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조 | 모음 유형 | 예시 |
| 33 | 이완모음 | pa³³ ‘거품’ |
| 42 | 긴장모음 | pa⁴² '우유' |
| 31 | 이완모음 | pa³¹ '비비다' |
| 55 | 이완모음 | pʰa⁵⁵ '갈퀴' |
| 35 | 이완모음 | pa³⁵ '구관조새‘ |
| 44 | 긴장모음 | pa⁴⁴ '무너지다' |
| 21 | 긴장모음 | pã²¹ '발굽' |
| 55 | 긴장모음 | pa⁵⁵ '제언(堤堰)' |
-모음은 이완모음(lax vowel)과 긴장모음(tense vowel)의 구별이 있는데, 긴장모음은 보통 42조, 21조 그리고 44조를 가진 단어에 나타남. 긴장모음을 가진 음절의 聲調 値는 이완 모음을 가진 음절보다 높고 빠름.
-고대 중국어의 入聲→35조 -이른 시기의 차용어의 성조: (고대 중국어→바이어) -이른 시기의 入聲字 → 44조 혹은 42조가 됨. 이 두 성조는 入聲자 발음상의 빠르다는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음.
예: 입성자 ‘搭(널다, 걸치다)' → ta⁴⁴ ; 입성자 ‘踏(밟다)’ → ta⁴²
-늦은 시기의 차용어의 성조 변화: (중국어→바이어)
55조→33조; 35조→42조; 214조→31조; 51조→55조(모음이 긴장모음으로 변함).
-유기음 성모는 35조나 21조에 출현하지 않음. (그러나 현대한국어로부터의 차용어는 이 제약을 받지 않음)
-비음, 무성음, 설측음 성모의 출현 환경은 자유로움.
-怒江 방언과 劍川 방언에서 성조 변화가 일어나는 환경:
예: nɯ²¹ tsʰɑ⁵⁵ '맺혔다'를 강조할 때 nɯ²¹가 nɯ¹³로 변함.
예: pe⁴⁴ ‘가다’ → pe³⁵mo³³ ‘가니?’
| mɛ⁴⁴ | ji⁵⁵ | tshṽ |
| buy | people | hatefulness |
예: tɯ²¹kɯ⁵⁵tsi⁵⁵ → tɯ³⁵tsi⁵⁵ '옛날에'; ŋɛ²¹a⁵⁵nɑ⁴⁴ → nɛ³⁵nɑ⁴⁴ '어디 가니?'
大理 방언에 속한 趙庄白語 중 소수의 단어만 연속 변조를 보임.
예: ɕi³⁵vv³³ ̃ ⁴⁴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