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4_ss:44_stype:44_stype

44_stype : 문장유형 (sentence type) 100%

(1) 의문문

1) 판정 의문문

baic1239 zhaoyanzhen2012:173
ȵi⁵⁵ȵi⁵⁵tɕʰi⁵⁵li³³tɯ⁴⁴lɯ⁴⁴ʑi⁴²?
2SGalsopreparePFVPTCLQ
당신도 준비하셨어요?

2) 부가 의문문

baic1239 zhaoyanzhen2012:174
ȵa³³(nɯ³³ʑa³³)tuo³³tsi⁴⁴tsɯ⁴²,tsɔ³⁵(tsɔ³⁵ȵi⁵⁵)piɔ⁴⁴?
this.like(thislike)CLDIMaroundright.also(rightalso)wrong
(크기가) 이 작은 송이와 비슷해, 맞아?

3) 선택 의문문

baic1239 zhaoyanzhen2012:174
ȵa⁵⁵tsi⁵⁵pe⁴⁴tʰu⁴⁴ȵi⁵⁵ɔ⁴²kv⁴⁴tsʰɛ⁴⁴?
1SGTOPwalkroadortakebus
우리는 걸을 거야 아니면 차 탈 거야?

4) 설명 의문문

baic1239 zhaoyanzhen2012:175
a⁵⁵ʑa³³nɯ³³kʰui⁵⁵?
whatthisCL
이 것이 뭐야?

(2) 명령문

  • 자오좡바이어는 명령을 나타내는 어기사나 부정사를 사용하여 명령문을 만든다.

1) uo³⁵

baic1239 zhaoyanzhen2012:177
ɣɯ⁴⁴ɔ⁴⁴kuɛ⁴²uo³⁵mi⁴².
eat3SG.PATCLIMPPTCL
하나 먹어라!

2) 금지 명령: ȵo⁴⁴pɯ³³ ‘don't'

ȵo⁴⁴의 유래
  • ȵo⁴⁴는 부정 표지 pɯ³³와 ȵo⁴⁴ 'ㄹ 것이다'가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고 술어 앞에 위치한다.
baic1239 zhaoyanzhen2012:177
na⁵⁵ȵo⁴⁴pɯ³³tsʰi³³ɔ⁴⁴a⁴⁴.
2PLdon'thate3SG.PATDEC
너희들이 그 사람을 더 이상 미워하지 마!
ȵo⁴⁴의 출현 위치:
  • 동사 앞에 단독적으로 쓰일 수 있다.
baic1239 zhaoyanzhen2012:178
ȵo⁴⁴kʰo⁴⁴a⁴⁴.
don'tcryPTCL
울지 마!

3) 일부 어기사가 명령문에도 쓰여 명령을 나타낼 수 있다.

  • 예: 청유를 나타내는 어기사 ‘mi⁴²’
baic1239 zhaoyanzhen2012:178
nɔ³³tɕo²¹ŋɔ³³mi⁴²!
2SGliemePTCL
네가 나를 속여!

4) 방향을 나타내는 동사 ɣɯ³⁵ ‘오다’와 ŋiɛ²¹ ‘가다’가 문말에 쓰여 문장 전체가 명령의 억양을 가진다.

baic1239 zhaoyanzhen2012:178
nɔ³³ŋiɛ²¹tsi⁵⁵nɯ⁵⁵nɔ⁴⁴ŋiɛ²¹.
2PLgodo2SG.POSSDETgo
너는 너의 일을 하러 가거라!

5) 일부 문장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명령문의 억양을 가지고 있다.

baic1239 zhaoyanzhen2012:179
ȵo⁴⁴pɯ³³ka⁴⁴kɔ³³na³⁵(na³³xɯ⁵⁵)ʑɔ³⁵?
don'tCAUSmakebreak.PFV(breakPFV)Q
이것을 망가뜨리지 마, 알았지?

(3) 감탄문

어기사의 사용
  • 어기사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baic1239 zhaoyanzhen2012:180
xɔ⁵⁵tsʰi³⁵nɯ³³tɯ²¹!
deliciouslyeatthisCL
이 것 맛있어!
일부 문장이 의문문의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감탄문의 억양을 가지고 있다.
baic1239 zhaoyanzhen2012:179
nɔ³³tse⁵⁵xa³⁵tɕa⁵⁵(tsi⁵⁵ȵa³³)!
2SGwhysillybecome.this(becomethis)
너는 왜 이렇게 멍청하니?
doc/bai/4_ss/44_stype/44_styp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3:05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