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aleut:0_general:01_basic:01_basic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언어명

  • 국문: 알류트어
  • 영문: Aleut
  • 노문: алеутский язык
  • 자칭: Unangam tunnu (Унаӈам тунуу, унаӈам умсуу)

‘알류트’라는 명칭의 기원은 확실치 않으며, 1930년대 러시아어로 출판된 언어학 문헌에서는 알류트어로 알류트 민족을 칭하는 고유의 이름(унанан: '저기, 바다 하류 해안'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уна-에서 유래함)을 따라서 унанганский язык으로 지칭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Golovko 1997). 러시아 문헌상 1747년부터 알류트인이 등장한다(Golovko 2001:72).

코드

  • ISO 639-3 코드: ale
  • WALS 코드: ale
  • Glotto 코드: aleu1260

인구지리학적 정보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retrieved on Jan 14, 2020)에서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Eastern) & severely endangered language(Western)”로 구분되어있다.

18세기 러시아와의 접촉 이전까지의 알류트인은 8천~1만명 정도가 알류샨(Aleutian) 열도 및 알라스카 반도 남서단의 160여개의 정착지에 8개의 종족을 이루며 살았다.

1) ӄагаан тайаҕуӈин 2) ӄигииҕун 3) ӄаwалаӈин 4) акууҕун 5) нииҕуҕис 6) наа'миҕус 7) ӄаӽун 8) сасигнан

오늘날 알류트인들이 밀집해 있는 거주지로는 알류샨 열도(미국, 러시아), 프리빌로프 제도(미국), 코만도르스크 제도(러시아)가 있다. 오늘날 알류트인의 인구는 6천이 되지 않으며, 이 중 700여명이 러시아에, 약 5천명이 미국에 거주한다. (Golovko 1997:101) 러시아 198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USSR 내에 702명 (러시아 644명); 알류트어 모국어화자 26.6%, 구사자 216명; 대부분 농경생활 / 미국 내 알류트인은 약 5천명이라고 하지만, 여기에는 알래스카 토착민족에게 제공되는 혜택을 받기 위해 스스로 알류트인이라 칭하는 인구도 포함되어있다. (Golovko 2001:71 재인용)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알류트인은 482명, 알류트어 화자는 45명이다.(http://www.gks.ru/free_doc/new_site/perepis2010/perepis_itogi1612.htm)

언어위상

러시아와 미국 영토 내의 알류트어 모두 러시아어와 영어의 영향 및 두 나라의 20세기 문화, 교육, 언어정책 등의 영향으로 멸종위기에 노출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베린고프 방언은 모국어 구사자가 3-5명 정도로 그 위기가 가장 심하다. 미국 영토 내의 언어상황은 비교적 양호한데, 1950년대 Atka섬의 미취학아동들이 알류트어만 알았다면, 20년이 지난 시점에는 학교교육 및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영어와의 이중언어를 구사하게 되었다. 오늘날 Atka섬의 85명 인구 중 80명이 알류트어를 적극 구사할 수 있다. 동부 방언을 적극적으로 구사하는 인구는 모두 40대 이상이다. 프리빌로프 제도의 총 인구 600-650명중에서 알류트어 구사자는 St. George섬에 125명 St. Paul섬에는 약 250명이다. 동부 방언을 구사하는 전체 인구는 450명이며, 알류트어를 모국어로 쓰는 화자는 모두 영어 또는 러시아어를 이중구사한다. 알류트어의 주요 기능은 일상언어이고, 19세기에 상당량의 정교회 서적이 알류트어로 번역 출판되었고, 소위 혼혈 출신의 사제들에게는 알류트어가 모국어였던 영향을 받아서 미국에서는 종교분야에서도 알류트어가 한때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미국내 알류트인들은 정교도인이다). 1820년대에 И.Е. Вениаминов 및 그 제자들에 의한 지속된 선교활동으로 신학교에서 알류트어의 교육이 시작되어서 러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알류트어도 거의 100퍼센트의 문명률을 이루었다. 1867년에 미국이 알류샨 열도 및 알래스카를 매입한 이후에도 거의 50년간 알류트어의 교육이 계속되었으나 1920년대에 알래스카와 알류샨 열도에 미연방 제도의 학교가 개교한 이후로는 다른 원주민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알류트어의 교육이 금지되었다. 이후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알래스카 대학교의 원주민 언어연구센터의 활동으로 인해 알류트어의 교육이 다시 시작되었다. 코만도르스크 제도에서는 1930년도에 알류트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철자책 조차 출판되지 못하고 실현되지 못했다. 코만도르스크 제도의 학교교육은 러시아어로 이루어지며 학교에서 알류트어의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어 오다가 80년대부터는 간혹 알류트어를 선택과목으로 도입하려는 시도를 보이기도 한다.

  • Glottolog AES status: shifting
doc/aleut/0_general/01_basic/01_basi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9:53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