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어의 부정문은 일반적으로 문두에 하나의 부정사를 두어서 만든다. 부정사는 동사의 앞에 출현해야 한다. 기타 어순은 긍정문의 예와 같다.
아미어에는 세 개의 부정사가 있다.
| 서술문 | 명령문 | 존재문 | 소유문 | 방위문 | 방위문 |
|---|---|---|---|---|---|
| cai/caay | aka | awa | awa | awa | cai/caay |
아미어는 부정서술문에서 cai/caay 를 사용한다. 명사 서술어를 부정할 수도 있고 동사 서술어를 부정할 수도 있다.
명사 서술어를 부정할 때 부정사를 사용하는 것 외에도 서술어의 명사종류표지 o 혹은 ci 에 ka-를 부가하여 kao 혹은 ko 를 형성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kao 를 형성한 예는 다음과 같다.
ko 를 형성한 예는 다음과 같다.
긍정서술문의 행위자초점표지 'mi-'동사가 부정사 cai/caay 뒤에 출현할 때는 'pi-+어근'의 비한정형식으로 출현한다.
그리고 기타 행위자초점 표지는 'ka-+어근'의 형식으로 출현한다.
그러나 'om'형 동사는 'om'을 보존한다.
'pi-+어근'의 비한정형식으로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Cai | pipeti' | ko | mato'asay | to | kolong. |
| NEG | FOC.whip | NOM | old.man | OBL | cow |
'ka-+어근'의 형식으로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om'형 동사가 'om'을 보존한 예는 다음과 같다.
긍정서술문 피행위자 초점 ma-동사는 부정사 cai/caay 뒤에 출현할 때 ka-+어근의 비한정 형식으로 출현한다. 그리고 피행위자 초점 -en동사는 ka-어근 -en 의 형식으로 출현한다. 그러나 ka- 는 생략할 수 있다.
긍정서술문 피행위자 초점 ma-동사가 부정사 cai/caay 뒤에서 ka-+어근의 비한정 형식으로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Canny | ka-hapinang | ako | ko | cawi | nira |
| NEG | AGR.negation-clarify | 1SG.GEN | NOM | answer | 3SG.GEN |
피행위자초점 -en동사가 ka-어근-en 의 형식으로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Canny | ka-safon-en | nira | ko | tireng | a | mi-ngingoy |
| NEG | AGR.negation-soap-PAT.FOC | 1SG.GEN | NOM | answer | 3SG.GEN | FOC-wash |
긍정서술문 도구 충당태 구조 동사 및 처소 충당태 구조 동사가 부정사 cai/caay 뒤에 출현할 때는 ka-+도구 충당 동사 및 처소 충당 동사의 형식으로 출현한다. 혹은 도구 충당 구조 동사 및 처소 충당 구조 동사를 명사 서술어로 취급하여 명사 서술어의 부정 구조 형식으로 출현한다. 처소 충당 구조의 부정은 후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ka-+도구 충당 동사의 형식으로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 Cai | ka-sa-pi-fowi' | ni | ina | to | sinar | kini | a | po'ot |
| NEG | fOC-INS.APPL-FOC-cut | GEN | mother | OBL | watermelon | this.NOM | CONN | knife |
도구 충당 구조 동사를 명사 서술어로 취급하여 명사 서술어의 부정 구조 형식으로 출현한 예는 다음과 같다. 다음 예문에서 'ko' 는 'ka' 와 명사종류표지 'o' 가 결합된 것이다.
| Cai | ko | sa-pi-fowi' | ni | ina | to | sinar | kini | a | po'ot |
| NEG | FOC.AGR.nominal | INS.APPL-FOC-cut | GEN | mother | OBL | watermelon | this.NOM | CONN | kn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