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ndi: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클래스, 격, 수

클래스 구분

  • 명사 클래스의 구분은 북부방언에 좀 더 잘 보존되어있음
  • 형용사, 수사, 대명사, 동사, 동명사, 부사 등으로도 클래스 표현
  • 본 문서에서 안디어의 클래스는 G1, G2와 같이 주석한다

북부방언

  • 대체로 북부방언(Andi, Gagatl, Ashali, Chanho, Zilo)에서는 5개의 문법적 클래스 구분
1클래스 2클래스 3클래스 4클래스 5클래스
단수 в й б б р
복수 в й й б р
  • 1클래스는 남성지칭 관련 명사와 연관
andi1255 Cercvadze1966:280
  • има : 아버지
  • вошо : 아들
  • воцци : 형제
  • 2클래스는 여성지칭 관련 명사와 연관
andi1255 Cercvadze1966:280
  • ила : 어머니
  • йоши : 딸
  • йоцци : 자매
  • 3클래스는 기타 유정명사 지칭
  • 4, 5클래스는 무정명사 지칭, 그 중 추상명사는 5클래스
andi1255 Cercvadze1966:280
  • бесун : 칼(4클래스)
  • гъан : 빵(4클래스)
  • ингур : 창문(4클래스)
  • кӀол : 입(4클래스)
  • анжиди : 도끼(5클래스)
  • гьакъу : 집(5클래스)
  • гьинцӀцӀу : 문(5클래스)
  • сол : 치아(5클래스)
  • Rikvani 방언에서는 주로 벌레를 지칭하는 6클래스도 구분 (단수: -р, 복수: -й)

남부방언

  • Munin, Kvanxidatl 방언에서는 3개 클래스만 구분
1클래스 2클래스 3클래스
단수 в й б
복수 в й б
  • 1클래스는 남성지칭 명사
  • 2클래스는 여성지칭 명사
  • 3클래스는 그 외의 명사
  • Munin 방언에서 위의 3가지 클래스는 클래스 표지 접두사로 구분, 접미사에서는 2개 클래스 구분: 1클래스(-й(и))는 성과는 무관하게 사람지칭, 2클래스(-ви)는 그 외
  • 비고. Munin 방언에서 동사어간 у앞의 클래스표지 접두사 в-나 и앞의 й-는 보통 생략되고 그 위치에 phonetically extended aspirate гь가 온다
andi1255 Cercvadze1966:280
гь-укьӀу
G1-die
죽다 (←укьӀу ← в-укьӀу ← в-икьӀу)

명사의 격

  • 격 어미 형태는 단수, 복수 동일

주격

  • 무표적 표지
  • 자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직접목적어

능격

  • -ди (Rikvani방언에서는 -д)
  • 타동사의 주어
  • 도구를 나타내는 조격의 역할
  • 비고. 일부 방언에서는 전치격 -хъи (Rikvani에서는 -хъ)가 조격 역할
andi1255 Cercvadze1966:281
анжидо-ди
axe-ERG
도끼로
andi1255 Cercvadze1966:281
анжидо-хъи
axe-LOC
도끼로

소유격

  • -в/-й/-б/-р (=클래스 표지 형태) 또는 -лӀи (Rikvani 방언 -лӀ)
  • 명사, 형용사 등의 1클래스, 모든 클래스의 인칭 대명사, 의문대명사 '누구'의 1, 2클래스는 클래스 표지를 소유격 어미로 사용
  • 그 외의 모든 명사에는 소유격 어미 -лӀи 사용
  • 소유, 관계형용사적 역할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ввоцци
father-GENbrother
아버지의 형제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в-улвоцц-ул
father-GEN-PLbrother-PL
아버지의 형제들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ййоцци
father-GENsister
아버지의 자매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бкӀоту
father-GENhorse
아버지의 말
  • -лӀи이 쓰일 때 피수식 명사의 클래스는 표지되지 않음(수는 표지될 수도 있음)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лу-лӀивоцци
mother-GENbrother
어머니의 형제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лу-лӀ-олвоцц-ул
mother-GEN-PLbrother-PL
어머니의 형제들

여격

  • -й (Andi, Munin, Kvanxidatl방언), -лъу (Gagatl, Rikvani, Zilo, Chankho)
  • 간접목적어(행위의 수신자)

affective case

  • 클래스 표지 변화 + -о (в-/й-/б-/р-о)
  • 동사의 직접목적어에 따라 클래스 표지 사용
  • verba sentiendi의 주어 및 사동동사의 두번째 목적어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в-огьакъӀ-ид-овоцци
father-G1-ERG.affectivesee-VC1.PRS-PRSbrother.NOM
아버지가 형제를 본다
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й-огьакъӀ-ид-ойоцци
father-G2-ERG.affectivesee-VC1.PRS-PRSsister.NOM
아버지가 자매를 본다
  • 위와 같은 용법으로 보건데 안디어는 주격(절대격)과 능격이 있는 능격언어이면서 지각동사가 비전형적 타동사로서 능격 주어 대신 affective case 주어가 쓰이고 사동문에서 피사동주에도 affective case가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타동사 중에서 지각동사에 쓰이는 특별한 능격이라는 의미에서 예문 안의 affective case는 ERG.affective로 분석하였다

격변화

  • 주격 어간에 없던 형태소 추가
  • 단수 격변화에서는 어간 뒤에 결합용 모음(thematic vowel) у, о, и 추가
  • 격이 명확할 경우 thematic vowel -и-는 생략가능
andi1255 Cercvadze1966:281
  • хъанжар : dagger.NOM & хъанжар-у-ди : dagger-TV-ERG
andi1255 Cercvadze1966:281
  • бесун : knife.NOM & бесун-о-лӀи : knife-TV-GEN
andi1255 Cercvadze1966:281
  • гьон : aul & гьон-ди (← гьон-и-ди) : aul-ERG
  • гьон : aul & гьон-и-й : aul-TV-DAT

distribution-suffix(суффикс-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 -щ- (1클래스), -лълъ- (2클래스 및 그 외 클래스와 함께)
  • 3~5(6)클래스에서는 -лл-о-, -д-о-가 쓰이기도 한다
  • thematic vowel과 함께 쓰임 : -щ-у-, -лълъ-и
  • 모음으로 끝나는 격어미 (능격 -ди, 소유격 -лӀи) 앞에서는 thematic vowel을 쓰지 않음
1클래스 명사 -щ- 2클래스 명사 -лълъ-
주격 - -лълъ-и-ди
능격 -щ-у-ди - лълъ-и-ди
소유격 -щ-у-(-) -лълъ-и-лӀи
여격 -щ-у-й (щ-у-лъу) -лълъ-и-й (лълъ-и-лъу)
affective -щ-у-(-)-о -лълъ-и-(-)-о
  • distribution-suffix의 주요기능은 간접어간 형성
  • 비고. 기능적으로나 형태적으로나 아바르어의 -сс- (← щ), -лълъ-와 일치
  • 간접어간 형성시 distribution-suffix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

처소관련격

  • 7개의 시리즈로 나누어진다
  • 각 시리즈에 처격locative, 향격allative, 외향격elative 구분
  • 일부 시리즈에서는 향격과 처격의 형태가 동일
시리즈 격표지 의미
1 처격 -кьӀа 위에(수평적 표면)
1 향격 -кьӀо 위로
1 외향격 -кьӀа-ку 위로부터
2 처격 -чӀу 위에(수직적 표면)
2 향격 -чӀу 위로
2 외향격 -чӀу-ку 위로부터
3 처격 -ха 근처에
3 향격 -хо 근처로
3 외향격 -ха-ку 근처로부터
4 처격 -хъи 안에(복수)
4 향격 -хъи 안으로
4 외향격 -хъи-ку 안으로부터
5 처격 -кьи 아래에
5 향격 -кьи 아래로
5 외향격 -кьи-ку 아래로부터
6 처격 -лӀи 안에
6 향격 -лӀи 안으로
6 외향격 -лӀи-ку 안으로부터
7 처격 -ла, -а 안에(단수)
7 향격 -ла-ди, -а-ди 안으로
7 외향격 -ла-ку, -а-ку 안으로부터

복수

  • 복수 접미사는 모두 -л로 끝남
  • 간접격은 복수 접미사 + thematic vowel(-у-,-и-,-а-) 뒤에 단수와 동일한 형태의 격어미로 나타냄
단순 복수접미사 (Cercvadze1966:282)
  • л, -ол, -ил, -ал
복합 복수접미사 (Cercvadze1966:282)
  • -м-ул
자음 б나 д가 포함된 복합 복수접미사 형태는 명사에만 사용
  • -б-ол, -иб-ол
  • -б-ил, -об-ил
  • -д-ул, -ад-ул, -од-ул
  • -д-ил
  • -б-д-ул, -иб-д-ул, -ол-д-ул
  • -м-ад-ул, -иб-ад-ул
  • -д-об-ил
doc/andi/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2/21 18:57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