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amis:6_cs:62_subr:subr_adv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subr_adv : 부사절 (adverbial clause)

원인부사절

원인부사절은 nawhan/nawhani 가 이끈다. 원인부사절은 주절 뒤에 출현한다.

amis1246 wujinglan2016:125
Komimit-ennosingsikotangila-ako,nawhanicaaypi-tengilkakotosowalnira
grip-PAT.FOCGENteacherNOMear-1SG.GENCONJ.becauseNEGFOC-listen1SG.NOMOBLword3SG.GEN
선생님이 나의 귀를 쥐었는데, 왜냐하면 내가 그의 말을 듣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과부사절

결과부사절은 'saka'이 이끈다. 결과부사절은 주절 뒤에 출현한다.

amis1246 wujinglan2016:125
na-ma-pa-lifoncairainacilasakairakosa-pi-codadnowawa
past-PAT.FOC-CAU-salary3PL.NOMyesterdaythereforeEXISTNOMINS.APPL-FOC-read.bookGENchild
어제 그들이 봉급을 받아서 아이들이 학비가 생겼다.

조건부사절

조건부사절은 'ano'가 이끈다. 조건부사절은 주절의 앞에 나오거나 혹은 뒤에 나오는데, 주절의 앞에 나올 때는 담화표지'i'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주절의 뒤가 조건부사절의 기본 위치임을 알 수 있다.

amis1246 wujinglan2016:126
limek-sa-hokisoikafoti'ananotaynicira
hide-like.this-still2SG.NOMCOPplace.to.sleepifcome.ACT.FOC3SG.NOM
만약 그가 오면, 너는 우선 방으로 숨어라.
amis1246 wujinglan2016:126
Anoma-salawko'oradi,manga'aykakoasasadak
ifACT.FOC-stopACTrainDMACT.FOC-may1SG.ACTCONJFOC-go.outside
만약에 비가 그친다면, 나 나가도 되요?

시간부사절

시간부사절은 다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이전'을 나타내는 부사절, 둘째, '이후'를 나타내는 부사절, 셋째 '-할 때'를 나타내는 부사절이다.

'이전'을 나타내는 부사절

'이전'을 나타내는 시간부사절은 전치사구 i 'ayaw('이전'의 의미)가 이끈다. 이 문장은 명사화 구조로 나타내며 주절의 뒤에 출현한다.

amis1246 wujinglan2016:127
Ma-sonikodadaydayi'ayawnoka-lafi-an
NOM.FOC-soundNOMcicadaPREPfrontGENFOC-eat.dinner-LOC.APPL
저녁식사 전에 매미가 우는 소리를 냄이 있었다.

'이후'를 나타내는 부사절

'이후'를 나타내는 시간부사절은 전치사구 i rikor('이후'의 의미)가 이끈다. 이 문장은 명사화 구조로 나타내며 주절의 뒤에 출현한다.

amis1246 wujinglan2016:127
ma-patay-tokowacoirikornoka-k-om-aentosawarak
NOM.FOC-die-PFVNOMdogPREPbackGENFOC.FOC.eatOBLpoison
그 개는 독약을 먹은 다음에 죽어버렸다.
doc/amis/6_cs/62_subr/subr_adv.160966094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03 17:02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