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알류트인의 방언으로는 서부 방언(알류샨 열도의 Atka 섬에서 구사), 동부 방언(알류샨 열도의 Unalaska섬, Akutan섬; 프리빌로프 제도의 St. Paul섬, St. George섬; 알라스카 반도 등), 베린고프 방언(코만도르스크 제도의 베링가섬)이 있는데, 베린고프 방언은 2가지 특징(고어적 형태 및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 및 문법)을 제외하면 사실상 서부 방언과 일치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방언으로 보지 않을 수 있다. 1960년대 베링가 섬으로 강제이주 된 메드노프 알류트인은 자신들의 언어를 혼합된 특성을 지닌 또 하나의 방언으로 보기도 한다(메드노프 방언). 20세기 중엽까지는 다른 방언들과는 음운적, 어휘적 차이가 큰 애투안 방언 (알류샨 열도의 최서단에 위치한 Attu 섬에서 유래)이 있었다. 이 방언은 1942년 일본의 침입에 이은 Attu 주민들의 일본으로의 강제이주, 그리고 전쟁 이후에 남은 Attu섬의 주민들이 다시 미군에 의해 Atka섬으로 이주하게 되면서 사라졌다. (Golovko 1997:101-102; 비고. Golovko 2001:71에서는 애투안 방언을 서부방언, 애트킨 방언을 서부방언의 하위방언으로도 볼 수 있는 중부방언으로 분류하고, 메드노프 방언을 독립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문서는 서부/베린고프 방언의 특성을 중심으로 일부 동부 방언 및 애투안 방언과의 차이점이 기술되어 있다. 두 방언의 차이는 크지 않고 일부 어휘 및 통사(동부방언에서는 화제-술어 일치가 없는데, 러시아어 및 영어의 영향으로 생각됨), 형태적으로는 복수 표지가 서부에서는 -с, 동부에서는 -н; 동사 1형변화에서 약간의 차이(예.-ӽтин vs. -ӽт) 가 가장 대표적이다(Golovko 1997:116). 공식적인 알류트어 표준화 작업은 없었고, 알류트어의 교육은 각 방언으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