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어족,티베트 버마어파 (Tibeto-Burman Group), 버마어에 속하는 아창족(阿昌族)의 독립언어이다.
문자는 따로 없다. 중국어와 같은 한자를 사용한다.
bilabial | plosive | p pʲ pͪ pͪʲ |
bilabial | nasal | m mʲ m̥ m̥ʲ |
labiodental | fricative | f |
alveolar | plosive | t tͪ |
alveolar | nasal | n n̥ |
alveolar | fricative | s |
alveolar | lateral approximant | l l̥ |
palatal | approximant | j |
velar | plosive | k kʰ |
velar | nasal | ŋ ŋ̥ |
velar | fricative | x |
velar | approximant | w |
retroflex | fricative | ʂ ʐ |
dental | plosive fricative | ʦ ʦʰ |
retroflex | plosive fricative | tʂ tʂʰ |
posts alveolar | plosive fricative | ʨ ʨ ͪ |
post alveolar | fricative | ɕ ʑ |
palatal | nasal | ɲ ɲ̥ |
량허 아창어에서는 총 11개의 단모음, 2개의 비음 모음이 쓰인다.
고저 | 전후 | 원순 | 음소 |
high | front | unrounded | i |
central | mid | rounded | ə |
high | back | unrounded | ɯ |
high | back | unrounded | u |
high mid | front | unrounded | e |
high mid | back | rounded | o |
low mid | front | unrounded | ɛ ɛ͠ |
low mid | back | unrounded | ʌ |
low | front | unrounded | a |
low | back | unrounded | ɑ ɑ͠ |
ɿ |
량허(梁河) 아창어에는 5가지 성조가 있다. (중수평조(33), 낮내림조(31), 높수평조(55),높오름조(35), 내림조(51) )
이 중 높수평조(55), 중수평조(33), 낮내림조(31) 3가지 성조가 기본 성조이고, 높오름조(35)와 내림조(51)은 변조나 중국어 가차에서 나타난다.
량허(梁河)아창어의 음절구조는 총 9개 이다.
보통 앞 음절 모음에 음절말 자음을 추가한다.
음절이 서로 연결될 때, 앞 음절은 약화될 수 있다. 약화된 음절은 비교적 짧고, 약하게 읽힌다.
그 음가는 단모음, 복모음을 막론하고 운미를 수반하는 모음은 모두 슈와(ə) 로 변하고뒤에 약한 후색음을 수반한다.
약화는 복합어에서도 나타난다.
몇몇 어휘들은 음절합병이 일어나기도 한다.
두 개의 음절이 연이어 발음될 때 동화 현상이 일어난다.
- n³¹ khut³¹~⁵⁵ not make 않다 만들다
ɑ31phɑ31 아버지 ɑ31ȵit31 어머니
ɑ31n̥ɑŋ33 여동생 ɑ31nuŋ31 남동생
mə31 손자, 손녀
3개의 논항과 관련이 있으며, 이중타동사는 그 종류가 한정적인 부류로 수량에 한계가 있다. 다음과 같다.
xAi55~33 | ts`u33~55 | m@31ts`h@n33 | tS\31k@33 | Ei?55 |
this | type | bamaoo.shoot | delicious | PTCL |
감탄사는 주로 감탄 또는 감탄의 일부로 사용되는 단어이다. 전형적으로 감정적인 반응을 표현하며 통사적으로 다른 동반 표현과 관계를 맺지 않는다. 해당 언어에 발견되지 않는 음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 영어의 psst, ugh, excellent, well
참고: http://www-01.sil.org/linguistics/GlossaryOfLinguisticTerms/WhatIsAnInterjection.htm
N\a?31의 예:
lAi31wAN33의 예:
tso33Zu35의 예:
S\E33의 예:
tsɯŋ31 | xəu55ȵaˀ31 | lɑ33 | ɑ31mjin33 | m31 | pɑ33~35. |
mount | those | TOP | name | NEG | have |
xɑi55pjɑˀ31 | lɑˀ33 | ŋu31, | xəu55pjɑˀ31 | lɑ33 | nuŋ31, | xəu55pjɑˀ31 | lɑˀ33 | ʂuŋ31. |
here | TOP | my.house | there | TOP | your.house | there | TOP | her.house? |
xəu55pjɑˀ31pjɑˀ31 | lɑ33 | tɕu55 | ʂi31 | lɑu51~33tɕɛ~33sɑ̃33. |
over.therethere | TOP | exactly | BE | LaoJianShan |
nɑŋ33 | khɑ55nɑi33~31 | lɑˀ55 | kɑ33 | thuŋ33 | uŋ33 | ɛiˀ55. |
you | which.day | come | CON | all | ok | FP |
khiɑŋ33 | tsəŋ33 | kɑŋ33tsɑi31 | ʑi31 | xɑ33 | mɯŋ55 | nəu33. |
what | thing | just.now | one | CL | make.sound | PFV |
ŋɑ33 | xɑi55tɕhi33 | kə33tə33 | ʑɛ33 | n31 | lɑˀ31 | lɑu33. |
1SG | now | where | also | NEG | go | want |
ŋɑ33 | khɑ55su31 | liɛ33 | tɕɑˀ31 | kɑ33 | m31 | mjin31~35pɑi31~35. |
1SG | how | also | hear | COMPZ | NEG | understand |
SG | DU | PL | |
1.INCL | Nu31tuN33tA31 | ||
1.EXCL | NA33 | Nu31tuNsɿ55z\u?31~35 | Nu31tuN33 |
2 | nAN33 | n_ji31tuN33sɿ55z\u?31~35 | n_ji31tuN33~31 |
3 | s`AN31 | s`ɿ31tuN33s`ɿ55z`u?31~35 | s`ɿ31tuN33 |
1.SG | 1.DU | 1.PL.EXCL | 1.PL.INCL | |
NOM | NA33 | Nu31tuNsɿ55z\u?31~35 | Nu31tuN33 | Nu31tuN33tA31 |
GEN | NAi35/NA33~31kA35/NAi31kA33~35 | Nu31tuNsɿ55z\u?31Ei?55 | Nu31tuN33Ei?55 | |
ACC | NA33 | Nu31tuNsɿ55z\u?31~35 | Nu31tuN33 |
인칭 | 수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1인칭 | 단수 | NA33 | NAi35/NA33~31kA35/NAi31kA33~35 | NA33 |
쌍수 | Nu31tuNsɿ55z\u?31~35 | Nu31tuNsɿ55z\u?31Ei?55 | Nu31tuNsɿ55z\u?31~35 | |
복수 | Nu31tuN33(배제식) | |||
Nu31tuN33tA31(내포식) | Nu31tuN33Ei?55 | Nu31tuN33 | ||
2인칭 | 단수 | nAN33 | nAN35/nAN33~31kA33~35 | |
쌍수 | n_ji31tuN33sɿ55z\u?31~35 | n_ji31tuN33sɿ55z\u?31Ei?55 | ||
복수 | n_ji31tuN33~31 | n_ji31tuN33Ei?55 | ||
3인칭 | 단수 | s`AN31 | s`AN35/s`AN31kA33~35 | |
쌍수 | s`ɿ31tuN33s`ɿ55z`u?31~35 | s`ɿ31tuN33sɿ55z`u?31Ei?55 | ||
복수 | s`ɿ31tuN33 | s`ɿ31tuN33Ei?55 |
ŋɑ33 나 ŋo31tuŋ33 sɿ55z`u?31 우리 둘 ŋo31tuŋ33 우리
재귀(反身)대명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 중간에 조사 Ei?55/kA33을 꼭 삽입해야 한다.
한정사는 단어 또는 접사로 명사를 수식하는 부류에 속하며 명사의 reference(quantity 포함)를 표현한다. 명사의 지시 작용을 돕는다는 의미.
참조
의문사 그대로 비한정사로 쓰인다. 의문사 그대로 불특정비한정(1) 및 특정비한정(2)을 나타낼 수 있다. 의문사+liɛ33'도'와 부정소가 공기하면 예외 없이 그러하지 않음(부정극성+자유선택)을 나타낸다(3-4). (64) (1) nɑŋ33 khɑ55nɑi33~31 lɑˀ55 kɑ33 thuŋ33 uŋ33 ɛiˀ55. you which.day come CON all ok FP 너 어느 날 오다 CON 다 된다 FP 너 어느 날이든 와도 된다.
(2) khiɑŋ33 tsəŋ33 kɑŋ33tsɑi31 ʑi31 xɑ33 mɯŋ55 nəu33.
what thing just.now one CL make.sound PFV 무엇 물건 금방 하나 번 소리나다 완망상 아까 뭔가 소리가 났다.
(3) ŋɑ33 xɑi55tɕhi33 kə33tə33 ʑɛ33 n31 lɑˀ31 lɑu33.
1SG now where any? NEG go want 나 현재 어디 도 부정 가다 싶다 나 지금 어디도 가고 싶지 않다.
(4) ŋɑ33 khɑ55su31 liɛ33 tɕɑˀ31 kɑ33 m31 mjin31~35 pɑi31~35.
1SG how -ever? hear COMPZ NEG understand 나 어떻게 도 듣다 得보어조사 부정소 알다 나는 어떻게도 알아 들을 수 없다.(의역: 나는 도무지 알아 들을 수 없다.)
35_aux : 보조사(auxiliary)
① əu33: 명사술어구, 형용사술어구, 주술술어문, 일부 자연현상을 기술하는 동사 술어문에 쓰임. “了”에 해당. 앞 음절의 영향으로 xəu33, kəu33, nəu33로 읽을 수 있다.
② ɛiʔ55: 긍정문에 쓰임.
s\AN31 | ts\MN31 | t@33 | tA?31 | lAu33 | Ei?55 |
3SG | mountain | LOC | climb | like | PTCL |
③ mɑ33: 대부분은 긍정문에 쓰이고, 가끔 부정문에 쓰임. “嘛(-잖아)“
④ ui31: 대부분 부정문에 쓰임. “呀“
① nɛi35: 문말에 쓰여 귀띔하거나 추궁의 의미를 나타낸다. 특정의문문과 선택의문문에 많이 쓰인다. “呢”.
② po35: 의혹을 나타내며, 판정의문문에 쓰인다. “吧“
kAi55~33nAi33 | lA33 | s\in33 | ts\_hi33u33 | po35? |
today | TOP | week | five | PTCL |
③ ui31: 특정의문문, 정반의문문, 선택의문문에 많이 쓰인다. 말투를 온화하게 바꾸는 역할을 한다.
④ mo31: 부정명제에 쓰인다. “吗“
⑤ liɛ31: 판정의문문에 쓰임. 평범한 의문문.
⑥ ɛiʔ55: 주로 판정의문문에 쓰임. 반어법.
① ɑʔ55: 명령문. 앞 음절의 영향으로 kɑʔ55나 xɑʔ55로 읽기도 한다.
② ɛi35: 청유문.
③ tɕiʔ31: 강한 금지를 나타낸다. 한어 tɕiʔ31 “주다”로부터 문법화 함.
xɑi55~33 | tʂu33~55 | lɑ33 | ʂuʔ31 | kɑ33~35 | tsəŋ33 |
this | DEF | TOP | drink | GEN | thing |
① tsa33: 형용사 중첩형 뒤에 쓰여 부사어임을 나타냄.
② tə33
A31nuN31 | A31sA135 | t@33 | k@33 | Ei?55 |
younger.brother | brother | COM | good | PTCL |
③ m̥ɑʔ55/tɑʔ31
nAN33 | s\AN31 | mA?55 | tA31z\AN33 | tuN31n`_0a31 | k@N31 | @i?55 |
you | 3SG | and | equally | Confused | very | PTCL |
④ ku33
⑤ xɑ33: 도구격, 도구 명사 뒤에 쓰임.
s\AN31 | tso33s\@u33 | xA33ts\A31 | khM33liA33 | thAu31 | Ei?55 |
3SG | left.hand | INS | word | write | PTCL |
⑥ khɯ33: 탈격, 동사 tɕɛʔ31”도착하-“와 함께 쓰여 ”~에서 ~까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No31tuN33 | khA55~33nMk55 | k_hM33 | khA133sɿ33 | pAN33 |
2PL | tomorrow | ABL | start | PTCL |
⑦ khɯ33mɑʔ31/pji33/pɑ33: 비교격 표지 - khɯ33mɑʔ31/pji33: 고유어, 비교 기준 뒤에 쓰임.
s\AN31 | xAi55tc\_hi33 | x@u55tc\hi33 | khM33mA?31 | pjAu35 | @i?55 |
he | now | before | COM | fat | PTCL |
xAi55 | ts\MN31 | x@u55 | ts\MN31 | t@33 | m_0jAN33 | m31 | pA33~35 |
This | mountain | That | mountain | OBJ | 높다 | NEG | COM |
아창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핵심 논항(core argument)을 어순과 조사 부가(flagging)를 통해 구별한다.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아창어의 행위자 조사는 xɑ33이다. 행위자가 주어일 때는 쓰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사용한다. 아창어의 피행위자 조사는 tə33이다. 피행위자의 유정성이 높으면 필수로 써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적이다.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쓰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하여도 된다. 유정정이 낮은 피행위자에 tə33를 쓰면 강조하는 역할을 하거나 운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nAN33 | z_+u33 | tsAi33phu55 | N_+a?31 | s`u?31 | x@u33~55 |
2SG | again | white.liquor | many | drink | PFV |
##### ① 의미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조사사용은 강제성을 가진다.
wA31mA31 | No31tuN33 | xA33 | uN31 | x@u33~55 |
sow | 2PL | AG | sell | PFV |
##### ③ 행위자 조사와 피행위자 조사가 공기 가능하다.
n_0MN55kA31 | t@33 | s`ɿ31tuN31 | xA33 | z_u33 | lA?31 | x@u33~55 |
stone | OBJ | 3PL | AG | carry | go | PFV |
z_+in33 | n_+31~55sAi31 | Ei?55 | wA?31pAN31 | t@33 | ts\E~31 | khut55 | k@u33 |
house | front | POS | bamboo | OBJ | cut | down | PTCL |
아창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NA33 | A31thiE35 | lA?31 |
ISG | Personally | go |
AN31 | NAi35 | A31sAi35 | t@33 | pa?55 | k@u33 |
3SG | my | brother | OBJ | beat | PTCL |
아창어에서는 형용사 혹은 형용사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nAN35 | mjAu31 | xA55 | tA31 | pA33 | thA?31 | nEi?55 |
2SG | knife | this | one | CL | sharp | PROG |
s`AN35 | A31to35 | k@33 | thA?55~31 | lA?55 | k@u33 |
3SG | body | good | rise | come | PERF |
NA33 | kAu33 | kAN51 |
1SG | happy | very |
아창어에는 계사 ȵɛˀ55'이다'가 있다. 논항을 배당하는 능력은 없고 명사, 대사, 수량구 뒤에 나타나 화자가 어떤 대상 혹은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에 대해 판단함을 나타낸다. 긍정과 강조의 어투(语气)를 나타낸다.
ȵɛˀ55'이다'는 긍정 평서문에서 생략할 수 있다. 긍정 평서문에서는 일반적으로 화제표지 lɑ33를 사용하는데, 이는 계사의 역할과 같아 강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계사를 생략하게 된다. 하지만 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강제성을 띤다.
nAN33 | k@33t@33 | Ei?55 | s\?31s@n33 | J_+_0E?55~31 | Ei?55 |
2SG | where | CONN | student | BE | PAE |
xɑi55 | tɑ31 | ku33 | lɑ33 | tɛɕ33tɛɕ33 | ɛiȵ55 | tɕin33tsɩ55. |
this | one | CL | TOP | older.sister | CONN | mirror |
阿昌語의 문장유형에는 진술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의 4가지 문장유형이 있다. 각 문장유형의의 표현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진술문 : 판단성 진술문, 평술성 진술문, 서술성 진술문이 있으며, 모두 화제표지 la33으로 표현한다.
(2) 의문문 : 판단의문문, 의문사의문문, 선택의문문, 정반의문문, 반의의문문이 있으며, 어기조사 또는 의문대사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3) 명령문 : 청유/건의는 조사 ɛi35로 나타내고, 명령/독촉은 조사 ɑ55, tɕiˀ31으로 나타내고, 권고/금지는 ta31로 나타낸다.
(4) 감탄문 : 좋아하는 어기, 싫어하는 어기, 놀라는 어기가 있다. 표현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① 문미에 ɛiˀ55(啊)/ui31(呀)의 어기조사만 사용한 경우
② 문두에 감탄사를 사용하고, 문미에 어기조사도 사용한 경우
아창어의 감탄문은 좋아하는 어기, 싫어하는 어기, 놀라는 어기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표현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阿昌語의 명령문은 명령/독촉은 조사 ɑ55, tɕiˀ31으로 나타내고, 권고/금지는 ta31로 나타낸다.
nAN33 | ts`ɿ33 | p_h@n31 | t@33 | th@N33 | la?31 | ts\?31! |
you | water | table | LOC | put | go | PTCL |
tsu33~31wA31tsa33~35 | mu31sAu31 | tA31 | ts\Au31~35! |
child | book | NEG | see |
n_0i31tuN33 | k_huAi35 | ts\A33 | p_hu31 | lA?31 | Ei35! |
you | fast | food | do | go | PTCL |
阿昌語의 의문문은 어기조사, 의문대명사 또는 이 둘은 모두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khA55!33nMk55 | tiE~33ts\_hi33 | khiAN33lA?31mA33 | Ei?55? |
tomorrow | weather | how | PTCL |
阿昌語에는 판단의문문, 의문사의문문, 선택의문문, 정반의문문, 반의의문문이 있다.
조사 ɛiˀ55를 사용함.
khiɑŋ33(무엇), khɑ55ʑuˀ31(누구), khɑ55nɑʔ31(얼마나), khɑ55su31(어떻게), kə33tə33(어디), khɑ55tɕhi33(언제), khɑ55sɯŋ31(시간이 얼마나), khɑ33kɯ31(나이가 얼마), khɑ55su31lɑʔ31ma33 / khiɑŋ33lɑʔ31ma33 (어떻니), kɑ55su31kɑ35(왜)
nAN33 | KhiAN33 | mjin31tsɿ35 | @u?55 | Ei?55? |
you | what | name | call | PTCL |
한어 차용어인 m33ʂi31/xɑ31ʂi31/xɑi31ʂi31(还是)이 있다.
nAN33 | pa33 | nEi?55~31 | xAi31s\ɿ33 | m31 | pA33~35 |
you | have | PTCL | CNJ | NEG | have |
동사의 긍정형식과 부정형식을 병렬하는 방식으로 나타냄.
의문사 kə33tə33와 조사 nɛi35로 나타냄.
nAN33 | k@33t@33 | s`AN31 | t@33 | kA~33 | z\in31 | nEi35? |
you | where | he | OBJ | do | win | PTCL |
A31mA~31 | Ei?55 | tsu33liAN55 | NA33 | ts`Au31 | x@u33~35 |
yesterday | POS | movie | 1SG | see | PTCL |
논항이 아닌 것, 사격 성분을 동사의 목적어로 승격시키고 동사에 표지를 붙이기도 함.
형용사도 분석적인 방법과 굴절적인 방법을 통해서 사동 형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형용사 앞에 khut31을 써서 만든다.
자동태 phu33 희다 사동태 khut31phu33 희게 만들다.
자동태 pəŋ31 가득 차다. 사동태 phəŋ31 가득 차게 하다.
자동태 n\uE31 따뜻하다(유성, 자동)
사동태 n\_0uE31 따뜻하게 하다(무성, 사동)
- 사동 의미 동사로는 ts\i31 ('给,让'), sAi33 ('使') ,khut31/kAu33 ('搞,弄'), s`AN31 ('让')을 들 수 있다.
- 파열음, 파찰음 성모가 무기음인 것은 자동을 나타내고, 유기음인 것은 사동을 나타낸다.
- 비음과 변음에서 유성음인 것은 자동을 나타내고, 무성음인 것은 사동을 나타낸다.
- 영성모는 자동을 나타내고 무성마찰음은 사동을 나타낸다.
- 일부 동사는 굴절형과 분석형을 겸하여 이중 사동을 만들기도 한다.
s`AN31 | t@33 | tsu33~31wA31 | t@u33 | NAu31 | x@u33 | s`AN33 |
3SG | OBj | child | tease | cry | PFV | PTCL |
북아메리카 언어에 많음.
A31kAN31 | lA33 | nAN33 | z\a?31 | tshAu33 | k@u33~31 | liE31? |
just | TOP | 2SG | get | swear | PTCL | Q |
mA33tA?55ko31 | suN31 | luN33, | sɿ55 | luN33 | n31 | m_0jin31~35 |
peach | three | CL | two | CL | NEG | get.ripe |
tAi33 | lA33, | ts\hin33tsAi33 | k@n33 | s`u?31k@33 | Ei?55 |
alcohol | TOP | rice.alcohol | more | delicious | PTCL |
아창어에는 다양한 화제표지와 화제구문이 쓰이고 있으므로 화제도 주어 못지않게 현저한 언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un33은 아창어 고유의 표지, 주로 동사술어문에 사용된다.
nAN33 | kun33 | khA55su31 | mji31tu31 | liE~33 | n31 | s`u?55? |
2SG | TOP | how | even | cigarette | NEG | smoke |
- ʂii31는 중국어 차용어로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lɑ33와 공기가능하다.
xAi55~33 | z\AN33~55 | lA33 | s`ɿ31 | z\i31kA~33 | s`u33 | Ei?55 | tuN31tS\hE~33 |
this | DEF | TOP | TOP | everybody | PTCL | POS | money |
NA33 | nEi35, | tS\u55 | xAi55thA?55 | t@33 | nAi33 | nA33 |
1SG | PTCL | just | here | LOC | sit | PROG |
n\i31tuN33 | A?55, | xA~31s`ɿ33 | so31 | nA33 | kA33~55 | lA?31 | Ei?55 |
2PL | PTCL | also | walk | PROG | CONJ | go | PTCL |
nAN33 | nEi35, | tS\u55 | kAi33 | tS\hE~33 | s`aN31 | t@33 | kAi33 | tS\i?31~55 | A?55! |
2SG | PTCL | as.soon | must | in.advance | 3SG | OBJ | tell | give | PTCL |
A31mA~31 | Ei?55 | tsu33liAN55 | NA33 | ts`Au31 | x@u33~35 |
yesterday | POS | movie | 1SG | see | PTCL |
아창어는 시상 복합체계를 가지고 있다.
문말에 기동태 조사 əu33(변이음: kəu33, xəu33, nəu33) 사용한다.
문말에 미래상 조사 ɛiˀ55 사용한다.
정반의문문에서 ɛiˀ55는 첫 번째 동사 뒤에 위치한다.
thuŋ55 | phɛn31 | thɑˀ31 | tə33 | thəŋ33 | ɛiˀ55 | n31 | thəŋ33~35? |
container | table | above | LOC | put | PTCL | NEG | put |
핵심 서술어 뒤에 조사 nɑ33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nɑ33는 어기조사 ɛiˀ55와 결합하여 nɛiˀ55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핵심 서술어 뒤나 문말에 완망상 조사 əu31 사용한다. əu31는 앞 음절의 영향을 받아 kəu33, xəu33, nəu33 로 변독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에서 xəu33는 뒤의 어기조사 ɛiˀ55 와 결합하여 xɛiˀ55가 되기도 한다.
ŋɑi35 | nuŋ33sɑi33 | khɑ55~33nɑi33 | pə31tɕin33 | lɑˀ33 | xəu33. |
my | cousin | tocay | BeiJing | go | PFV |
문말에 경험상 조사 wɑ33를 사용한다. wɑ33는 əu33 혹은 기타 변독 형식 kəu33와 공기하는 경우가 많다.
ʂɑŋ31 | xəu55tɕhi33 | pə31tɕin33 | lɑˀ31 | wɑ33 | kəu33~31. |
3SG | before | BeiJing | go | EXP | PFV |
서술어 핵심 뒤에 임박상 조사 n̥əŋ55를 사용하고, kəu33와 공기하는 경우가 많다.
핵심 서술어 뒤에 변화상 조사 khɑu31를 추가한다.. khɑu31는 방위명사 khɑu31'안'에서 왔다. 방위명사에서 시간명사 khɑu33“때”를 거쳐 변화상 조사로 문법화되었다.
ʂɑŋ31 | ɕɛ31 | lɑ33 | khɑu31~33 | uŋ33 | tə33 | nɑi33kuɑ33 | kəu33. |
3SG | know | come | CHA | heart | LOC | painful | PFV |
아창어에는 증거성(evidentials)을 나타내는 조사 tɕɛʔ31 가 있으며, 문말에 쓰여 말하는 사건이 '전언'에 의한 것임을 나타낸다.
아창어의 양태의미는 조동사와 어기부사로 나타낸다. 조동사는 능력(capability), 바람(willingness), 가능성(possibility)등의 의미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동사의 앞에 쓰이며, 간혹 뒤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
nAN33 | tAu35ti51 | c\@31 | @i?55 | n31 | c\@31~35? |
you | ever | know | PTCL | NEG | know |
No31tuN33 | ts\ɿ33xAu51 | z\in33 | t@33 | lA?31 | xEi?55 |
we | inevitable | home | OBJ | go | PTCL |
아창어는 관형격 조사 ɛiʔ55/kɑ33 를 관형어의 뒤에 사용하여 관형 소유 구성을 나타낸다.
nAN33 | A31phu33 | Ei?55 | mji31sAu31 | tA31 | l_0iA?55 | z\u33 | lA?55 |
2SG | white | GEN | paper | one | CL(piece) | take | come |
xɑi55~33 | tʂu33~55 | lɑ33 | ʂuʔ31 | kɑ33~35 | tsəŋ33 |
this | DEF | TOP | drink | GEN | thing |
아창어에서는 소유를 나타내는 동사 pA33(가지고 있다)가 있다. pA33를 사용하여 소유를 나타낸 예는 다음과 같다.
NA33 | A31sAi35 | tiu?31 | pA33 | nEi?55, | ts\E33 | m31 | pA33~35 | xA?55 |
1SG | brother | one | have | DUR | sister | NEG | have | PAR |
차등비교 표지로 pji33, khɯ33mɑˀ3, tə33, pɑ33을 사용한다. pji33, pɑ33는 한어 차용 표지이고, tə33, khɯ33mɑˀ3은 아창어 고유 표지이다. khɯ33mɑˀ3은 '~과 같다', pɑ33는 '있다(소유)',tə33는 '있다(존재)'에서 문법화 되었다. khɯ33mɑˀ3와 tə33의 문법화 정도가 높고 pɑ33는 아직 어휘적 의미가 남아 있어 tə33와 공기할 수 있다.
tʂɯŋ31 | xəu33 | to33 | pji33 | xɑi55 | to33 | m̥jɑŋ33 | ɛiˀ55. |
mountain | that | CL | COM | this | COM | high | FP |
ʂɑŋ31 | xɑi55tɕhi33 | xəu55tɕhi33 | khɯ33mɑˀ31 | pjɑu35 | ɛiˀ55. |
3SG | now | before | COM | fat | FP |
tʂɯŋ31 | xəu33 | to33 | pji33 | xɑi55 | to33 | khɯ33mɑˀ3 | m̥jɑŋ33 | ɛiˀ55. |
mountain | that | CL | COM | this | CL | COM | high | FP |
tʂɯŋ31 | xəu33 | to33 | pji33 | xɑi55 | to33 | tə33 | m̥jɑŋ33 | ɛiˀ55. |
mountain | that | CL | COM | this | CL | COM | high | FP |
khɑ55~33nɑi33 | ɑ31mɑ̃31 | tə33 | khɯ33mɑˀ31 | kuɑi33 | ɛiˀ55. |
today | yesterday | COM | COM | hot | FP |
부정문은 술어 앞에 부정소 m31이나 n31을 추가한다.
khɑ55~33nɑi33 | ɑ31mɑ̃31 | tə33 | khɯ33mɑˀ31 | n31 | kuɑi33 | ɛiˀ55. |
today | yesterday | COM | COM | NEG | hot | FP |
동등비교구문 표지로 m̥ɑˀ55…tɑ31tɕhɛ33, m̥ɑˀ55…tɑ31ʑɑŋ33, tɑˀ31…ʑi31ʑɑŋ33'~과 같다'를 사용한다.
동등비교구문은 아래 두 가지 구조가 있다.
nAN33 | m_0A?55 | NAi35 | nAN33 | tA31ts\hE33 | mjAN33 | E?55 |
2SG | and | my | younger.sister | together | tall | FP |
nAN33 | NAi35 | nAN33 | m_0A?55 | tA31ts\hE33 | mjAN33 | E?55 |
2SG | my | younger.sister | and | together | tall | FP |
부정문은 술어 앞에 부정소 m31이나 n31을 추가한다.
nɑŋ33 | ɑŋ31 | tə33 | tsuɑi55 | lɑ?31, | ŋɑ33 | ʑɛ33 | tsuɑi55 | lɑ?31 | ɛi?55 |
you | vegetable | OBJ | cut | go | I | also | cut | go | PTCL |
아창어에서 용언성 성분(형용사, 동사)이 주어가 되려면 먼저 명사화 과정을 거치는데, 형용사의 명사화는 단음절 형용사의 명사화와 쌍음절 형용사의 명사화의 두 가지가 있다.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liAN33 pA33 kA33 아름다움.
ts\A31 먹다 → ts\A31 Ei?35 먹을 것
pAi31 뛰다 → A31 pAi31 뛰는 것
nAN33 | xA33 | kAi33 | Ei?55 | ts`Au33 | p_jE~31 | nEi?55 |
you | PREH | speak | PTCL(的) | word | right | PTCL(着) |
zAN33 | ts\A33 | ts\A31 | xAN33 | tsAi33 | s\u?31 | Ei?55 |
oneside | food | eat | oneside | alcohol | drink | PRA |
z\E31p_hA33 | tsAN33 | z\E31p_hA33 | m_jAN33 | Ei?55 |
more | fly | more | high | PTCL |
아창어 阿昌语의 단어 합성법에는 병렬식, 수식식, 주술식, 동목식, 부가식(附注式)과 다층식의 6가지 종류가 있다.
təʰ³³ | ʦa³³~³⁵ |
V | N |
량허(梁河) 아창어는 중국어, 다이어, 징포어(景颇语), 버마어의 차용어가 존재한다.
중국어 차용어는 대략 1748개의 어휘에 이르며, 량허 아창어의 전체 어휘중 약 52%이상을 차지한다.
다이어(傣语) 는 윈난성 소수민족인 다이족(傣族)의 언어로 량허(梁河)아창족의 거주지역과 거리가 밀접하여 다이어의 어휘가 다량 아창어로 차용되었다. 그러나 신중국 설립 후, 중국어 차용어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 수가 많이 줄었다.
너무 신경쓰지 말것. 주석이 잘 달린 긴 텍스트가 존재한다면 가공하여 정리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