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의 상호태 표지와 동사와의 결합 상황을 다음과 같다.
피동태 펴지와 동사는 다음과 닽이 결합한다.
| pɔ³³ | ka⁴⁴ | pa⁴⁴tɯ⁵⁵ | tɯ²¹ | kv⁴⁴ | na³⁵ | ( | ← | na³³ | xɯ⁵⁵ | ) | lɔ⁴². |
| 3SG | CAUS | bench | CL | sit | break.PFV | ( | ← | break | PFV | ) | PFV |
| pa⁴⁴tɯ⁵⁵ | tɯ²¹ | pɔ³³ | ka⁴⁴ | kv⁴⁴ | na³⁵ | ( | ← | na³³ | xɯ⁵⁵ | ) | lɔ⁴². |
| bench | CL | 3SG | CAUS | sit | break.PFV | ( | ← | break | PFV | ) | PFV |
| pa⁴⁴tɯ⁵⁵ | tɯ²¹ | pɔ³³ | kɔ⁴⁴ | ( | ← | ka⁴⁴ | ɔ⁴⁴ | ) | kv⁴⁴ | na³⁵ | ( | ← | na³³ | xɯ⁵⁵ | ) | lɔ⁴². |
| bench | CL | 3SG | CAUS.3SG.PAT | ( | ← | CAUS | 3SG.PAT | ) | sit | break.PFV | ( | ← | break | PFV | ) | PFV |
| pa⁴⁴tɯ⁵⁵ | tɯ²¹ | tɕuo³⁵ | pɔ³³ | kv⁴⁴ | na³⁵ | ( | ← | na³³ | xɯ⁵⁵ | ) | lɔ⁴². |
| bench | CL | PASS | 3SG | sit | break.PFV | ( | ← | break | PFV | ) | PFV |
| pa⁴⁴tɯ⁵⁵ | tɯ²¹ | tɕuo³⁵ | pɔ³³ | ka⁴⁴ | kv⁴⁴ | na³⁵ | ( | ← | na³³ | xɯ⁵⁵ | ) | lɔ⁴². |
| bench | CL | PASS | 3SG | sit | CAUS | break.PFV | ( | ← | break | PFV | ) | PFV |
| pa⁴⁴tɯ⁵⁵ | tɯ²¹ | tɕuo³⁵ | pɔ³³ | kɔ⁴⁴ | ( | ← | ka⁴⁴ | ɔ⁴⁴ | ) | kv⁴⁴ | na³⁵ | ( | ← | na³³ | xɯ⁵⁵ | ) | lɔ⁴². |
| bench | CL | PASS | 3SG | CAUS.3SG.PAT | ( | ← | CAUS | 3SG.PAT | ) | sit | break.PFV | ( | ← | break | PFV | ) | PFV |
위의 6 가지 피동문의 목적어는 명사와 명사구가 충당 가능.
| pɯ⁵⁵ | tɕʰɯ⁵⁵ | a⁴⁴ | tsɯ⁴² | a⁴⁴ | ka⁴⁴ | pɯ⁵⁵ | ta³³ | tsi²¹ | xɯ⁵⁵ | lɔ⁴². |
| 3SG.POSS | GENR | money | thief | GENR | CAUS | 3SG.POSS | steal | go | PFV | PFV. |
| pɯ⁵⁵ | tɕʰɯ⁵⁵ | a⁴⁴ | tɕuo³⁵ | tsɯ⁴² | a⁴⁴ | ka⁴⁴ | pɯ⁵⁵ | ta³³ | tsi²¹ | xɯ⁵⁵ | lɔ⁴². |
| 3SG.POSS | GENR | PASS | money | thief | GENR | CAUS | 3SG.POSS | steal | go | PFV | PFV. |
| pɯ⁵⁵ | nɔ⁴⁴ | tsɯ⁴² | a⁴⁴ | ka⁴⁴ | pɯ⁵⁵ | tɕʰɯ⁵⁵ | a⁴⁴ | ta³³ | tsi²¹ | xɯ⁵⁵ | lɔ⁴². |
| 3SG.POSS | TOP | thief | GENR | CAUS | 3SG.POSS | money | GENR | steal | go | PFV | PFV. |
| pɔ³³ | tɕuo³⁵ | tsɯ⁴² | a⁴⁴ | ka⁴⁴ | pɯ⁵⁵ | tɕʰɯ⁵⁵ | a⁴⁴ | ta³³ | tsi²¹ | xɯ⁵⁵ | lɔ⁴². |
| 3SG | PASS | thief | GENR | CAUS | 3SG.POSS | money | GENR | steal | go | PFV | PFV. |
피동작주가 무정물인 경우 ⑨, ⑩ 용법이 불가능함.
행동주와 피행동주가 모두 인칭 대명사로 나타날 경우 ①, ④, ⑥, ⑨번 유형만 가능.
處置句나 변이된 구문으로 동작주와 피동작의 관계를 표현할 때 보통 명확한 동작주가 있어야 함. 동작주가 생략된 문장의 주어는 보통 3인칭 복수형 pa⁵⁵나 ȵi²¹kiɛ³⁵ ‘사람’으로 보충될 수 있음.