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archi
»
4_ss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추적: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archi:4_ss:45_wo:45_wo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자유 어순
문장 내 단어의 선형적 위치가 커뮤니케이션의 표현수단이 된다??
중립적 어순은 단순한 규칙에 따른다. 즉, 종속 요소가 주요소 앞에 온다.
동사는 문장의 맨 끝에 놓인다.
분석적 형태로 표현된 주동사는 조동사 앞에 온다.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온다.
후치사는 매우 많은 데 반해 전치사는 없다.
술어의 논항(행위소)의 중립적 위치는 두 가지가 있다.
1) 행위자 + 수신자 + 도구 + completive + factitive + 동사 (처음 셋 중 최소한 하나의 논항이 있을 경우)
2) factitve + completive + 동사 (그렇지 않은 경우)
arch1244
kibrik2001
:121
zari
adamc#es
murta@llixur
axa@ran
orLur
I.A
people.addressee
for.cheese.COMPL
fruit.factitve
sell.1SG
나는 치즈를 (댓가로) 받고 과일을 판다.
arch1244
kibrik2001
:121
zon
towmut’’is#
libxI
ewt’’i
I.factitve
he.COMPL
be.shy
0
나는 그가 거북했다
doc/archi/4_ss/45_wo/45_w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0 14:15 저자
유현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