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부사절은 nawhan/nawhani 가 이끈다. 원인부사절은 주절 뒤에 출현한다.
| Komimit-en | no | singsi | ko | tangila-ako, | nawhani | caay | pi-tengil | kako | to | sowal | nira |
| grip-PAT.FOC | GEN | teacher | NOM | ear-1SG.GEN | CONJ.because | NEG | FOC-listen | 1SG.NOM | OBL | word | 3SG.GEN |
결과부사절은 'saka'이 이끈다. 결과부사절은 주절 뒤에 출현한다.
| na-ma-pa-lifon | caira | inacila | saka | ira | ko | sa-pi-codad | no | wawa |
| past-PAT.FOC-CAU-salary | 3PL.NOM | yesterday | therefore | EXIST | NOM | INS.APPL-FOC-read.book | GEN | child |
조건부사절은 'ano'가 이끈다.
조건부사절은 주절의 앞에 나오거나 혹은 뒤에 나오는데, 주절의 앞에 나올 때는 담화표지'i'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절의 뒤가 조건부사절의 기본 위치임을 알 수 있다.
| limek-sa-ho | kiso | i | kafoti'an | ano | tayni | cira |
| hide-like.this-still | 2SG.NOM | COP | place.to.sleep | if | come.ACT.FOC | 3SG.NOM |
| Ano | ma-salaw | ko | 'orad | i, | manga'ay | kako | a | sasadak |
| if | ACT.FOC-stop | ACT | rain | DM | ACT.FOC-may | 1SG.ACT | CONJ | FOC-go.outside |
시간부사절은 다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전'을 나타내는 부사절, 둘째, '이후'를 나타내는 부사절, 셋째 '-할 때'를 나타내는 부사절이다.
| Ma-soni | ko | dadayday | i | 'ayaw | no | ka-lafi-an |
| NOM.FOC-sound | cicada | PREP | front | GEN | FOC-eat.dinner-LOC.APP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