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archi: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명사의 문법 범주: 수, 격, 내재범주(class)

(1) 명사의 내재범주

  • 명사와 일치시키는 동사, 형용사에 나타난다.
  • 일치 유형 모델을 토대로 한 4가지 주요 내재범주와 4가지 부차적 내재범주가 있다.
  • 내재범주 I, II(G1, G2)는 각각 남성과 여성의 인명을 포함한다.
  • 내재범주 III, IV(G3, G4)의 구분은 전반적으로 특별한 기준이 없다.
  • 부차적인 내재범주에 속하는 단어 그룹은 많지 않지만 의사소통과 의미면에서 기준이 있다.
  • 내재범주 V, VI(G5, G6)은 인칭대명사 1인칭, 2인칭으로 남성(V)과 여성(VI)을 구별한다.
  • 내재범주 VII은 사람을 가리키는 일부 집합명사.
  • 내재범주 VIII은 성이 구별되지 않는 사람.
  • 단수에서는 내재범주의 형태론적 표지는 I/V, II/VI, III/VII, IV/VIII이 같다.
  • 복수 일치에서는 I, II, VII, VIII은 b, III, IV, V, VI은 영(zero) 표지.
  • 접두사와, 접요사 내재범주 표지는 동사에, 접미사 표지는 형용사에 나타난다.
사람을 가리키는 집합명사
arch1244 kibrik2001:116
  • xalq’ : 사람들
  • z#amat : 인구
성이 구별되지 않는 사람
arch1244 kibrik2001:116
  • lo : 아이
  • adam : 사람
  • k0i-s#aw : 누군가
수와 내재범주의 일치 표지
단수 복수
접두사 접요사 접미사 접두사/접요사 접미사
I/V w w w b/Ø ib
II/VI d r r b/Ø
III/VII b b b Ø/b
IV/VIII Ø Ø t, t’ Ø/b
  • I/V. 복수에서는 접두사와 접요사의 위치에서 구별된다.
  • t’는 수사의 일치 형태에 나타난다.
  • 수와 내재범주는 일치되는 단어뿐 아니라, 명령형과 무인칭동사(?)(unagential verb?)형태에도 반영된다.

(2) 명사의 수

복수 표지
  • 복수 표지: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mul,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t”u
  • 불규칙 복수 표지 다수: 접미사의 강세유무에 따라 다르다. -oom/-um, -oor/-ur, -oot/-ut, -loo/-lu, -til
규칙 복수어미 예
arch1244 kibrik2001:116
  • dab : 송곳
  • dab-mul : 송곳들
arch1244 kibrik2001:116
  • nodo : 이마
  • nodo-t”u : 이마들
불규칙 복수어미 예
arch1244 kibrik2001:116
  • c’or : 이름
  • c’or-oom : 이름들
arch1244 kibrik2001:116
  • t’inl- : 뾰루지
  • t’inl–um : 뾰루지들
arch1244 kibrik2001:116
  • oL’ : 멍에
  • oL’-oor : 멍에들
arch1244 kibrik2001:116
  • L’ilii : 안장
  • L’ol-loo : 안장들
arch1244 kibrik2001:116
  • dos : 친구
  • doos-til : 친구들
명령형에 나타난 수와 내재범주
arch1244 kibrik2001:116
  • uci : 멈춰라 (<*owci)(G5, IMP)
  • oci-r : 멈춰라 (G5-6, IMP.PL)

(3) 명사의 격

  • 15개의 격이 있다.
  • 추상적 격(abstractive cases): NOM(ABS), 능격ERG, 여격DAT, 속격GEN, 공동격COM, 비교격COMPAR, 교환격(?)(permutative), 원인격(causal), 부분격PART, 동격(?)(equative)
  • 처격(locative cases): 재격ESS, 외향격ELA, 방향격LAT, 향격ALL, 종착격TERM, 변성격TRANSL

추상적 격

1) NOM
  • 일반적으로 영 표지.
  • 다른 용어로 절대격(ABS)라고도 한다.
  • factitive의 의미, 즉 사건의 중심이 되는 행위자의 의미를 나타낸다.
  •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에서 대략 자동사의 주어, 타동사의 목적어에 상응하는 의미이다.
NOM의 예
arch1244 kibrik2001:116
dijabec”’oot’us#iwi
fatherillUNK
아버지가 아프다
arch1244 kibrik2001:116
g0ac#ilikulc#’ars#ii
doghandlickUNK
개가 손을 핥는다
2) 능격ERG
  • 영 표지. NOM과는 다르게 사격 어간에 붙는다.
  • 동작주 또는 도구의 의미를 나타낸다.
능격의 예
arch1244 kibrik2001:116
**g0ac#i-li-Ø**kulc#’ars#ii
**dog**handlickUNK
**개가** 손을 핥는다
arch1244 kibrik2001:116
zarikul-li-ØdaL’daxa-aw
Ihand.ERGdooropen.PST
나는 손으로 문을 열었다
3) 여격
  • 여격 표지: -s
  • 어떤 행위를 하고자 하는 행위자의 이름을 표시한다? (수신인 또는 경험적 의미)
여격의 예
arch1244 kibrik2001:116
jow-mu-sbiq0’ati
he.DATgive.IMPseat
그에게 자리를 양보해라
arch1244 kibrik2001:116
tow-mu-sarsiqIa
he.DATmoneyreceive.PST
그는 돈을 받았다
arch1244 kibrik2001:116
tor-mi-ssini
she.DATknow.3EG
그녀는 안다
4) 속격
  • 속격 표지: -n
  • 한정, 소유의 의미
속격의 예
arch1244 kibrik2001:116
c#aq-li-nmuh
pea.GENgrain
완두콩 알
arch1244 kibrik2001:116
dija-nk’oc#’o
father.GENcup
아버지의 찻잔
5) 공동격COM
  • 공동격 표지: l-”u
  • 행위를 함께 수행하는 행위자를 가리킨다.
공동격의 예
arch1244 kibrik2001:116
torl-”uonnolla-l-”uq’ardilidi
thewomanwith.us.COMsit.3SGUNK
그 여자가 우리와 함께 앉아있다
6) 비교격COMP
  • 비교격 표지: -xur
비교격의 예
arch1244 kibrik2001:116
doginiIs#-i-xurt’i
donkeyhorse.COMPsmall
당나귀는 말보다 작다
7) 교환격permutative
  • 교환격 표지: L’a@na
8) 원인격causal
  • 원인격 표지: s#’
9) 부분격PART
  • 부분격 표지: -qIis#
10) 동격equative
  • 동격 표지: -qIdi

처격

  • 기준점ориентир에 대한 동작(또는 정적인 상태)의 성격을 규정한다.
  • 이 범주는 공간을 나타내는 후치사, 부사, 장소 부동사에도 나타난다.
  • 이 격들은 명사로 표시되는 대상에 대하여 상응하는 공간영역을 가리키는 공간화localization 범주와 결합된다.
  • 총 28개의 위치를 가리키는 형태가 있다.
  • 이들 형태는 공간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 뿐아니라, 동사의 보어completive를 표시하기 위해서, 동사의 지배모델에 따라 사용된다.
1) 재격ESS
  • 재격 표지: Ø
2) 외향격ELL
  • 외향격 표지: -s#
3) 방향격LAT
  • 방향격 표지: -k
4) 향격ALL
  • 향격 표지: - s#i
5) 종착격TERM
  • 종착격 표지: -ka@na
6) 변성격TRANSL
  • 변성격 표지: xut

명사 곡용패러다임의 특징

  • 명사의 곡용패러다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직격과 사격 어간, 단수와 복수의 대립이다.
  • 단수에서 규칙 사격 어간 표지는 -li, -a, -e, -i, -t”e, -t”ai, -iri, Ø.
  • 복수에서 규칙 사격 어간 표지는 복수 표지(-c#aj, -aj, -rc#aj에 따라 달라진다.
  • 주격(절대격)은 대개 직격 어간과 일치하고, 다른 격은 단수, 복수 각각의 사격 어간에서 만든다.

명사 곡용패러다임의 일부 예 (aIns# 사과)

단수 복수
NOM aIns#-Ø a!Ins#-um-Ø
능격ERG a!Ins#-li-Ø a!Ins#-um-c#aj-Ø
여격 a!Ins#-li-s a!Ins#-um-c#e-s
생격 a!Ins#-li-n a!Ins#-um-c#e-n
공동격 a!Ins#-li-l-” a!Ins#-um-c#e-l-”
비교격 a!Ins#-li-xur a!Ins#-um-c#e-xur
교환격 a!Ins#-li-L’a@na a!Ins#-um-c#e-L’a@na
부분격 a!Ins#-li-qIis# a!Ins#-um-c#e-qIis#
재내격INE a!Ins#-l-a a!Ins#-um-c#a-j
탈외향격INEL a!Ins#-l-a-s# a!Ins#-um-c#e-j-s#
내향격ILL a!Ins#-l-k a!Ins#-um-c#e-j-k
재상격SUPE a!Ins#-li-t a!Ins#-um-c#e-t
?superelative a!Ins#-li-t”-is# a!Ins#-um-c#e-t”-is#
상향격SUPL a!Ins#-li-t”-ik a!Ins#-um-c#e-t”-ik
doc/archi/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10:11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