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archi
»
2_wordclass
»
23_verb : 동사 (verb)
추적:
•
23_verb : 동사 (verb)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archi:2_wordclass:23_verb:23_verb
목차
23_verb : 동사 (verb)
상
시제
서법
증거성 범주(evidential)(тестификативные категории)
태
동사의 형태적 분류: 상-시제
동사의 통사적 파생어
부동사
분사(동사파생 형용사)
동사의 상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3_verb : 동사 (verb)
직설법에서 17가지의 상-시제 형태가 구별된다.
다양한 상과 시제의 의미가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동사에 인칭은 표현되지 않는다.
상
지속상DUR, 종결상, 목적상, 가능상
기본형 어간에서 불규칙적으로 만들어진다.
시제
중립, 현재, 과거
중립시제의 종합적 동사형태
(1) 사실확인(constative): 사건 X가 대개 일어난다.
(2) 아오리스트: 사건 X가 있었고 종료되었다.
(3) 미래: 사건 X가 일어날 수도 있다.
(4) 부정형infinitive: 상-시제 패러다임에 속한다. 누군가 사건 X를 마칠 목적을 가지고 있다.
현재, 과거시제 의미의 분석적 동사형태
부동사 또는 부정사와 조동사 i/edi ‘이다/이었다’로 만든다.
부동사: 지속상, 종결상, 가능상
주요 현재시제 형태
(1) presence: 발화순간에 사건 X가 있었다.
(2) perfect: 사건 X가 종료되었고, 발화 순간에 그 사건 X의 결과가 있다.
주요 과거시제
(1) imperfect
(2) pluperfect
(3) inceptive
(4) debitive
부정negation
모든 상-시제 형태에서 부정 표지는 -t’u
서법
순수 어간(чистая основа) 또는 상 어간(видовая основа)으로 만든다.
일부 서법은 완벽한 세트의(полный набор) 상-시제 형태를 가진다.
명령법
순수 어간에 가장 가깝다.
금지법(прохибитив)
형태적으로 명령법에 따르지 않고, 지속상(durative) 어간에 접미사 -di(-gi)를 붙여서 만든다.
기원법(оптатив)
종착법?terminative 어간에 표지 -t”an을 붙여서 만든다.
화자가 사건 X가 일어나기를 바라고 청자도 원한다고 생각한다.
직설법
무표
의문법
-(r)a
의심법(dubitative)
-c#ugu
과연 사건 X가 실제로 있었는지 알고싶어 하는 경우
접속법(conjunctive)
-kini
사건 X가 실제로 있었으나, 화자가 의심하는 경우
확정법(approbative)
-(l)di
화자가 사건 X가 있었음을 알고, 이를 확정하는 경우
#disqus @pjh 의심법, 접속법, 확정법 한국어 명칭 확인 부탁 드려요. terminative가 격이 아니라 서법의 명칭으로도 쓰이는지요? 종착법이라고 일단 적어놓았는데요.
doc/archi/2_wordclass/23_verb/23_verb.155650473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4/29 11:25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