형태소+ 형용사형태소=명사, 동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acha1249 shijian2009:0
tʂuŋ³¹lɑŋ³¹
NN
산골짜기
acha1249 shijian2009:0
ʦu³³mɑŋ³⁵
NN
노인
Languages
təʰ³³ʦa³³~³⁵
VN
아이를 맞이하다

(3)주술식

  • 주술식 합성사의 경우 명사 형태소가 앞에 위치하고, 동사 형태소가 뒤에 위치한다.
acha1249 shijian2009:0
puŋ³¹so³¹
NV
산 귀신

(4) 동목식

  • 동목(동사목적어)식 합성사는 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 뒤에 ɛiˀ 가 붙는 것은 “的”의 의미이다.
acha1249 shijian2009:0
mu³¹kͪut³¹ɛiˀ⁵⁵
livework
농민

(5)부가식

  • 부가식 합성사는 명사 형태소, 혹은 동사 형태소에서 양사 형태소를 따로 구별한 조합이다.
  • 양사 형태소는 명사형태서 혹은 동사형태소의 부가 작용을 한다.
acha1249 shijian2009:0
ʂɯŋ³¹pɑŋ³³~³¹
NNUM
나무
acha1249 shijian2009:0
mʲi³¹paˀ⁵⁵ku³³
VNUM
불끄기

(6)다층식

  • 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앞의 명사, 동사는 동목구조, 이것이 마지막 명사를 수식)
acha1249 shijian2009:0
ʨɑ³³ʨɑ³¹~⁵⁵ʑɑˀ³¹
NVN
식당
  • 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형태소=명사 (앞의 명사, 동사는 주술구조, 이것이 함께 뒤의 명사를 수식)
acha1249 shijian2009:0
pɛi³³toʰ³¹~⁵⁵ʑɑ³¹
NVN
동쪽
  • 명사형태소+명사형태소+동사형태소=명사 (앞의 명사와 뒤의 동목구조인 명사, 동사가 주술관계)
2016/01/30 09:08

wform_deriv : 파생 (derivation)

접두사

ɑ³¹
  • 주로 친족관계의 명칭, 식물, 방향, 시간 등 의미의 명사 혹은 명사형태소 앞에 붙어 2음절 명사나 다음절 명사를 구성한다.
acha1249 shijian2009:43
  • A31m@t31 뿌리
  • 이외에도 ɑ³¹-는 보통명사 앞에 붙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43
  • A31p_hAu35 가격
  • ɑ³¹- 은 형용사 앞에 붙어 명사를 이루기도 하며, 동사 앞에 붙어 명사를 이루기도 한다.
acha1249 shijian2009:43
  • A31 ts`_hAu33: 설탕
  • 동사 앞에 붙어 명사를 이루는 경우
acha1249 shijian2009:43
  • A31 tAu33: 뒤집어진 것



acha1249 shijian2009:43
  • A31kM31 A31N@33 크기
  • “头”의 의미이다.
acha1249 shijian2009:43
  • u31 p_hEi31 머리카락
  • 천문지리(天文地理)를 나타내며,
  • 성씨(氏)등 명사 혹은 명사 형태소 앞에서 2음절, 다음절명사를 구성한다.
acha1249 shijian2009:43
  • lA?31 z\AN31 바다
  • lA?31 z\AN31uN33 호수
  • lA?31mAu31~33 (양 姓)
  • “哪,多么”(어느, 얼마나)의 의미로 의문의 뜻을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43
  • k_hA55 nAi31 어느 날
  • 阿昌语의 대다수 접미사들은 완전히 허사화되지 않아, 그 의미가 반은 실사, 반은 허사의 상태에 놓여있다.
  • -mɑ³³ : 명사 형태소 혹은 명사 뒤에 붙어 “크다” 혹은 “앞 순서에 있음”을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43
  • A31sAi35 mA33 큰 형
  • -tsa³³ : 명사 혹은 명사형태소 뒤에 붙어 “작음”을 나타낸다.
acha1249 shijian2009:43
  • k_hui31 tsa33~35 강아지
  • -lɑ³¹ : 수컷의 성질을 나타낸다. 주로 동물의 암/수 구별에 쓰인다.
  • -mɑ³¹ : 암컷의 성질을 나타낸다.
  • -phɑu³¹ : 남성 연장자를 나타낸다.
  • -phɑ³¹ : 남성성을 나타낸다.
  • -tsəŋ³³ : 암컷의 성질을 나타낸다.
  • -ʑa³¹ : 여성 연장자를 나타낸다.


2016/01/30 09:08

wform_redup : 중첩(reduplication)

명사중첩

단순식 중첩

acha1249 shijian2009:43
nɑi³³nɑi³³
dayday
날마다

복합식 중첩

  • ku³³/tɑ³¹ + 명사
acha1249 shijian2009:43
ku³³nɑi³³nɑi³³
everydayday
매일
  • tɑ³¹ + 명사 + tɑ³¹ +명사
acha1249 shijian2009:43
tɑ³¹nɑi³³tɑ³¹nɑi³³
adayaday
하루 하루

양사, 의문대사, 형용사 중첩

양사중첩

  • 아창어의 양사는 직접 중첩을 하지는 않으나, 부사 ku33(每) 또는 일부수사와 중첩한 후 중첩식을 만들 수 있다.
  • ku33와 결합하여 중첩식 ‘ku33+C(양사)+C(양사)’가 되며 每의 의미가 된다.
  • 수사 ta31(一)와 결합하여 중첩식 ‘ta31+C+C’의 중첩식이 되며, 수량이 많음을 나타낸다.
  • 수사 ‘ta31(一)’, ‘ʂɿ55(二)’와 결합하여 중첩식 ‘수사+C+수사+C’를 만들 수 있으며, 주로 행동방식을 나타낸다.

의문대사 중첩

  • 쌍음절 의문대사를 중첩하는 경우 단어 전체를 중첩할 수도 있고 뒤의 한 음절만 중첩할 수도 있다.
  • 의문대사 중첩식은 더 이상 의문을 나타내지 않고 “모든”, “많은”, “매”의 의미이다.

형용사 중첩

  • 대부분의 형용사가 중첩식을 만들 수 있으며, 성질과 상태의 정도가 강해짐을 나타낸다.
  • 그 형태로는 AA식, AAB식, ABAB식, AABB식(중국어에서 차용한 경우가 많음.)의 4가지 형식이 있다.
  • 아창어의 형용사 중첩식은 대부분 동사를 수식할 수 있다. 형용사중첩식은 앞에 동사중심어는 뒤에 놓인다. 비강제성 공기 부사어표지 tsa31(地)를 사용한다.
acha1249 shijian2009:43
tshuA~33tshuA~33tsa31pAi31
quicklyquicklyADVrun
빨리 뛰다.
2016/01/30 09:08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량허(梁河) 아창어는 중국어, 다이어, 징포어(景颇语), 버마어의 차용어가 존재한다.

중국어 차용어

중국어 차용어는 대략 1748개의 어휘에 이르며, 량허 아창어의 전체 어휘중 약 52%이상을 차지한다.

acha1249 shijian2009:43
  • lu³³ʂui⁵⁵ :이슬
  • xu³¹li³³: 여우
  • ko³³: 형, 오빠
  • tin³³ʦɿ⁵⁵: 못
  • fu³¹ :불교
  • ʂɿ³⁵ʑɿ³¹ : 11

다이어(傣语) 차용어

다이어(傣语) 는 윈난성 소수민족인 다이족(傣族)의 언어로 량허(梁河)아창족의 거주지역과 거리가 밀접하여 다이어의 어휘가 다량 아창어로 차용되었다. 그러나 신중국 설립 후, 중국어 차용어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 수가 많이 줄었다.

acha1249 shijian2009:45
  • kʰɯ³³tin³³ :신발
  • t̥ʰo³³l̥in⁵⁵:땅콩
  • mə³¹ kʰə³³ :가지
  • ɑ³¹to³⁵ : 신체

징포어 차용어

acha1249 shijian2009:46
  • pʰɑ³¹lɑŋ³³:나비

버마어 차용어

acha1249 shijian2009:46
  • mu³¹sɑu³¹pən³³: 책
2016/01/30 09:08

A1_text : 텍스트 (text)

너무 신경쓰지 말것. 주석이 잘 달린 긴 텍스트가 존재한다면 가공하여 정리할 수 있음.

2016/01/30 09:08

B_biblio : 참고문헌 (reference, bibliography)

2016/01/30 09:08
doc/achang/achang.148137503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12/10 22:03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