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어의 기본 어순에서는 동사가 문장의 가장 처음에 나오고 주어와 다른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주어 뒤에 출현한다.
아미어 의문문은 의문사가 있는 경우와 의문사가 없는 경우로 나뉜다.
의문사 의문문은 일반적으로 의문사가 문두에 온다. 그러나 의문사가 문중에 오는 경우도 있다.
의문사가 문두에 오는 예는 다음과 같다.
의문사가 문중에 오는 예는 다음과 같다.
| pa-feli-en | ni | mama | ko | wawa | to | maan? |
| CAUS-give-PAT.FOC | GEN | father | NOM | child | OBL | WHQ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즉, 정반의문문의 경우 어순은 일반적인 긍정문과 같다. 그러나 어조가 변하거나 문미에 의문조사 haw 를 부가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Ma-kaen-to | ni | Mayaw | ko | fonga | haw? |
| PAT.FOC.-eat-PRF | GEN | PR | NOM | sweet.potato | Q |
명령문은 긍정과 부정에 따라 긍정 명령문과 부정 명령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긍정명령문
긍정명령문에서는 동사를 문장의 가장 앞에 놓는다. 명령을 받는 제 2인칭 '너' 는 생략한다.
논항이 2개 있는 긍정 명령문의 경우에는 피명령자가 서술어 뒤에 바로 나온다. 논항이 3개 있는 긍정 명령문의 경우에는 대상이 피명령자의 앞에 나온다.
다음은 논항이 2개 있는 긍정 명령문의 예이다.
다음은 논항이 3개 있는 긍정 명령문의 예이다.
| pa-pi-capet-en | to | piyang | kira | lotong |
| CAUS-FOC-receive-PAT.FOC | OBL | candy | that.NOM | monkey |
(2) 부정 명령문
부정명령문은 명령 부정사인 aka '-지 말아라'를 명령문 동사 앞에 놓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아미어의 기본 어순에서는 동사가 문장의 가장 처음에 나오고 주어와 다른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주어 뒤에 출현한다.
그러나 주제어는 동사 앞에 출현한다.
| ina | konga | ma-tongih-ay | no | 'edo |
| this | sweetpotato | PAT.FOC-bite-PRF | POSS | mou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