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bai:2_wordclass:31_pro:pro_anaphor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大理 방언의 문맥지시사

  • lɯ³¹ '이', 복수형 lɯ⁵⁵
  • mɯ³¹ ‘그/저’, 복수형: mɯ⁵⁵
  • ɑ⁵⁵tɑ⁴⁴ 근칭 '여기'
  • mɯ⁵⁵tɑ⁴⁴ 원칭 ‘거기’
  • tɑ³⁵tɑ⁴⁴ 초원칭 ‘저기’
baic1239 xulin2006:194
ji²¹ɕo²¹lɯ³¹ne²¹
colanderthis(one)PTCL
이 (하나의)조리(笊篱)
baic1239 xulin2006:194
ji²¹ɕo²¹lɯ⁵⁵kõ³³ne²¹
colanderthistwoPTCL
이 두 조리(笊篱)
  • 지시사 lɯ³¹ ‘이’와 mɯ³¹‘그/저’가 ‘jɑ⁴²’와 결합한 후 ‘jiɑ⁴²’가 되고, ‘jiɑ⁴²’는 단수와 복수를 모두 나타낼 수 있음.
baic1239 xulin2006:195
ɑ³¹tɑ⁵⁵mo³³jĩ⁵⁵mɛ⁴²liɑ⁴²
auntyoubuythis
이모, 이것/이것들을 사요.
baic1239 xulin2006:195
ŋo³¹kv̩⁴²ɑ⁵⁵tɑ⁴⁴
1SGsithere
나는 여기에 앉는다.

대리 방언 중 趙庄白語의 지시사:

단수복수
근칭nɯ³³nɯ⁵⁵
중칭na⁵⁵na⁵⁵
원칭pɯ³³pɯ⁵⁵
  • 趙庄白語의 지시 대명사의 유래: 지시사와 사람, 사물, 시간, 장소를 나타내는 양사 혹은 어휘소와 결합하여 형성된 것임.

nɯ³³ȵi²¹ ‘이 사람’

nɯ³³ʑa³³ ‘이 종류’

pɯ³³ tʰa⁵⁵ '그 동안'

na⁵⁵ui³³ ‘거기’ 등

  • 지시 대명사가 수사와 결합할 때 ‘지시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짐. 수사가 1인 경우 종종 생략됨. 수사가 1 이상인 경우 근칭nɯ³³와 원칭 pɯ³³의 성조가 변함. 예: nɯ³³tɕʰuɛ⁴⁴ ‘이 책’; tɕʰuɛ⁴⁴ ‘眷’; nɯ⁵⁵ ŋv³³kɯ³³ ‘이 다섯 대’
doc/bai/2_wordclass/31_pro/pro_anaphor.150370792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26 09:38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