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수형만 가진 명사도 있다.
알류트어의 격에는 절대격과 관계격(상대격)이 있는데 그 형태는 단수에서만 구분되며 나머지 격에서는 두 형태가 일치한다. 단수 관계격의 표지가 -м인 것은 에스키모-알류트어군에 공통적인 특징이다.
| 수/격 | 접미사 | 
|---|---|
| 단수/절대격 | -ӽ | 
| 단수/관계격 | -м | 
| 쌍수 | -х | 
| 복수 | - с (동부/애투안 방언: -н) | 
1) 단수 화제-주어 2) 화제-주어의 단수 직접목적어 3) 부사어 기능을 하는 몇몇 명사
1) 화제가 아닌 단수 주어 2) 소유구에서 단수 소유주 3) 역접 도는 선행 관계의 복합문에서 종속 동사형
소유주 명사는 관계격, 피소유 명사는 수에 따른 소유표지(단수: 장모음, 쌍수: -ких, 복수: -ӈис)
| 수(소유주-소유물) | 소유주 | 피소유물 | 해석 | 
|---|---|---|---|
| 단수-단수 | аниӄду-м | микааси-и | 한 아이의 장난감 | 
| 단수-쌍수 | аниӄду-м | микааси-ких | 한 아이의 장난감 두 개 | 
| 단수-복수 | аниӄду-м | микааси-ӈис | 한 아이의 장난감들 | 
| 쌍수-단수 | аниӄду-х | микааси-и | 두 아이의 장난감 | 
| 쌍수-쌍수 | аниӄду-х | микааси-ких | 두 아이의 장난감 두 개 | 
| 쌍수-복수 | аниӄду-х | микааси-ӈис | 두 아이의 장난감들 | 
| 복수-단수 | аниӄду-с | микааси-и | 아이들의 장난감 | 
| 복수-쌍수 | аниӄду-с | микааси-ких | 두 아이의 장난감들 | 
| 복수-복수 | аниӄду-с | микааси-ӈис | 아이들의 장난감들 | 
소유주는 생략될 수 잇는데, 이 경우 소유물에만 위의 소유표지를 쓰되, 화제화(topicalization) 원칙에 따른 수의 위계가 생긴다. 즉, 쌍수는 단수를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 복수는 쌍수의 상위개념이 된다. 소유표현에 소유주가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문맥에서 추리 가능한 경우, 소유대상은 소유주 또는 소유대상 중에서 그 수가 큰 쪽을 따라 표지한다.
알류트어에는 1, 2인칭 소유대상을 나타내는 소유표지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위의 원칙과 같은 맥락에서, 소유주가 1, 2인칭 단수일때 소유표지는 소유주와 소유물의 인칭-수를 반영하지만, 소유주가 1, 2인칭 쌍수나 복수인 경우에는 소유표지에 소유주의 인칭-수만 표현된다.
소유주가 1인칭, 소유대상이 관계격인 경우 소유표현은 위의 표와 같다(별도의 형태가 없다). 소유주가 2인칭의 관계격인 경우에는,
두 명사구의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의미관계
1) 친족관계
2) 분리불가능한 소유 (전체-부분 등)
3) 소유
4)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른 특징
소유표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소유주의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1) 크기
2) 수량
3) 상태
4) 질
5) 특징
6) 나이 (상대적, 절대적)
7) 색
알류트어에는 처소관련 격이 없다. 위치의미는 후치사와 함께 소유관계처럼 표현한다. 후치사가 명사와 함께 쓰일 때에는 이를 표지하는 -н이 첨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