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語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음.
| 고저 | 전후 | 원순 | 음소 |
| high | front | unrounded | i |
| high | back | unrounded | ɯ |
| high | back | unrounded | u |
| high mid | front | unrounded | e *eɹ |
| high mid | back | rounded | o |
| low mid | front | unrounded | ɛ |
| low | back | unrounded | ɑ |
| v̩ |
- 모음의 특징:
-‘*’가 달린 권설음 ‘eɹ’는 大理 방언과 怒江 방언에만 있음.
-劍川 방언과 怒江 방언에는 구강 모음(oral vowel)과 대응되는 비모음(nasal vowel)이 있음.
-모음이 음절의 맨 앞에 위치할 때 모음에 성문폐쇄문이 살짝 동반한다.
예: ‘욕하다’ ɯ⁴⁴ → ˀɯ⁴⁴로 발음.
大理 방언 속한 趙庄白語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 고저 | 전후 | 원순 | 음소 |
| high | front | unrounded | i ɿ |
| high | front | rounded | y |
| high | back | unrounded | ɯ |
| high | back | unrounded | u |
| high mid | front | unrounded | e |
| high mid | back | rounded | o |
| mid low | back | rounded | ɔ |
| low mid | front | unrounded | ɛ |
| low | back | unrounded | a |
| v |
- 모음 i와 ɿ 중 ɿ는 혀끝소리와 ts, tsʰ, s, z 등과 결합하고 i와 상보적 분포를 보이기 때문에 둘을 하나의 음소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